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환경 수업의 환경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창의성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0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started based on assumptions that the creativity is one of core competencies relevant for a sustainable future and that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can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highschool students’ creativity through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as part of the high school environmental curriculum.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5 months in one class of 35 high school students. A mixed-methods research was used to evaluate changes in creativit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was administered four times. For qualitative analysi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changes in creativity of the students showed that components of creativity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e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e thinking components such as fluency, elaboration, imagination, sensitivity and creative tendency components such as inquisitiveness, aggressiveness, and curiosity.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have potentials for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when they explore real-world environmental issues and participate in pract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as part of their classroom environmental projects. It also supports the idea that the high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is educationally meaningful sinc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for creativity.
      번역하기

      This study has started based on assumptions that the creativity is one of core competencies relevant for a sustainable future and that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can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crea...

      This study has started based on assumptions that the creativity is one of core competencies relevant for a sustainable future and that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can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highschool students’ creativity through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as part of the high school environmental curriculum.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5 months in one class of 35 high school students. A mixed-methods research was used to evaluate changes in creativit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was administered four times. For qualitative analysi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changes in creativity of the students showed that components of creativity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e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e thinking components such as fluency, elaboration, imagination, sensitivity and creative tendency components such as inquisitiveness, aggressiveness, and curiosity.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have potentials for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when they explore real-world environmental issues and participate in practical environmental activities as part of their classroom environmental projects. It also supports the idea that the high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is educationally meaningful sinc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for crea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희, "환경과 녹색성장 프로젝트 활동에 따른 교사용 평가 기준 개발과 적용"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32-40, 2011

      2 곽홍탁, "환경'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45-58, 2005

      3 오미경,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별 및 진로에 따른 모둠구성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환경수업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손미희, "친환경학교 가꾸기 프로젝트 활동이 중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34-43, 2011

      5 강종표, "초등 실과교육에서 환경친화적 에너지 교육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20, 2003

      6 유동현, "초·중등학생 대상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 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강신경,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 : 창의적 능력 및 창의적 인성과 지능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경철, "창의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0 김명철, "창의성 측정 도구 고찰" 26 : 43-75, 2007

      1 이성희, "환경과 녹색성장 프로젝트 활동에 따른 교사용 평가 기준 개발과 적용"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32-40, 2011

      2 곽홍탁, "환경'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45-58, 2005

      3 오미경,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별 및 진로에 따른 모둠구성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환경수업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손미희, "친환경학교 가꾸기 프로젝트 활동이 중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4 (24): 34-43, 2011

      5 강종표, "초등 실과교육에서 환경친화적 에너지 교육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20, 2003

      6 유동현, "초·중등학생 대상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7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 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강신경,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 : 창의적 능력 및 창의적 인성과 지능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경철, "창의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0 김명철, "창의성 측정 도구 고찰" 26 : 43-75, 2007

      11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12 김영채,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1-29, 2012

      13 최경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과 프로젝트 교수·학습안 개발 및 효과 - ‘주거 공간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19, 2013

      14 최인수,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20 (20): 139-166, 2000

      15 노희찬, "실과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313-336, 2011

      16 이용구, "수학교육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가치관의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이승해,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이혜진, "모둠 구성 및 주제 선정 방식이 환경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최돈형,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미래엔 2011

      20 김영채, "개정4판 TORRANCE 창의력 검사 TTCT(도형) B형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FPSP 2010

      21 김영채, "개정4판 TORRANCE 창의력 검사 TTCT(도형) A형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FPSP 2010

      22 Guilford, J. P., "Traits of creativity.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142-161, 1959

      23 Torrance, E. P.,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Personnel Press 1968

      24 Jellen, H. G., "The TCT-DP(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 An instrument that can be applied to most age and ability groups" 11 (11): 138-155, 1986

      25 Katz, L.,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26 임선하, "DESK 모형을 통한 창의성 교육자료 개발법" 8 (8): 105-133, 1998

      27 이종현, "<재활용>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 인식과 태도의 변화"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김주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환경과 녹색성장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충청남도교육청 2012

      29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30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31 안재정, "'환경과' 교육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2 0.9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