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근 20년간 하구 연구(2001-2023)와 향후 연구 방향 = A review of estuary research over the past 20 years (2001-2023)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4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주요 학술논문집에 수록된 하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하구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는 하구의 물리적, 화학적, 생태학적 특성 변화와 관리, 생물학적 특성과 생태 모델, 하구 생태계와 철새 서식지, 하구역 환경 관리 및 개발, 지속 가능성, 하구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하구 관리의 법·제도적 측면과 통합적 접근을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균형잡힌 하구 관리를 위해 법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하구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균형 잡힌 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 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주요 학술논문집에 수록된 하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하구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주요 학술논문집에 수록된 하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하구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는 하구의 물리적, 화학적, 생태학적 특성 변화와 관리, 생물학적 특성과 생태 모델, 하구 생태계와 철새 서식지, 하구역 환경 관리 및 개발, 지속 가능성, 하구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하구 관리의 법·제도적 측면과 통합적 접근을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균형잡힌 하구 관리를 위해 법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하구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균형 잡힌 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 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stuary-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and i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ince 2001, we classified and organized research related to the estuaries of major rivers.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defining estuaries, assessing their physical conditions, and examining water resource conservation measures in terms of water flow, supply, and quality. Future research might need to explore leg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estuary management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stuary-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and i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stuary-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and i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ince 2001, we classified and organized research related to the estuaries of major rivers.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defining estuaries, assessing their physical conditions, and examining water resource conservation measures in terms of water flow, supply, and quality. Future research might need to explore leg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estuary management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