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화(通化) 만발발자(萬發撥子) 유적 철기를 통해 본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상호관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최근 보고된 통화 만발발자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를 재검토하여 천산산맥 이동지역에 존재하는 철기문화의 지역성을 검토하고,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상호관계...

      이 글에서는 최근 보고된 통화 만발발자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를 재검토하여 천산산맥 이동지역에 존재하는 철기문화의 지역성을 검토하고,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상호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발발자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류와 일괄자료를 살피며, 철기 중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철촉에 주목하여 형식학적 변화 양상과 함께 시간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분묘 내부장된 철기류의 특징을 살피며, 요하의 동쪽인 천산산맥과 압록강 일대의 주변 유적들과 상호비교하여 지역 간의 상호관계를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만발발자 유적 내 보이는 철기문화의 분기는 1~3기로 구분되는데, 그 시간성은 각각 기원전 3~2세기 전반, 기원전 2세기 중엽부터 기원전후, 기원 1~2세기대로 설정된다. 이상의 시간적 축을 기초하여 만발발자 유적 내 철기의 특징을 정리하면, 혼강 중류역의 철기문화는 훼손된 주조제 철제품(재가공)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유엽형 단경철촉의 출현과 함께 독자적인 철기문화를 구축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원전 2세기경 혼강 중류역의 환인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철기문화의 다양성과 그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지역색은 환인지역을 중심으로 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계기였을 것이다.
      초기 고구려의 철기문화는 압록강 중하류권역, 혼강 유역에 존재하던 지역세력의 상호교류 및 연합적 대응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 각 지역 세력이 가지고 있던 비한식계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다고 볼 수 있는데, 진한 교체기라는 혼란 속에서 가장 절실히 요구된 철기생산기술을 공유하면서 초기 고구려의 철기문화가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considered the ironware excavated from Wanfabozi in the TongHua region reported recently to review the locality of the ironware culture existing in east region of Qian Mountains and to address the interrelation of the ironware cultures in...

      This paper reconsidered the ironware excavated from Wanfabozi in the TongHua region reported recently to review the locality of the ironware culture existing in east region of Qian Mountains and to address the interrelation of the ironware cultures in Late Gojoseon and Early Goguryeo. Accordingly, the ironware excavated from Wanfabozi and the association materials were addressed, and the aspect of typological transition and the temporality were extracted by taking note of the iron arrowhead taking up the most of the ironware.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ware buried together inside the tomb were addressed,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regions by correlating the remains from Qian Mountains located in the east of the Liao River with those around the Amnok River was estimated.
      The periods of the ironware culture shown inside Wanfabozi are categorized into periods 1 to 3. Temporality is set as the third century BC to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mid-second century BC to around AD, and the first century AD to the second century AD respectively. In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ware inside Wanfabozi based on the above temporal axes, the ironware culture in the midstream region of the Hun River was star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missing cast ironware (re-processing), and the independent ironware culture was establish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Rhyu leafshaped short-necked iron arrowhead. The diversity of the ironware culture created around Huanren in the midstream region of the Hun River around the second century BC and the local character found therein served as the momentum to create the identity of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around the Huanren region.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began to be created during the mutual exchange and united response of the regional influence that existed in the mid- and down-stream regions of the Amnok River and the basin of the Hun River. Growth was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non-Han style ironware culture possessed by each regional influence, and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was presumably completed by sharing the iron-making technology iron-making technology required the most desperately in the chaos of the Qin-Han transition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통화 만발발자 유적 철기의 출토 양상
      • Ⅲ. 만발발자 유적 철기문화의 시·공간적 검토
      • Ⅳ. 천산산맥 이동지역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전개 양상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통화 만발발자 유적 철기의 출토 양상
      • Ⅲ. 만발발자 유적 철기문화의 시·공간적 검토
      • Ⅳ. 천산산맥 이동지역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전개 양상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문식,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동양학연구원 (81) : 65-95, 2020

      2 하문식,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①: 소자하와 부이강 유역의 유적" 백산학회 (115) : 259-300, 2019

      3 리병선, "중강군 토성리 원시 및 고대유적 발굴 중간보고" 사회과학원출판사 5 : 1961

      4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조선고고학개요"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5 정백운, "조선 금속문화 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출판사 1957

      6 박진욱, "조선 고고학 전서(고대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7 황기덕, "우리나라에서 철생산의 시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1981

