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선망 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체 제품 수준과 차별화 욕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5943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운대학교 대학원 , 산업심리학과 , 2021.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58.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Impact of the type of envy on purchase intent: focused on alternative product levels and differentiation needs

      • 형태사항

        xii, 63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병관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12-200000513607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망을 유발하는 브랜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에
      따라 선망의 유형이 차별화 욕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망 대상이 제품을 획득한 정당성을 통해서 악의적 선
      망과 무해한 선망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선망 브랜드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을 선망 브랜드보다 낮은 수준을 가진 열등 브랜드와 선망 브랜
      드보다 높은 수준을 가진 우등 브랜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열등한 대체 브랜드 조건에서 악의적 선망 조건의
      사람들이 무해한 선망 조건의 사람들보다 대체 브랜드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
      났다. 또한 악의적 선망 조건의 사람들이 무해한 선망 조건의 사람들보다 차별
      화 욕구를 강하게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진 매개분석에 의하면 악
      의적 선망을 경험한 사람들이 차별화 욕구를 강하게 경험하였으며, 이는 대체
      브랜드의 구매의도 증가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선망 브랜드를 대신해서 선택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이 선망 반응에 따라 대체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이론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망을 유발하는 브랜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에 따라 선망의 유형이 차별화 욕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망 대상...

      본 연구는 선망을 유발하는 브랜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에
      따라 선망의 유형이 차별화 욕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망 대상이 제품을 획득한 정당성을 통해서 악의적 선
      망과 무해한 선망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선망 브랜드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을 선망 브랜드보다 낮은 수준을 가진 열등 브랜드와 선망 브랜
      드보다 높은 수준을 가진 우등 브랜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열등한 대체 브랜드 조건에서 악의적 선망 조건의
      사람들이 무해한 선망 조건의 사람들보다 대체 브랜드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
      났다. 또한 악의적 선망 조건의 사람들이 무해한 선망 조건의 사람들보다 차별
      화 욕구를 강하게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진 매개분석에 의하면 악
      의적 선망을 경험한 사람들이 차별화 욕구를 강하게 경험하였으며, 이는 대체
      브랜드의 구매의도 증가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선망 브랜드를 대신해서 선택할 수 있는 대체 브랜드의
      수준이 선망 반응에 따라 대체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이론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envy on the
      desire to differentiat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an replace the brand that causes envy. In this
      study, envy is divided into malicious envy and benign envy based on the
      deservingness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an replace the coveted brand was divided into inferior and superior.
      Results show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under the inferior
      alternative brand condition are more willing to buy the alternative brand
      than those with benign envy are. Also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experienced a stronger desire to differentiate than those with
      benign envy. A medi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strongly experienced a desire to differentiate,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alternative bran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related theories by identifying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onsumers can choose on behalf of envy
      brands and thei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alternative brand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envy on the desire to differentiat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an replace the brand that causes envy. In this study, envy is divided into mal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envy on the
      desire to differentiat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an replace the brand that causes envy. In this
      study, envy is divided into malicious envy and benign envy based on the
      deservingness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an replace the coveted brand was divided into inferior and superior.
      Results show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under the inferior
      alternative brand condition are more willing to buy the alternative brand
      than those with benign envy are. Also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experienced a stronger desire to differentiate than those with
      benign envy. A medi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people with malicious envy
      strongly experienced a desire to differentiate,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alternative bran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related theories by identifying
      the level of alternative brands that consumers can choose on behalf of envy
      brands and thei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alternative bra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표 1
      • II. 이론적 배경 4
      • 1. 선망 4
      • 2. 선망의 유형: 무해한 선망과 악의적인 선망 8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표 1
      • II. 이론적 배경 4
      • 1. 선망 4
      • 2. 선망의 유형: 무해한 선망과 악의적인 선망 8
      • 3. 선망과 차별화 욕구 13
      • 4. 연구 가설 16
      • III. 사전연구 21
      • 1. 연구 방법 21
      • 1-1. 실험 설계 및 참가자 21
      • 1-2. 연구 절차 21
      • 1-3. 실험과제 및 자극 구성 22
      • 2. 연구 결과 22
      • IV. 본 연구 23
      • 1. 연구 방법 24
      • 1-1. 실험 설계 및 참가자 24
      • 1-2. 연구 절차 25
      • 1-3. 실험과제 및 자극 구성 25
      • 2. 연구 결과 30
      • 2-1. 조작점검 결과 31
      • 2-2. 구매의도와 차별화 욕구 확인 33
      • 3. 연구 논의 44
      • V. 종합 논의 47
      • 1. 연구결과 요약 47
      • 2. 연구의 의의 49
      • 3.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 51
      • [참고문헌]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