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울 때 한국어 사용 환경에의 지속적인 노출은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한국어 환경에 노출된다는 것은 단순한 텍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44518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학위논문(박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 한국학과 , 2019. 8
2019
한국어
915.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multi-literacy
xii, 195 p. : 삽도 ; 26 cm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재욱
참고문헌: p. 157-181
I804:11059-2000002226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울 때 한국어 사용 환경에의 지속적인 노출은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한국어 환경에 노출된다는 것은 단순한 텍스...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울 때 한국어 사용 환경에의 지속적인 노출은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한국어 환경에 노출된다는 것은 단순한 텍스트(Text)를 넘어 콘텍스트(Context) 즉, 맥락적 상황의 체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학습자들이 외국어 학습과정에서 TV드라마와 같은 영상 매체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점은 매체언어의 교육적 활용성에 관심을 갖게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관점은 한류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외국인 학생들에게 흥미와 동기 부여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기대로 이어진다. 오랫동안 지식 보전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며 언어 학습의 근간적 위치를 점해 왔던 문자는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언어 학습에서의 독특한 지위를 잃게 되었다. 이러한 언어 학습 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문자 중심의 전통적 한국어 교육 전략에도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의사소통의 실천적 속성을 반영한 언어 교육 요구의 충족을 위해 다양한 매체의 폭넓은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멀티리터러시는 이미지와 영상, 청각 정보 등 다양한 양식을 통한 복합적인 의미 생성 방식에 주목한다. 또한, 거기에 함께 작용하는 소통 채널과 미디어의 복합성, 문화와 언어의 다양성, 사회적 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의미 작용에 능동적이고 비판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멀티리터러시는 현대적 일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소통 능력의 총체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멀티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목표와 내용 및 운영 절차를 담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거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단계별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각 단계별 멀티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문화 이해하기의 5개 영역을 설정하였다.
각 영역별 목표를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거쳐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외국인을 위한 멀티리터러시 향상 한국어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후 16차시 동안 외국인 학습자에게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에는 각각 몽골, 베트남, 중국 등 8개국에서 온 19세~25세까지의 외국인 학부 유학생 108명이 참여하였으며 참여집단(60명, 멀티리터러시 기반 수업)과 비교집단(48명, 교재 기반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및 한국어 능력의 객관적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학습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심층기술 하였다.
효과 검증결과, 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한국어 능력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t=2.05 p<.05)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향상 정도는 집단 내 변화(t=-10.108, p<.001)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습 흥미(t=3.93, p<.001), 참여(t=5.11, p<.001), 자신감(t=4.43, p<.001) 비교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높았다. 프로그램 참여 집단의 시간에 따른 집단 내 변화에서도 흥미(t=-12.727, p<.001), 참여(t=-11.890, p<.001), 자신감(t=-11.842, p<.001)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멀티리터러시 학습 경험의 이해를 위한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 결과, 한국어 멀티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집단의 경험은 ‘학습 재미와 참여’, ‘매체언어 이해’, ‘문화적 문식성’, ‘복합적 사고’ 등 4개의 주제로 수렴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 잘 알려진 TV드라마의 장면과 서사를 활용하여 외국인 학생들로 하여금 변화하는 매체 환경에서 만나게 되는 복합 매체 텍스트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조적 틀을 제시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와 문화 교육 콘텐츠 확장과 개발을 위한 실효적 정보를 담고 있을 뿐 아니라,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후속 연구를 이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를 비롯하여 영화, 뉴스 등의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실제적 교육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한류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세계 각국에 있는 잠재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드라마 한국어 교재가 기초에서부터 고급 단계까지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개발되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책으로만 배우는 한국어 학습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나서 실제 사용하는 언어를 배우고, 다양한 사고의 경험을 통하여 한국 사회 문화를 복합적으로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 멀티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foreign learners, constant exposure to a Korean-speaking environment is a critical prerequisite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iveness whe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is because exposure to a genuin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means...
