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요구 = Demand on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4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on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mand on education goal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demand on subject`s instruction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what is the demand on creative activity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ose research questions, data regarding school curriculum for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1:1 interview were gathered targeting 7 specialized teachers in middle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S, B, G, CN, CB city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ich has been analyzed using repeating method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mind health, physical health improvement, independent living ability improvement, leisure time ability improvement, social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about education goal of school curriculum. Second,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living technique-linked education, alteration in subject`s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health-related education, and rest about subject`s instruction of school curriculum. Third,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strengthening creative special activity, implement humanism education in self-regulated activity and implement actual leisure education, contrasting view about implem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 in club activity. And teacher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alteration of performance voluntary activity method in voluntary activity and implementation of acutal course education in course activ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on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on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mand on education goal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demand on subject`s instruction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what is the demand on creative activity of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ose research questions, data regarding school curriculum for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1:1 interview were gathered targeting 7 specialized teachers in middle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S, B, G, CN, CB city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ich has been analyzed using repeating method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mind health, physical health improvement, independent living ability improvement, leisure time ability improvement, social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about education goal of school curriculum. Second,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living technique-linked education, alteration in subject`s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health-related education, and rest about subject`s instruction of school curriculum. Third,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strengthening creative special activity, implement humanism education in self-regulated activity and implement actual leisure education, contrasting view about implem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 in club activity. And teachers recogniz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emand alteration of performance voluntary activity method in voluntary activity and implementation of acutal course education in course a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교육목표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교과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선정하여 S특별시, B광역시, G도, CN도, CB도에 소재하고 있는 지체장애학교 중학교 특수교육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하고, 지체장애학교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교육목표에 대하여 정신 건강 및 신체 건강 증진, 자립생활 능력 향상, 여가생활 능력 향상, 사회적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교과교육에 대하여 생활기술과 연계한 교육, 교과교육 내용 및 방법 조정, 건강 관련 교육과 휴식을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하여 자율활동에서 창의적 특색활동을 강화하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며, 동아리활동에서 실질적 여가교육을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고 인식하였으나, 학교스포츠클럽 실시에 대해서는 상반된 인식이 있었다. 봉사활동에서는 봉사활동 수행방식의 변화를 요구하며, 진로활동에서 실질적인 진로교육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교육목표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교과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선정하여 S특별시, B광역시, G도, CN도, CB도에 소재하고 있는 지체장애학교 중학교 특수교육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하고, 지체장애학교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교육목표에 대하여 정신 건강 및 신체 건강 증진, 자립생활 능력 향상, 여가생활 능력 향상, 사회적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교과교육에 대하여 생활기술과 연계한 교육, 교과교육 내용 및 방법 조정, 건강 관련 교육과 휴식을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중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하여 자율활동에서 창의적 특색활동을 강화하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며, 동아리활동에서 실질적 여가교육을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고 인식하였으나, 학교스포츠클럽 실시에 대해서는 상반된 인식이 있었다. 봉사활동에서는 봉사활동 수행방식의 변화를 요구하며, 진로활동에서 실질적인 진로교육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선,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음악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6 조시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실제와 개선 요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7 최성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인식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37-56, 2014

      8 한홍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사,학부모의 인식 수준" 국립특수교육원 12 (12): 283-308, 2005

      9 조흥중, "지체부자유학교에 있어서"학교교육목표"의 구조 및 형식에 관한 연구" 3 (3): 149-166, 2001

      10 강은경, "지체부자유학교 특별활동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최혜선,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음악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6 조시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실제와 개선 요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7 최성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인식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37-56, 2014

      8 한홍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사,학부모의 인식 수준" 국립특수교육원 12 (12): 283-308, 2005

      9 조흥중, "지체부자유학교에 있어서"학교교육목표"의 구조 및 형식에 관한 연구" 3 (3): 149-166, 2001

      10 강은경, "지체부자유학교 특별활동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한승헌, "지체부자유학교 중학부의 창의적 재량활동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12 박재범, "지체 부자유 학교의 특별 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전헌선, "증복 지체부자유아 교수 학습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14 김혜리, "중복중증장애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성과 원리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49-166, 2010

      15 박경옥, "중도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교사 인식" 13 (13): 1-19, 2011

      16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1-20, 2012

      17 박은송,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9-180, 2011

      18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한독교육학회 19 (19): 187-211, 2014

      19 오세웅,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07-131, 2014

      20 강성종,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19-142, 2008

      21 조두년,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10 (10): 289-323, 2003

      22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9-42, 2013

      23 김은영,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과 실제" 85-102, 2012

      24 김은주, "중도 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25 구신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39-355, 2011

      26 교육부,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별책3]"

      27 정윤경,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체험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 안암교육학회 17 (17): 73-95, 2011

      28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Transaction Publishers 1967

      29 Merriam, S. B., "Qualitative rese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30 김정연,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방안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05-12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 1.28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