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로서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767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2023. 8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6.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ms of garment patterns as ‘objet trouve?’in the objet art

      • 형태사항

        x, 145 p. : 삽화(부분 채색)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 수록
        지도교수: 김종수, 마진주
        참고문헌: p. 138-141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30422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fashion, the shape of a garment is considered a design element of its own, independent of its functional 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more interestingly, the shapes of garment patterns used as a guide in needlework have also been increasi...

      In modern fashion, the shape of a garment is considered a design element of its own, independent of its functional 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more interestingly, the shapes of garment patterns used as a guide in needlework have also been increasingly used as a visual design el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on of the visual incorporation of garment patterns in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In this study, patterns drafted on paper are construed as objets, and a parallel is drawn with objet trouvés (found objects), considering that they are dissociat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Modern fashion and modern art intersect in several ways, of which the most significant is that they both have taken up the common challenge of the “avant-garde moving beyond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al value has long been paramount to art and fashion. However,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heralded profound changes in thought and sensibility, attempts were made in both art and fashion to break away from representational value. As part of this shift, objets were first introduced in art, becoming a vital element of the avant-garde’s anti-aesthetic movement, and in fashion, this period witnessed the emergence of avant-garde styles which no longer represented or were dictated by the shape of the human body. This study aims to perceive the visual use of garment patterns in modern fashion in the context of the avant-garde’s attempt to transcend representation and analyze it with objet art’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to articulate a new fashion design methodology, which makes use of garment pattern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garment patterns and objet art, focusing on avant-garde approache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in objet art that emerged across the various stages of the avant-garde movement from 1910 to 1990 (historical avant-garde → neo–avant-garde → postmodernism) were classified, analyzed, and defined. Using the expressive styles discerned, collections displayed during the world’s four major fashion weeks (“Big Four”) between 1997 and 2023 were analyzed to highlight the transition in design from the use of clothes to the use of garment patterns, and a design methodology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llage,” “ready-made,” and “idea” were the thre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art in the avant-garde tradition. Most works in this category, which often took the form of combinations and variations of these three element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objets were initially introduced in art through “collage.” Collage was a technique used in Cubism, a movement that ushered in 20th-century modern art, as a new way of rendering visual realities, defined by the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visual structures.
      Second, “ready-made,” a term coined by Marcel Duchamp, refers to ordinary mass-produced objects selected by an artist and presented as art. As commonplace things dissociated from their original utilitarian purposes, ready-mades trigger a perceptual shift in the viewer.
      Lastly, “ideas,” which extend objets beyond the material realm, were widely used in the modern conceptual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Idea-based objet works were highly abstract as they questioned the fundamental nature of art and incorporated abstract ideas and notions in other domains in a largely conceptual manner.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 art, namely, the visual composition of collage, perceptual shifts with ready-mades, and the conceptual dimension of ideas, inspired novel design directions for modern fashion, suggesting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as a design element. The details of the influence of objet art on modern fashion,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ncrete exam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shapes in collages manifested in modern fashion through deconstructing, dispersing, and recombining clothing items. In using garment patterns, certain groups of patterns were taken apart and regrouped in a new manner to create structural silhouettes.
      Second, the perceptual shift caused by ready-mades as objects being remov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has subverted the meaning of clothes in modern fashion by transforming them into decorative elements deprived of utilitarian purposes. With regard to garment patterns, this effect manifests itself in their usage as textile patterns and surface designs.
      Third and last, the influence of conceptual and ideational elements in objet art is felt in the introduction of temporality in modern fashion in which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clothing are incorporated as its integral elements. In garment patterns, this is observed in the stages of the clothes-making process, such as sketching and drafting, visible inthe garment itself through various visual clues.
      In conclusion, the three main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through an objet trouvé(found object)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patterns,” “creating fabric patterns out of sewing patterns,” and “making the pattern-drafting process evident in the garment.” From the methodology consisting of these three elements, three design themes have been presented, namely, “Reforming,” “Reframing,” and “Replaying.” These themes were expressed through the 'object project' under the concept of 'Escape the illusion,' representing a collection of 8 styles of art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eds light on the intersection of avant-garde art and avant-garde fashion. Moreover,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fashion design development based on rediscovering garment patterns as an objet. At the same time, a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vergence of modern art and modern fashion in terms of the broad similarities in their avant-garde tendencies, its discussion of specific trends and how they are exhibited in fashion remains superfici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findings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현대패션에서는 의복의 형태가 착용의 실용성과는 무관하게 그 형상만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의복 구성이라는 도구적 목적성으로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마저도 ...