For foreign learners, constant exposure to a Korean-speaking environment is a critical prerequisite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iveness whe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is because exposure to a genuin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means experiencing not just ‘text’ but also ‘context,’ i.e. the experience of contextual situations. In fact, using language in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has become all the more interesting because an increasing number of language learners are utilizing media such as TV dramas to learn languages. This suggest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hallyu” media may be an alternative way to promote interest and motivation in foreign students.
Text, which has long held a leading role in the preservation of knowledge and has been the backbone of language learning, has lost its unique status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with the advent of media freely accessed through televisions, computers, and smart phones. In order to keep up with the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languag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bring about innovative changes within the traditionally text-focu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a. It is time to actively consider to use of various media to meet language education needs that reflect the practical nature of communication.
Multi-literacy involves methods of complex semantic generation through various formats, such as images, video, and audio content. It is also the ability to actively and critically participate in various semantic actions that take plac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the complexity of communication channels and media working together,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language, and of social discourse. In other words, multi-literacy can be summed up as essential to the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for modern daily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apply programs contai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goals, content, and operational procedure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literacy in foreign learne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stablishes a step-by-step model for program development after a theoretical review. Each step, discusses five areas—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of culture—for the enhancement of multi-literacy in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content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goals of each of the five areas, taking a step-wise approach: (i) a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by experts; (ii) a preliminary program was implemented; and (iii) a Korean education for program for improving multi-literacy in foreign students was devised.
Furthermor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was then implemented with actual foreign exchange students. For this test, 108 foreign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articipant group (60 students, taught in multi-literacy based) and a control group (48 students, taught in ‘text’ based). The students were aged between 19 and 25 years and were from eight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Mongolia, Vietnam, and China.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providing in-depth descriptions of learners' experiences of their program participation through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long with a questionnaire to track changes over time in learning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and objective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or the paragraph, the multi-literacy-based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The program participan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2.05 p<.05) improvement of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anges over time in the program participan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gains in the areas of interest (t=-12.727, p<).001), participation (t=1.890, p<.001), confidence (t=11.842, p<.001). Also, A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comprehend the multi-literacy learning experienc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Multi-Literacy Education Program was converging with the following experiences: "Learning Fun and Participation," "Understanding Media Language," "Cultural literacy" and "Complex Thinking."
This study used visual media from internationally well-known TV dramas to create engaging content and improve the multi-literacy of the Korean language in foreign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as well as
containing useful information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ontent for foreigners. The suggested area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that utilize visual media such as movies and news, as well as TV dramas, should be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Seco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utilize "hallyu" dramas is needed. Korean drama language textbooks for