      8 정백운, "우리나라에서 철기 사용 개시에 관하여" 과학원출판사 3 : 1958

      9 김상민, "요령지역 철기문화의 전개와 한반도 초기철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55) : 61-116, 2017

      10 차순철, "오녀산성 출토 고구려 단야구에 대한 검토" 고구려연구재단 (2) : 2004

      1 하문식,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동양학연구원 (81) : 65-95, 2020

      2 하문식,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①: 소자하와 부이강 유역의 유적" 백산학회 (115) : 259-300, 2019

      3 리병선, "중강군 토성리 원시 및 고대유적 발굴 중간보고" 사회과학원출판사 5 : 1961

      4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조선고고학개요"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5 정백운, "조선 금속문화 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출판사 1957

      6 박진욱, "조선 고고학 전서(고대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7 황기덕, "우리나라에서 철생산의 시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1981

      8 정백운, "우리나라에서 철기 사용 개시에 관하여" 과학원출판사 3 : 1958

      9 김상민, "요령지역 철기문화의 전개와 한반도 초기철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55) : 61-116, 2017

      10 차순철, "오녀산성 출토 고구려 단야구에 대한 검토" 고구려연구재단 (2) : 2004

      11 정찬영, "압록강, 독로강류역 고구려유적발굴보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12 여호규, "압록강 중류유역에서 고구려의 국가형성" 한국역사연구회 21 : 1996

      13 손준호,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한국고고학회 (62) : 90-113, 2007

      14 김상민,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서경문화사 2020

      15 정찬영, "기원 4세기까지의 고구려묘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5 : 1973

      16 이남규, "고구려의 국가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17 지병목, "고구려의 국가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18 김보람, "고구려 철촉의 편년 연구"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0 : 149-179, 2017

      19 이남규, "고구려 제철문화의 특성-무등리 2보루유적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62 : 29-60, 2018

      20 이종수, "고구려 문화 기원의 寶庫 -「通化 萬發撥子遺址 考古發掘 報告」-"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7) : 129-168, 2020

      21 최종택, "고구려 고고학" 진인진 2020

      22 중앙문화재연구원, "고구려 고고학" 진인진 2020

      23 馮永謙, "鳳城劉家堡西漢遺址發掘報告" 科學出版社 2 : 2010

      24 박장식, "高句麗의 鐵器製作 技術體系에 대한 硏究" 고구려연구회 18 : 2004

      25 오강원, "高句麗初期積石墓의 出現과 形成過程" 고구려발해학회 43 : 9-56, 2012

      26 姜賢淑, "高句麗 古墳. in 고구려고고학의 제문제" 2003

      27 金想民, "韓半島南部地域における初期鐵器時代の編年再考"

      28 集安縣文物保管所, "集安發現靑銅短劍墓" (5) : 1981

      29 小林靑樹, "遼東における靑銅器鐵器の調査と成果" 11 : 2011

      30 鐵嶺市文物管理辦公室, "遼寧鐵嶺市邱台遺址試掘簡報" (2) : 1996

      31 武家昌, "遼寧桓仁縣抽水洞遺址發掘" (2) : 2003

      32 裵耀軍, "遼寧昌圖縣發見戰國, 漢代靑銅器及鐵器" (4) : 1989

      33 王增新, "遼寧撫順市蓮花堡遺址發掘" (6) : 1964

      34 吉林省文物硏究所, "通化萬發撥子遺址考古發掘報告" 科學出版社 2019

      35 王綿厚, "通化 萬發撥子 遺址에 관한 考古學的 觀察" 12 : 2001

      36 오강원, "萬發撥子를 통하여 본 通化地域 先原史文化의 展開와 初期 高句麗文化의 形成 過程" 1 : 2004

      37 小田富士雄, "日本製鐵論集" 示人社 1983

      38 肖景全, "新賓旺淸門鎭龍頭山石蓋墓" 科學出版社 2 : 2010

      39 樊聖英, "中國考古學年監" 文物出版社 2007

      40 古澤義久, "中國東北地方·韓半島西北部における戰國·秦·漢初代の方孔円錢の展開" 64 : 2010

      41 村上恭通, "中國·漢民族とその周邊域における初期鐵器の諸問題" 43 : 2012

      42 村上恭通, "『東アジアと日本の考古學』 Ⅲ" 同成社 84-85, 2003

      43 이현주, "3~4세기대 철촉에 대하여" 釜山直轄市立博物館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