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ormitories at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ormitories at the 12 nationwide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148 students from middle, high school, and also vocational training course, who are currently living in the dormitorie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Variables in the questionnaire were designed by whether the participants are male or female, what school grade they are in, how is individual vision level, and when their vision had been lost.
      Sub-categories for the research consist of three parts; lif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facilities of the dormitory. Students’ answers to a total of 11 questions from the three parts were cross analyzed to bring the results looked for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ife management section, all the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iddle schoolers, high schoolers, or in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 said they decided to live in the dormitory because it was too hard to commute from their home. Also, the most number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condition has improved now because they spent less time to commute. On the other hand, when aske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dormitory staffs, both groups of low vision students and the blind ones all choose ‘more than normal’.
      Second, at the educational programs section, both group of students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visual impairments were satisfied “more than normal”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in the dormitories. Meanwhile, when they were asked about how many hours they daily spent for self-studying in the dormitory, both male and female in middle, high school, and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ll said “less than one hour”. About the regulations and discipline of the dormitory, both male and female, whether they have congenital or acquired visual impairments, mostly checked “more than normal” for their satisfaction level.
      Third, in the facilities, most students said the best thing they liked was the bed room. Anyway, most of them said the students’ lounge didn’t meet their expectat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precedent studies were retrieved and discussed together to come up with further study proposal.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ormitories at the 12 nationwide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148 students from middle, high school, and also vocational training course, who are currently living in the do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ormitories at the 12 nationwide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148 students from middle, high school, and also vocational training course, who are currently living in the dormitorie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Variables in the questionnaire were designed by whether the participants are male or female, what school grade they are in, how is individual vision level, and when their vision had been lost.
      Sub-categories for the research consist of three parts; lif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facilities of the dormitory. Students’ answers to a total of 11 questions from the three parts were cross analyzed to bring the results looked for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ife management section, all the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iddle schoolers, high schoolers, or in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 said they decided to live in the dormitory because it was too hard to commute from their home. Also, the most number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condition has improved now because they spent less time to commute. On the other hand, when aske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dormitory staffs, both groups of low vision students and the blind ones all choose ‘more than normal’.
      Second, at the educational programs section, both group of students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visual impairments were satisfied “more than normal”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in the dormitories. Meanwhile, when they were asked about how many hours they daily spent for self-studying in the dormitory, both male and female in middle, high school, and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ll said “less than one hour”. About the regulations and discipline of the dormitory, both male and female, whether they have congenital or acquired visual impairments, mostly checked “more than normal” for their satisfaction level.
      Third, in the facilities, most students said the best thing they liked was the bed room. Anyway, most of them said the students’ lounge didn’t meet their expectat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precedent studies were retrieved and discussed together to come up with further study propos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전공과 기숙사생 148명을 대상으로 성별, 과정별, 시력 정도별, 시력 손상시기별 등의 배경변인별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는 생활, 교육, 시설영역 등 3영역의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여, 집단 간 교차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사 생활운영에서 중·고·전공과 학생 모두가 기숙사 입사 동기는 ‘통학하기 힘들어서’가, 기숙사 입사 후, 좋아진 점은 ‘통학시간 단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숙사사감에 대해 맹학생과 저시력학생 모두‘보통 이상’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숙사 교육운영에서 기숙사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선·후천성학생 모두‘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고, 자율학습 시간은 남녀학생과 중·고·전공과학생 모두 ‘1시간 미만’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숙사 규칙과 규율에 대해 남녀학생과 선·후천성학생 모두‘보통 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 시설운영에서 기숙사생들이 가장 만족하고 있는 시설은 ‘침실’이며, 가장 불만족하는 시설은 ‘휴게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논의 후, 후속과제에 대해 제시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전공과 기숙사생 148명을 대상으로 성별, 과정별, 시력 정도별, 시력 손상시기별 등의 배경변인별로 분류하여 설...

      본 연구는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전공과 기숙사생 148명을 대상으로 성별, 과정별, 시력 정도별, 시력 손상시기별 등의 배경변인별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는 생활, 교육, 시설영역 등 3영역의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여, 집단 간 교차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사 생활운영에서 중·고·전공과 학생 모두가 기숙사 입사 동기는 ‘통학하기 힘들어서’가, 기숙사 입사 후, 좋아진 점은 ‘통학시간 단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숙사사감에 대해 맹학생과 저시력학생 모두‘보통 이상’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숙사 교육운영에서 기숙사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선·후천성학생 모두‘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고, 자율학습 시간은 남녀학생과 중·고·전공과학생 모두 ‘1시간 미만’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숙사 규칙과 규율에 대해 남녀학생과 선·후천성학생 모두‘보통 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 시설운영에서 기숙사생들이 가장 만족하고 있는 시설은 ‘침실’이며, 가장 불만족하는 시설은 ‘휴게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논의 후, 후속과제에 대해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균, "시각장애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성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85-406, 2006

      2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기숙학생과 통학생의 인간관계와 학교적응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19-242, 2008

      3 황미영, "도시 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원정책전문대학원 2015

      4 이승일, "농산어촌 기숙형 공립고의 교직원 운영 체제 연구 : 전라남도 기숙형 공립고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5 김병주, "기숙형공립고의 학생모집단위 적정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28, 2009

      6 류청산, "기숙형 공립학교의 선정 및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이영대, "기숙형 공립고교의 효율적 운영" 한국교육개발원 9-13, 2008

      8 김영주, "기숙형 고등학교의 기숙사 운영실태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9 임동식, "기숙형 고등학교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0 하상종, "공립고등학교 기숙사의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1 이해균, "시각장애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성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85-406, 2006

      2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기숙학생과 통학생의 인간관계와 학교적응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19-242, 2008

      3 황미영, "도시 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원정책전문대학원 2015

      4 이승일, "농산어촌 기숙형 공립고의 교직원 운영 체제 연구 : 전라남도 기숙형 공립고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5 김병주, "기숙형공립고의 학생모집단위 적정모형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28, 2009

      6 류청산, "기숙형 공립학교의 선정 및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이영대, "기숙형 공립고교의 효율적 운영" 한국교육개발원 9-13, 2008

      8 김영주, "기숙형 고등학교의 기숙사 운영실태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9 임동식, "기숙형 고등학교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0 하상종, "공립고등학교 기숙사의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11 안혜경, "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12 권기일, "「기숙형 공립고」 정책적용을 위한 기숙사 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