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1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틱 장애로 진단된 만 6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 2회 ...

      연구목적: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틱 장애로 진단된 만 6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 2회 총 16회의 독서치료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이 가정내 독서활동을 통하여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치료자가 독서활동을 계획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총 5회기의 모-자간 독서활동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영역에서 의사소통훈련 실시 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틱 장애 아동의 심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아동의 틱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느끼는 불편감은 의사소통훈련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틱 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심리적 편안함의 증가는 틱 증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틱 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시 부모 의사소통훈련을 통해 양육태도와 의사소통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의미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때 독서치료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on mother and child with tic disorder. Metho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wice a week, a mother of 6 - year - old child diagnosed with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on mother and child with tic disorder. Metho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wice a week, a mother of 6 - year - old child diagnosed with tic disorder was administered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In addition, the therapist planned the reading activity so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could have time to communicate through the reading activity at home. Based on this, the author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five sessions of mother - child reading activities and provided feedback on them. Result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improved in affection, rejection, and autonomy than before communication training. Second, there wa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child with tic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discomfort felt by the mother about the child"s tic symptoms was reduced than before the communication train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hild with tic disorder had higher levels of self-expression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showed that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mediator. Therefore in psychotherapy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s, it is a meaningful approach to bring about changes in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tyle through parent communication trai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선주, "한국어판 예일 틱 증상 평가 척도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37 (37): 942-951, 1998

      2 백중열, "학교부적응아의 물고기가족화 그림 특징과 가족 연계성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2 (42): 129-148, 2015

      3 정지은, "틱장애 아동모의 접촉경계혼란 양식 및 양육태도와 틱증상 심각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조수철, "틱장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5 김자성, "틱 장애아들의 동반 정신병리와 부모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5 (5): 150-161, 1994

      6 조주영, "틱 장애 증세를 보이는 청소년자녀의 가족상담 사례연구" 6 (6): 115-139, 2009

      7 박태영, "틱 장애 아동의 가족치료 다중사례 내용분석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27-56, 2010

      8 이영나, "틱 장애 아동의 가정 환경 및 어머니 양육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8 (8): 37-48, 2005

      9 조혜언, "틱 장애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하애실, "집단미술치료가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 정선주, "한국어판 예일 틱 증상 평가 척도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37 (37): 942-951, 1998

      2 백중열, "학교부적응아의 물고기가족화 그림 특징과 가족 연계성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2 (42): 129-148, 2015

      3 정지은, "틱장애 아동모의 접촉경계혼란 양식 및 양육태도와 틱증상 심각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조수철, "틱장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5 김자성, "틱 장애아들의 동반 정신병리와 부모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5 (5): 150-161, 1994

      6 조주영, "틱 장애 증세를 보이는 청소년자녀의 가족상담 사례연구" 6 (6): 115-139, 2009

      7 박태영, "틱 장애 아동의 가족치료 다중사례 내용분석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27-56, 2010

      8 이영나, "틱 장애 아동의 가정 환경 및 어머니 양육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8 (8): 37-48, 2005

      9 조혜언, "틱 장애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하애실, "집단미술치료가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1 김영희, "일반 아동과 틱 장애 아동의 가족 지각 비교" 7 (7): 1-12, 2004

      12 캐서린 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을 위한 비폭력대화 NVC1. 2"

      13 이원영,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14 조성희,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과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의 관계: 자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03-224, 2013

      15 "소아․청소년에서 주로 발생하는 틱장애"

      16 강유정, "사티어 이론에 기초한 어머니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일치성에 미치는 효과와 과정분석"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1

      17 류연순, "비폭력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언어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김정해, "부모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독서태도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9 오지환, "독서활동이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0 조영은, "독서토론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1 김정미, "독서치료적 접근에 의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22 박혜경, "독서치료적 접근에 의한 독서활동 프로그램이 모-자간 의사소통 및 자녀의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천주영, "독서치료 집단상담이 유아를 둔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공감능력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4 玄永姬, "독서 모임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25 조희정, "난화상호이야기법을 활용한 부모 갈등으로인한 틱장애 아동의 치료 사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 (9): 31-45, 2005

      26 이순희, "공감증진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8 (8): 83-102, 2016

      27 안진홍,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부모와 자녀간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28 권영배, "가족체계 이론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29 金潤喜, "夫婦關係·父母-子女意思疏通·家族機能과 청소년子女 非行과의 關係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30 Barnes, H. L.,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Minnesota 1982

      31 Schaefer, E. S.,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95 : 83-104, 1959

      3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Ⅳ-TR" 학지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