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의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기술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재무적 성과가 낮아 코스닥시장의 상장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고자 지난 2005년 도입되었다. 하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75986
2025
Korean
IPO ; 주가성과 ; 특례상장 ; 주간사 ; 강건 회귀분석 ; IPOs ; Stock Performance ; Technology Based IPO ; IPO Underwriter ; Robust Regression
KCI등재
학술저널
1-10(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스닥시장의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기술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재무적 성과가 낮아 코스닥시장의 상장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고자 지난 2005년 도입되었다. 하지...
코스닥시장의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기술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재무적 성과가 낮아 코스닥시장의 상장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고자 지난 2005년 도입되었다. 하지만, 기술특례에 대한 부실상장 우려는 지속되고 있으며 일반상장과 비교할 때 기술의 불확실성에 따른 정보적 비대칭성이 더 높아 주간사의 책임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해당 배경하에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총 532개 기업을 이용하여 상장유형(기술특례상장 및 일반상장)에 따라 단·장기 주가성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특례상장에 있어 주간사의 역할(기술평가기관 지분보유 여부 및 주간사의 평판)에 따라 IPO 이후의 단·장기 주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특례상장과 일반상장의 단기 및 장기 주가성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특례상장기업의 주가성과가 열위에 있을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기술평가기관 지분을 보유한 주간사에 의해 기술특례상장이 이루어진 기업은 장기 주가성과가 더 낮았으며, 주간사의 평판(IPO 건수 기준 상위 주간사)은 단·장기 주가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합하면, 특례상장의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일반상장과 대동소이한 주가성과를 보여 부실기업이 IPO 특례상장에 악용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기술평가기관 지분을 보유하는 등 기술평가를 보다 엄정하게 행할 수 있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TCB 지분을 보유한 주간사에서 특례상장 기업의 공모가 산정시 해당 기업이 보유한 기술력보다 더욱 높은 가격에 공모가를 산정하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주가성과는 상장 주간사의 역할에 따라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존재하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rt- and long-run stock return performance of 532 firms listed on the KOSDAQ market from 2014 to 2023, focusing on the impact of listing type (general listing or technology-based IPO). Additionally, we analyze whether ch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rt- and long-run stock return performance of 532 firms listed on the KOSDAQ market from 2014 to 2023, focusing on the impact of listing type (general listing or technology-based IPO). Additionally, we analyze whether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riter such as ownership of a technology rating agency or the underwriter’s reputation in the technology-based IPO influence short- and long-term stock return performance.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We find no significant stock return differences between general listing and technology-based listing firms. However, we find the technology-based IPO firms which were conducted by underwriters with a stake in the technology rating agencies exhibit lower long-term stock return performance. We also find that underwriter reput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short- or long-term stock returns.
Despite widespread skepticism surrounding technology-based IPOs, our findings suggest that financial distressed firms are unlikely to pursue through a technology-based IPO. However, we infer that even with potentially more rigorous technology evaluation by underwriters holding stakes in technology credit bureaus (TCBs), the public offering price may still be determined by overvaluation relative to the intrinsic value of the technology.
기업의 혁신역량에 따른 디지털 전환 대응: 정부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딥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내 정보품질이 사용자의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타트업의 POC 정량 분석 도구로서의 Kano/Timko’s 응용 사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