potential Korean learners all around the world will have to be developed for all learning stages and be made available both offline and online so that they can be easily accessed by anyone. Third, a more systematic and long-term follow-up study of multi-literacy education, which enables the acquisition of language as it is used in real life (beyond ‘textbook’ Korean) and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critically engage with, and express Korean society and culture, should be conducted.
목차 (Table of Contents)
1 박주현, "“공부반란”", 동아일보사 논문 : 웹 기반 한국어 과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Web-based Korean Language Program, 2005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3 구인환, "“한글의 우수성”", 신원문화사, 2006
4 김환표, "<트렌드 지식 사전 2>", 인물과 사상사, 2014
5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6 Josh Kaufman, "『처음 20시간의 법칙』", 도서출판 알키, 년, 2014
7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1976
8 천성옥, "“거침없이 한국어1,2,3”", 도서출판 하우, 2013
9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10 김영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형설출판사, 1994
1 박주현, "“공부반란”", 동아일보사 논문 : 웹 기반 한국어 과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Web-based Korean Language Program, 2005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3 구인환, "“한글의 우수성”", 신원문화사, 2006
4 김환표, "<트렌드 지식 사전 2>", 인물과 사상사, 2014
5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6 Josh Kaufman, "『처음 20시간의 법칙』", 도서출판 알키, 년, 2014
7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1976
8 천성옥, "“거침없이 한국어1,2,3”", 도서출판 하우, 2013
9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10 김영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형설출판사, 1994
11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12 Keller, J. M., "송상호 ,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13 곽미라, 이미향, 엄나영, "“한국어 교육과 매체언어”", 역락, 2013
14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박이정, 2013
15 주영하, "이토 아비토 외, “일본 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 2007
16 남기심, "“새말(新語)의 생성과 사멸”", 일지사, 1983
17 강유정, "“포스트한류 시대와 탈한류”", 계간 시작, 2007
18 정명숙,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문화 교육학회, 제4권 2호, 131-152, 2010
19 최수민, "“준말의 사회 언어학적 고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8
20 우형식, "“현장 중심의 한국어 교수법”", 한글파크, 2012
21 최인자, "“다중문식성과 언어문화교육”", 국어교육, 109호, 195-216, 2002
22 채호석, "“매체 언어 교육과 국어 교육”", 한국어문학연구 제 23권, 한 국 외국어대학교, 165-178, 2006
23 나일주, "“글로벌 학습시대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24 이경화, "“매체언어의 국어 교재화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 초등국어교육학회, 39-56, 2000
25 류문문, "“웹기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서혁,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 구소 학술발표논문집, 137-138, 2011
27 조항록, "“한국어 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010
28 나찬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 한국어 교육론1, 한국문화사, 2005
29 방성원, "“웹 기반 한국어 과정 개발 연구”", 한국어 교육, Vol.16 No.3, 2005
30 김양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1 원용진,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언론재단, 2004
32 이지영, "“한국 언어문화 현상 : 제안 담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 술대회, Vol.2005 No.1), 2005
33 김용재, "“대중매체 문화의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 13,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87-108, 1997
34 정해숙, "“결혼 이민자 한국어교육 효율화 방안”", 여성가족부, 2012
35 백영균,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15
36 조영미,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한국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어문화교육 , 제6권 2호 195-222, 2012
37 유은실, "“영화 비디오를 이용한 영어 학습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38 김미숙,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수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39 한정선, "“21세기 교사를 위한 멀티리터러시 교육”", Vol.31, No.3, 87-109, 2000
40 이채연, "“매체언어 교수학습연구의 전략과 실제”", 경진출판사, 2015
41 박정하, "“왜 영화로 글쓰기 교육을 해야 하는가?”", 한국사고와 표현 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 사고와 표현학회, 9-12, 2014
42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43 최영환, "“매체의 변화와 언어기능 교육의 역동화”", 한국 국어교육연 구회 학술발표대회, 1998
44 김성헌, 김인철, "“영어교육에 있어서 비디오 매체의 활용”", 「영어교 육」,53(4), 195-222, 연세대학교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2005
45 유영아, "“영화를 이용한 영어 담화능력 증진방안”",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46 박정선, 이상훈, "“한류 그 이후- 한류의 저력과 향후 과제”", 한국 학 중앙 연구원 출판부, 2015
47 김무영, 손민호,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교육과정 연구, 30(3), 21-49, 2012
48 이진용, "“대학 한국어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법”", 연세대학교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2017
49 최고은, "“미국 TV드라마 Modern Family 기반 연어 연구”", 한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50 이해영, "“프로젝트 활동을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 Foreign Languages Education, 제 7권 2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0
51 이복자, "“한국어 초급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법”", 연세대학교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2017
