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어권 한국어 문법서의 품사 체계와 대역어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5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러시아어로 저술된 한국어 문법서를 대상으로 문법 교육의 기초가 되는 한국어 품사 분류와 러시아어 대역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러시아...

      본 연구는 러시아어로 저술된 한국어 문법서를 대상으로 문법 교육의 기초가 되는 한국어 품사 분류와 러시아어 대역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러시아 한국어학계의 기초를 마련한 2권의 책과 한국인 학자가 펴낸 3권의 책을 분석하였다. 한국인이 저술한 러시아어 한국어 문법서는 한국어의 학교 문법에 따라 9품사로 분류하는 반면 러시아인 한국어학자가 저술한 한국어 문법서는 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부사, 감탄사나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묘사어(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слово)로 구분하는데 학자들마다 품사를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러시아의 한국어 문법서에는 조사를 품사로 인정하지 않고 소사(частицы)라는 광범위한 형태소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대역어는 한국어의 여러 품사를 같이 혼용하여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조사의 문법적인 특징을 반영한 대역어로 부적절하므로 한국어의 원어를 살려 조사 ‘чоса’로 쓰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through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with the support of Korea, however target words of ...

      Sinc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through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with the support of Korea, however target words of part of speech appear variously in Russian Korean grammar book, which is the base of grammar technique. In respect of Korean linguistic theory grammar book, Korean language school grammar classifies part of speech into 9 parts of speech, i.e. noun, pronoun, numeral, verb, adjective, adverb, modifier, interjection, postposition, however Russian Korean language grammar book classifies into noun, verb, adjective, adverb, interjection and noun, pronoun, numeral, verb, adjective, modifier, adverb, interjection, послелог (postposition), 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сло во, accordingly, each scholar suggests different word classification system. Particularly, postposition is interpreted as particle (частицы), in Russia, it means part of speech of morpheme that has independence, nonindependence, non-refractivity, and syntactic functionality, which is very widely used. Russian Korean grammar book does not acknowledge postposition as part of speech. Case particle is acknowledged as a part of noun declination, some part of auxiliary particle is translated as a postposition, which is not the target word that reflects grammat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postpos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earch target words that correspond to postposition in Russian languag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чосa’ by saving original word of Korean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 II.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품사 분류
      • III. 한국어 품사의 러시아어 대역어 양상
      • IV. 한국어 품사 러시아어 대역어의 문제와 제안
      • 국문요약
      • I. 서론
      • II.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품사 분류
      • III. 한국어 품사의 러시아어 대역어 양상
      • IV. 한국어 품사 러시아어 대역어의 문제와 제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제교류재단,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2007

      2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2012

      3 안주호,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계량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09-528, 2012

      4 권재일,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서울] 2012

      5 왕단,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중국어 표준화 연구" 한글학회 (282) : 277-316, 2008

      6 안주호, "학술논문에서의 한국어 문법용어 영어 대역어 사용 양상" 대한언어학회 20 (20): 229-251, 2012

      7 정달영, "학교문법의 통일 과정과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 한민족문화학회 (41) : 75-108, 2012

      8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5

      9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2009

      10 최윤곤,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의 교재 용어 분석(Ⅰ) - 품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77-600, 2012

      1 한국국제교류재단,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2007

      2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2012

      3 안주호,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계량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09-528, 2012

      4 권재일,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서울] 2012

      5 왕단,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중국어 표준화 연구" 한글학회 (282) : 277-316, 2008

      6 안주호, "학술논문에서의 한국어 문법용어 영어 대역어 사용 양상" 대한언어학회 20 (20): 229-251, 2012

      7 정달영, "학교문법의 통일 과정과 한국어 문법 용어의 표준화" 한민족문화학회 (41) : 75-108, 2012

      8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5

      9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2009

      10 최윤곤,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의 교재 용어 분석(Ⅰ) - 품사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77-600, 2012

      11 최윤곤,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교재 용어 분석(Ⅱ) -어미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0 : 385-411, 2014

      1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 문화사 1971

      13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4 정열모, "신편 고등 국어문법" 한글문화사 1946

      15 쁘리마코바 따띠아나,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1 : 2009

      16 임흥수, "러시아어와 한국어 품사 대조" 1 (1): 2008

      17 이기웅, "러시아어 소사 “И”에 대해서" 러시아연구소 21 (21): 157-178, 2011

      18 구본관, "남북의 품사 분류와 한국어 교육" (창간) : 2005

      19 구본관,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형태론 12 (12): 179-199, 2010

      20 이익섭, "국어 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21 주시경, "국어 문법" 박문서관 1910

      22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секий словаль,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чский словаль" Мосва 1990

      23 어건주, "Пособие по грамматике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한국학술정보 2007

      24 Холодович. А.А., "Очерки грамматики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Ленанд 2014

      25 Ли Иксоп др, "Корейский язык" Певое марта 2005

      26 Фил Ким, "Грамматика современого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КазНУ 2002

      27 Мазур. Ю. Н, "Грамматика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Муравей-Гайд 2001

      28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 문화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