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의 구술을 통해 본 특수교육 =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oral presentation of Disabled national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dictation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lived the lives of the disabled national delegates, the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interest of each association, government and people. I could get the same conclusion. First, participants who were formerly non-disabled people suffered great distress and difficulties in their lives and encountered sport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Second, each sport I encountered in their lives changed their lives, overcoming themselves, an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on behalf of the Republic of Korea. Third, the interest of the associations, governments and citizens of each sport has been quite passive, but I feel that interest has been improved with the launch of the Disabled Sports Council recently. The development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is not only for non - disabled people but also for the disabled athlet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dictation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lived the lives of the disabled national delegates, the activities of the in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dictation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lived the lives of the disabled national delegates, the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interest of each association, government and people. I could get the same conclusion. First, participants who were formerly non-disabled people suffered great distress and difficulties in their lives and encountered sport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Second, each sport I encountered in their lives changed their lives, overcoming themselves, an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on behalf of the Republic of Korea. Third, the interest of the associations, governments and citizens of each sport has been quite passive, but I feel that interest has been improved with the launch of the Disabled Sports Council recently. The development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is not only for non - disabled people but also for the disabled athle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의 삶을 구술을 통해 조명하는 것이다. 구술참여자는 이홍구, 최경식, 이해곤, 최광근, 백재환 등의 5명이다. 이들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대표로 발전하는 과정과 국제대회의 활동 그리고 각 협회와 정부, 국민들의 관심이 그들에게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일반인 또는 운동선수로 활동하던 참여자들은 각자의 삶에서 큰 고통과 함께 장애가 발생했으며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이홍구는 양궁, 최경식과 이해곤은 탁구, 최광근은 유도, 백재환은 사격의 운동종목을 만나게 되었다. 둘째, 구술참여자 5명이 그들의 삶에서 만난 양궁, 탁구, 유도, 사격 등의 운동 종목은 인생을 변화시켰으며 스스로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제대회에 출전하였다. 셋째, 각 종목의 협회와 정부 그리고 국민들의 관심은상당히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장애인체육회의 출범과 함께 관심이 향상되고 있다. 한국체육의 발전은 일반 선수에게만 있는 것이 아닌 장애인 선수들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학계에서도 많은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의 삶을 구술을 통해 조명하는 것이다. 구술참여자는 이홍구, 최경식, 이해곤, 최광근, 백재환 등의 5명이다. 이들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의 삶을 구술을 통해 조명하는 것이다. 구술참여자는 이홍구, 최경식, 이해곤, 최광근, 백재환 등의 5명이다. 이들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대표로 발전하는 과정과 국제대회의 활동 그리고 각 협회와 정부, 국민들의 관심이 그들에게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일반인 또는 운동선수로 활동하던 참여자들은 각자의 삶에서 큰 고통과 함께 장애가 발생했으며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이홍구는 양궁, 최경식과 이해곤은 탁구, 최광근은 유도, 백재환은 사격의 운동종목을 만나게 되었다. 둘째, 구술참여자 5명이 그들의 삶에서 만난 양궁, 탁구, 유도, 사격 등의 운동 종목은 인생을 변화시켰으며 스스로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제대회에 출전하였다. 셋째, 각 종목의 협회와 정부 그리고 국민들의 관심은상당히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장애인체육회의 출범과 함께 관심이 향상되고 있다. 한국체육의 발전은 일반 선수에게만 있는 것이 아닌 장애인 선수들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학계에서도 많은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국사편찬위원회 2004

      2 "한국장애인식교육센터"

      3 "최광근 구술, 2017년 8월 9일 인터뷰"

      4 "최경식 구술, 2017년 7월 28일 인터뷰"

      5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사전" 현문사 2003

      6 조용환,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7 "중부일보 2014년 4월 13일자"

      8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

      9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역사비평사 2003

      10 "이홍구 구술, 2017년 7월 26일 인터뷰"

      1 국사편찬위원회, "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국사편찬위원회 2004

      2 "한국장애인식교육센터"

      3 "최광근 구술, 2017년 8월 9일 인터뷰"

      4 "최경식 구술, 2017년 7월 28일 인터뷰"

      5 신경림, "질적연구 용어사전" 현문사 2003

      6 조용환,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7 "중부일보 2014년 4월 13일자"

      8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

      9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역사비평사 2003

      10 "이홍구 구술, 2017년 7월 26일 인터뷰"

      11 "이해곤 구술, 2017년 8월 24일 인터뷰"

      12 김철영, "엣센스영한사전" 민중서림 1987

      13 김현식,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93

      14 "백재환 구술, 2017년 7월 27일 인터뷰"

      15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도서출판 아르케 2004

      16 장성범, "남다른 한 장애체육인의 삶: 패럴림픽 역도금메달리스트 정금종의 삶" 한국체육사학회 22 (22): 39-52, 2017

      17 이기호, "국가대표 장애인 양궁 선수의 운동과 삶"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18 한국구술사연구회, "구술사 : 방법과 사례" 도서출판 선인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