52 손정, "“중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53 주소희, "“TV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54 YU CHAOQUN,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고려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55 노윤아, "“스키마 이론과 읽기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국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56 윤선희, "“시트콤을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 교수방안”", 경남 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57 최지현,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탐구”", 국어교육학회 143-182 Vol.0 No.28, 2007
58 김규미, "“언어 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제작과 활용”", 북코리아, 2014
59 최지혜,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9
60 석가영,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한 발음 학습의 효과”", 인천대학교 교 육대학원 선사학위 논문, 2018
61 이병환, "“중국 대학생의 "한류" 인식 실태와 그 의미”",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2005
62 이충현, "“디지털 기술 활용 언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연세대학교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2017
63 이기정, 이자원, "“미국드라마를 활용한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영상 영어교육, 10(1) 171-191, 2009
64 김인경,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설명하는 글쓰기 연구”", 사고와 표현, 7(1), 사고와 표현학회, 189-206, 2014
65 박선희,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고급반 프로젝트 수업”", 이중 언어학, 30, 2006
66 강현화, "-b),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연 구, 제18권, 31-60, 2006
67 홍은실, "“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68 신문영, "“공익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실수업 모형 연구”", 경희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9 윤소화, "“한국어 독학용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방안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70 이윤자,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읽기 전략 수업 연구",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71 이수잔소명, "“자막 영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방안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72 윤영, "“한국어 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73 송재란, "“한국어교육에서 언어 문화 통합 교육 모형 연구”", 동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74 권성호, 유명숙, "“멀티리터러시 학습을 위한 성찰지원도구의 개발”", 교육공학연구 22권, 1호, 한국교육공학회 139-159, 2006
75 김양은, "“게임 미디어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시안적 연구”", 한국언 론학보, 52권 1호, 58~84, 2008
76 한정선,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해석과 접근-멀티리터러시”", 교육공 학연구, 제16권 제2호, 165-191, 2000
77 박주연, 최숙, 신선경, 반옥숙,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다차원적 정책분석”",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ol.25, No.5, 5-32, 2017
78 김지혜, 정명숙, 이유경,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웹교재 개발 방안”", 이중언어학, Vol.39, 2009
79 최희진,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정책 개발 연구”", 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80 김유정, "“설문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한국어 교육 제 10권1호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 1999
81 이혜수, "“한국 팬덤의 내부동학과 출현적 속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2 김세란, "“취업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83 유란, "“<성균관스캔들>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 연구”", 건국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84 김현숙, 이제영, "“드라마(Drama) 활용 초등영어교육의 효과 : 메타분 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2017
85 김은희, 이미향, "“한(韓)-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간 교육 연 구”",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 2, 2013
86 권성호, 서윤경, "“교육공학적 관점에 따른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울아카데미, 2005
87 권충훈,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콘텐츠의 인지 심리학적 효과”",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5호, 2005
88 정혜승, "문식성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교육과정연구, 26권 4호. 149-172, 2008
89 임정훈,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 국교육논단, 2008
90 김재욱,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Korean Research Memory) 연구 성과물, 2008
91 임희선, "“인터넷 TV드라마를 활용한 중학생 영어 듣기 지도 방안”", 한국외국어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92 민춘기,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의 외국 사례 및 국내 활용 가능성”", Vol. 71, No.71, 9-30, 2018
93 정현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1", 국어 교육학회, 5-42, 2004
94 이정희,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0권 1 호",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221-240쪽, 1999
95 김용석, "“영화 텍스트와 철학적 글쓰기-글쓰기의 실례를 통한 접근”", 철학논총, 42, 새한철학회, 433-478, 2006
96 구민지, 이지양, 박소연, "“한국어교육 기관 한국어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15-32, 2017
97 김아미, 정현선, 전경란, 이지선, 박유신, 노자연,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학 회, Vol.16 No.11, 2016
98 강효승, "“모바일 기반의 한국어 회화 콘텐츠 및 프로그램 설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99 김현정, "“한류 영상 매체의 이해를 위한 한국어 어휘 목록 선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100 한 선, "“문화간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 문화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 구”", 한국외국어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101 강소엽, "“드라마와 시트콤을 활용한 문화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 분 석”",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102 김재욱, "“마케도니아인을 위한 한국어 멀티미디어 부교재 활용 교수 법”", 외국어교육연구, Vol.28,no.2,pp. 1-23, 2014
