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대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대상은 국회미래연구원의 2022년 한국인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04937
2024
-
행복 ; 20대 미혼 ; 사회적 차원 ; 개인적 차원 ; happiness ; single in 20s ; social dimensions ; personal dimensions
33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9-5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대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대상은 국회미래연구원의 2022년 한국인의 ...
본 연구는 20대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대상은 국회미래연구원의 2022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이 조사에 참여하여 성실하게 문항에 응답한 20대 미혼인 1,957명이다. 연구결과, 20대 미혼 청년의 행복에 개인적 차원의 요인 중 주말 혼자 있는 시간 비율, 주관적 건강 상태, 초조/불안 경험, 우울/ 절망 경험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말에 혼자 있는 시간 비율이 낮고, 초조/불안과 우울/절망 경험이 없을수록 행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0대 미혼 청년의 행복에 사회적 차원의 요인중 사회적 평등 인식이 높을수록, 가족생활만족도, 대인관계 만족도, 동네환경 만족도, 이웃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미혼 청년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Center's 2022 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Center's 2022 Happiness Survey of Koreans, and 1,957 unmarried people in their 20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nswered the questions in good faith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individual-level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the proportion of time spent alone on weekends, subjective health status, anxiety/anxiety experience, and depression/hopelessness experience had an impact on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proportion of time spent alone on weekends, the lower the anxiety/anxiety and depression/hopelessness experience, the happier the young adults were. Next, among the social dimensions of happine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equality,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rust in neighbors, the happier the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measure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are suggested, as well as a discussion on further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비대면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에 대한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대인관계 불안 대학생을 위한 매체 활용 자각기반상담 사례 연구
아동·청소년 범죄피해 외상심리치료 과정에서 부모 인식과 태도의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코칭방법에 따른 초등영재학생 대상 컴퓨터기반 작업기억훈련 효과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