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수 마커의 제작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IR LED 마커 검출 기법 = IR LED Marker Detec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Multiple Mark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6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mputer related technologies are developed, interest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re greatly increasing.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composes digital contents from the real input images through camera and it enables interaction w...

      As computer related technologies are developed, interest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re greatly increasing.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composes digital contents from the real input images through camera and it enables interaction with users. This study designed a directional marker using LED light that emits infrared ray, then, provided a detection algorithm and a marker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that can realize various virtual objects as augmented reality from one marker. The newly designed method provides a solution to settle the problems in existing marker technologies such as decrease of immersiveness and read rate and single information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minimize the cost or time consumption in marker information stor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증강현실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실제 영상에 디지털 콘텐츠를 합성하는 기술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증강현실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실제 영상에 디지털 콘텐츠를 합성하는 기술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LED의 빛을 이용하여 방향성을 가진 마커를 제작하고, 이를 추출하기 위한 검출 알고리즘과 하나의 마커에서 다양한 가상 객체를 증강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마커 정보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증강현실에 사용되는 기존의 마커 기술이 지니는 몰입감 및 인식률 감소, 단일 정보 표현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고, 마커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 비용이나 시간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화정, "증강현실 기반 E-Learning 기술동향" 10 (10): 12-22, 2009

      2 유재상, "증강 책을 위한 적응형 키프레임 기반 트래킹" 한국정보과학회 16 (16): 502-506, 2010

      3 Popovici, D. M, "Using mixed VR/AR technologies in education" 14-14, 2006

      4 E. Rosten, "Faster and better: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corner detection" 32 : 105-119, 2008

      5 Sonny E. Kirkley, "Creating next generati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using mixed reality, Video Games and Simulations" 49 (49): 42-53, 2004

      6 Preparata, F.P, "Convex Hulls of Finite Sets of Points in Two and Three Dimentions" 20 : 87-93, 1977

      7 Preparata, F.P, "Computational Geometry : An Introduction" Springer- Verlag 108-111, 1985

      1 박화정, "증강현실 기반 E-Learning 기술동향" 10 (10): 12-22, 2009

      2 유재상, "증강 책을 위한 적응형 키프레임 기반 트래킹" 한국정보과학회 16 (16): 502-506, 2010

      3 Popovici, D. M, "Using mixed VR/AR technologies in education" 14-14, 2006

      4 E. Rosten, "Faster and better: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corner detection" 32 : 105-119, 2008

      5 Sonny E. Kirkley, "Creating next generati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using mixed reality, Video Games and Simulations" 49 (49): 42-53, 2004

      6 Preparata, F.P, "Convex Hulls of Finite Sets of Points in Two and Three Dimentions" 20 : 87-93, 1977

      7 Preparata, F.P, "Computational Geometry : An Introduction" Springer- Verlag 108-111,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8-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학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
      영문명 : The Korea Ins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0.698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