103 옥현진,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 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7, 청람어문교육학회, 61-86, 2013
104 유주양, "“전략적 영어 듣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05 김성숙,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 법”", 연세대학교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2017
106 백재파, "“영상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 : 웹드라마를 중심 으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Vol.11 No.2, 61-83, 2018
107 Nishiyama, "“영화 자막이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습득에 미치 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08 이택행,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한 국제 한국어 원격교육 시스템의 설계”",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09 손병우, 양은경,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글로벌화 방안-한류현상 을 중심으로”", 태평양 장학 문화재단 학술연구지원, 669-685, 2002
110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 한 고찰”", 새국어교육, 94호, 한국국어교육학회, 84-108, 2013
111 안정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와 연구방향 의 모색”",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Vol. 8, No.3, 5-23, 2002
112 나정윤,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범용교재의 수요자 만족도 조사와 개발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13 최은정, "“영상매체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과학 교수 학습자료의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14 이수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우리말 교육 현장 연구, Vol.10 No.2, 26-46, 2016
115 유승원, "“한국어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에 있어서의 시각 콘텐츠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116 서경혜, "‘한국 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인의 가치체계 연구: 드라마를 중심으 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117 김나연, "“신화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단군신화를 중심 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118 한선,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 'TV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3(3), 195-216, 2007
119 박유진, "“한국어교육에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역할 및 활용 사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120 이혜정, "“Keller의 ARCS 이론을 적용한 학습자 참여기반의 영상활용 수업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1 이관식, "“광주 지역 학문 목적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 人文社會科學硏究, Vol.24, 102-127, 2009
122 설규주,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사회이해 콘텐츠(교재) 개발 연구”",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2
123 탁선호, "“아메리칸 갱스터: 신화적 이데올로기 안에 갖힌 흑인 갱스 터의 한계”", 인물과 사상, 160-168, 2008
124 성지희,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스크린 영어수업에 대한 학습자 반응 연구”", 영상영어교육, 8(1), 29-49, 2007
125 김효숙,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학습과학연구, 6권 2호, 20~38, 2012
126 김세용, "“대중매체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 치는 영향”", 한국외국어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127 김민성, "“과정중심적 웹기반 한국어 쓰기교육 : 'hanclass'의 운영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Vol.12 No.1, 2001
128 강보유, "“세계 속의 한류-중국에서의 한류와 한국어 교육 그리고 한 국문화 전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7
129 유경수, "“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영화 <아내가 결혼했다>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제75권, 2011
130 송임섭, 최정순, "“영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공동경비구 역 JSA >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5권, 639-668, 2012
131 강남희,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영어 교수- 학습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32 정혜진,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듣기 학습 전략 사용과 듣기 능력 향상에 관 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133 강현화, "-a),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요구 조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제 31권", 한국어학당 언어연구교육원, 2006
134 안수옥, "“비디오 활용 수업이 영어 듣기 이해도, 흥미도,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35 김재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매체를 활용한 문 화 통합 교육”",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36 박정하, "“영화 I am Sam 을 이용한 문화적 맥락 중심의 효과적인 영어 수업 방안 연구”", 영상영어교육, 6(1), 45-69, 2005
137 신영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학습전략 연구-메타인지 전략의 적용 모색”", 泮橋語文硏究, Vol.43, 88-109, 2016
138 이희복, 차유철, 정승혜, "“광고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연구 : 영국의 미디어 스마트 사례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Vol.6 No.4, 2013
139 이희복, "“광고의 수사적 비유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 공명의 영 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40 이용승, 이화숙, "( 다문화시대의 사회통합과 한국어 교육정책- 이주민 참여 율 분석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3
141 김소영, "“SIOP모델을 활용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 육 프로그램 연구”",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142 김경지,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영화와 노래를 중심 으로 한 수업활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43 김현아,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결혼 이주 여 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44 안희진, "「미국드라마를 활용한 학습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145 김희범, "“한류 스타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인의 한류 콘텐츠 이용 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46 박장순, "“한류의 생성 과정과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 드라마의 교류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47 전오경, "“한류'현상과 그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중국에 진출한 대중 음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48 이은형, "“Mayer의 멀티미디어 설계원리에 기반을 둔 초등교육용 모 바일 어플리케이션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