      오늘날 현대패션에서는 의복의 형태가 착용의 실용성과는 무관하게 그 형상만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의복 구성이라는 도구적 목적성으로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마저도 시각적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본 연구에서 착안한 점은 현대미술의 시각에서 ‘종이’라는 재료 위에 구현된 패턴의 형상을 하나의 오브제로 파악하며 목적성이 배제된 패턴의 존재를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로 인지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패션의 현상을 현대미술을 통해 사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여기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유기적 연결점으로 ‘재현을 탈피하는 아방가르드’라는 공통의 문제를 포착할 수 있다. 오랫동안 재현의 가치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온 미술과 패션은 20세기 이후 모든 사고의 기준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재현의 가치에서 탈피하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미술은 오브제를 미술로 도입하는 아방가르드의 반(反)미학을, 패션은 인체를 재현하는 패턴에서 벗어나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 패션의 두 카테고리가 재현으로부터 탈피하는 아방가르드의 시각에 근거하여 현대패션에서 패턴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에 입각한 분석을 통해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하는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를 통해 본 연구의 제재가 되는 의복 패턴과 디자인 방법이 되는 오브제 미술을 아방가르드 시각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연구 기반을 수립하고, 1910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지는 아방가르드의 흐름(역사적 아방가르드→네오 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나타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을 분류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주요 4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패션의 디자인 사례를 의복의 활용에서 의복 패턴의 활용으로 나아가는 진행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였다.
      현대미술의 아방가르드 맥락 속에 자리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은 콜라주(collage), 레디메이드(ready-made), 그리고 아이디어(idea)의 3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한 조합과 변형이었으며 분석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를 미술로 가장 먼저 도입한 콜라주는 20세기 현대미술의 출발점이었던 입체주의에서 대상의 시각적 실체를 추구하기 위해 시도된 조형 방식으로 평면과 입체의 시각적 조형 구조를 형성하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뒤샹의 발상으로 오브제를 예술로 정착시킨 레디메이드는 목적성에 의거해 산업 생산된 기성품을 예술품으로 선택하면서 기존의 실용성을 없애는 사고적 전환을 특성으로 하였다.
      셋째, 오브제를 비물질적 영역까지 확산시킨 아이디어는 20세기 후반 개념화된 현대미술의 전면에 등장하여 예술의 본질에 대한 물음과 함께 물질적 형태로 국한되지 않은 추상적인 생각과 인식마저 포용하며 관념적 사고를 반영하는 특성을 가진다.
      요컨대 콜라주의 조형적 구성, 레디메이드의 사고적 전환, 아이디어의 관념성 도입으로 도출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별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발상법을 제공하며 의복 패턴의 형태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유형의 평면과 입체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의복 아이템 구조를 분해하고 구조를 분산시키며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조합된 일군의 패턴 형태를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구조적 실루엣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디메이드 유형의 실용성을 소멸시키는 사고적 전환은 현대패션에서 의복의 형태를 실용성 없이 장식 요소로 활용되는 의미상의 전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을 위해 고안된 패턴의 형태를 무늬로 활용하면서 패턴을 패턴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디어 유형의 비물질화된 관념성을 도입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시간성을 개시하여 형성되고 변화되는 의복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의 설계과정인 제도 과정을 표상하며 의복의 제작과정을 노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대패션에서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 관점으로 의복 패턴의 형태를 활용하는 방법은 ‘패턴의 해체와 재구성’, ‘제도 패턴의 패턴화’, ‘패턴의 제작 과정표상’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은 본 연구의 디자인 전개 속에서 Reforming, Reframing, Replaying의 3가지 테마를 제시하며, ‘Escape the illusion’의 컨셉 아래 이루어진 ‘object project’를 통해 컬렉션의 8 스타일의 작품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아방가르드 미술과 아방가르드 패션을 연결 선상에서 이해하고 의복 구조 속에서 의복 패턴의 형태를 오브제로 발견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아방가르드의 시각에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다소 넓은 범주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개별 사조들과 연계되는 특성과 활용이 표면적인 결과로 도출되며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의 방향성 마련에 기여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8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의복 패턴(garment patterns) 8
      • 1) 의복 패턴과 의복의 제작 9
      • 2) 패턴 형태의 역사적 변천 13
      • 2. 오브제 미술(objet art) 20
      • 1) 오브제 미술과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 20
      • 2) 오브제 미술의 전개 23
      • (1) 역사적 아방가르드 25
      • (2) 네오 아방가르드 29
      • (3) 포스트모더니즘 33
      • Ⅲ.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과 현대패션의 활용 38
      • 1.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 38
      • 1) 오브제의 등장 : 콜라주 39
      • 2) 오브제의 정착 : 레디메이드 42
      • 3) 오브제의 확산 : 아이디어 46
      • 2.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을 활용한 현대패션 50
      • 1) 콜라주의 조형적 구성 50
      • 2) 레디메이드의 사고적 전환 52
      • 3) 아이디어의 관념성 도입 55
      • Ⅵ. ‘발견된 사물’로서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59
      • 1. 디자인 기획 60
      • 2. 디자인 전개 및 제작 68
      • 3. 작품 컬렉션(Collection) 115
      • Ⅴ. 결론 136
      • 참고문헌 138
      • Abstract 1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