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894110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21. 8
2021
한국어
서울
96 ; 26 cm
지도교수: 김희태
I804:11057-20000050783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검사도구, 유아교사 직업행복감 검사도구, 유아교사의 교직헌신 검사도구를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 유아교사의 직업행복감과 교직헌신, 그리고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변인들이 서로 연계를 가진 요인임을 의미하고 이 세 가지 변인들의 상호관련성을 실제로 확인해 주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직업행복감, 교직헌신의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 사이에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이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행복감을 높이면 유아교사는 유아교사로서 근무나 교육에 대한 헌신이 높아짐을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사 임파워먼트의 의사결정 능력을 높이고 유아교사의 지위를 존중하며 자기효능감을 가지게 하고 또한 유아교사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직업의식을 가져 동료교사와 원장, 부모들과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직업행복감을 가지게 한다면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은 높아진다는 것을 본 연구는 알려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수준 높은 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가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만족스럽게 교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교직헌신을 높이는 것이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많은 도움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특히 유아교육의 질과 유아교사 능력 향상에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는 전문적인 직업의식을 발휘하여 유아들과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 하므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에 대한 직업행복감을 높여 유아교사가 교직헌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their job happiness on th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their job happiness on th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job happiness, and his/her teaching commitment?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happiness on his/her teaching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27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Korea. The three questionnaires, the scale of empower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b happines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were sent to the subjects of this study by the internet to get data. Data were also gathered by the internet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for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job happiness, and his/her teaching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lso the constructs of the variables were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Therefore, this study could clarify the connecting relationship of the valuable of teacher’s empowerment and teacher’s job happiness, and teaching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happiness had influenced on the teaching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means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his/her job happiness on his/her teaching commitment to the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s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his/her job happiness, which leads his/her to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 teacher’s empowerment is need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get immersed in their job for teaching young childhoo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