149 서상영,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국내 대학 한 국어교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50 박수연,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 - 초급반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2017
151 서수현, 옥현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 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 제46호, 한국초등국어교육 학회, 219-243, 2011
152 김재욱, "“귀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Vol.7 No.2 125-145, 2011
153 서보영, "“고전소설 변용을 통한 문화적 문식성 교육 연구-학습자의 <춘향전>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33권, 75-101, 2014
154 왕효성, "“대본 미리 읽기가 듣기에 미치는 효과: 중국인 대학생의 한 국 시트콤 시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155 이재현, 황영미,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모델 연 구: 영화평 협동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2), 한국교 양교육학회, 11-42, 2016
156 오의경, "“소셜 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재정의, 교 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권 3호, 385~406, 2013
157 오문경,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국외 보급 정책 연구-한류 기 반 잠재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158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 (competence)의 의 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교육과정 연구, 24(4), 1-25, 2006
159 오은영, "“외국어 말하기 학습을 위한 음성인식 테크놀로지 기반 상호 작용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0 변지선, "“대중매체에 나타난 무속의 문화콘텐츠 활용양상 연구-TV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Vol.37 No.2, 2015
161 정현선, "“인터넷 유머 이해의 문화교육적 고찰: 다중문식성과 하이퍼 텍스트적 소통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14집, 297-325, 2004
162 강남욱, "“온-오프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개론> 강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 우리말교육 현장연구, 2014
163 김영희, "“미국드라마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164 강장묵, "“인터넷 팬덤문화의 사회적 현상과 과제-한류 팬덤 연결 의 가치부여 방식과 확장성을 중심으로”", 한국 인터넷 통신학회, 2015
165 최정순, "“웹기반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서강대학교 가상대학 한국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8
166 안미리, "“웹을 활용한 명시적 듣기 전략 훈련이 대학생의 전략사용, 영어듣기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167 이현주, 조태린, "“한국어 교육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과 구축 방식 누리세종학당의 `디지털 자료관` 구축을 위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168 권성호, 김성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교육 1권, 1호, 한국교육방송공사, 65-82, 2011
169 박성옥, 이주연, "“음악을 적용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이 결혼이주민의 듣기-말하기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自然科學, Vol.23, 31-49, 2012
170 임응,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의 대학문화 교육방안 연구: TV 예능 프로그램<미녀들의 수다>를 활용하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171 정윤경, "“국내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시장 진입에 관한 연구-아시아 프로그램 유통에 관한 대안적 모델을 위하여”", 한국 언론학회 2001 년 봄철 정기 학술대회 발표문, 2001
172 강진숙, "“미디어 능력에서 ‘디지털 능력’으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 연구”", 한국 출판학 연구, 2007
173 강승혜, "“한국문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요구분석 : 일본 학습자 집단과 중국 학습자 집단의 비교”", 한국어 교육, Vol.14 No.3, 80-91, 2003
174 정현선, "“언어 텍스트 매체 문화 범주와 복합문식성 개념을 통 한 미디어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8호, 307-337, 2005
175 공성수, 김경수,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 향상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수업 모형-비평하기와 종합하기 요소를 중심으로”", 대학작문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Vol. 22, 11-49, 2017
176 지현숙, 최원상, "“21 세기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과 과제 ; 다매체 시대의 한국어 교육 ; 웹 기반 한국어교육 교재개발의 쟁점들”",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창립 15 주년 기념 ( 2000. 8 . 12 - 13 ) 새천년 맞이 제 10차 국제학술회의, 1999
177 김희정, "“이민자 사회통합과 언어교육제도 연구-네덜란드의 사회통합 시험제와 한국의 사회통합교육프로그램 이수제를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8 허진, "“중국의 한류 현상과 한국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 송학보 심포지움 “글로벌시대 방송프로그램의 유통과 국가 이미지 정체성”", 한국방송학회, 2002
179 김덕중, 남상현, "“2017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국 문화산업교류재단 김명산(2015), “모바일 교육 서비스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학 습 지원 모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80 박건숙, "“국내 웹 기반의 한국어 교육 사이트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 국 제교육진흥원, 문화관광부, 서강대학교, 재외동포재단 사이트를 대상으 로”", 한국어 교육, Vol.14 No.3, 2003
181 강란숙, "“한국 문화교육의 자료로서 아리랑 TV 영상 자료 활용에 대 한 외국인 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연구 - 해외 한국학 교육 현장(벨 기에)의 수업 사례 제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Vol.13 No.3, 2016
182 양지미진, "“The Effects of Videos with Written Input on Korean EFL Learners' Comprehension an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 Learners' Use of Subtitles while Watching Videos and Transcripts after Watching Videos”",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