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성별 특성의 차별적 영향을 포함하여 =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ncluding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is paper aim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Especially, I focused on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Methodology]For this purpose, I described prior literature review, examined various researche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relevance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et three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n Chungnam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indings]Theself-efficacy has not affec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the preparing for employ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specially, the gender characteristics has a very discriminatory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mplications]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reparation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번역하기

      [Purpose]This paper aim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Especially, I focused on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gender characteristic...

      [Purpose]This paper aim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Especially, I focused on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Methodology]For this purpose, I described prior literature review, examined various researche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relevance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et three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n Chungnam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indings]Theself-efficacy has not affec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the preparing for employ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specially, the gender characteristics has a very discriminatory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Implications]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gender characteristics on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reparation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ccoun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는 취업의 대안으로서 창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취업 중점 전공이라 할 수 있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영향력에 있어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위해 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간 총 3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36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토대로 타당성 분석, 신뢰성 분석,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로, 취업이 중점인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취업역량 및 취업몰입도)는 취업역량에 한해 창업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성별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히 성별 특성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연구의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본 연구는 취업의 대안으로서 창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취업 중점 전공이라 할 수 있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

      [연구목적]본 연구는 취업의 대안으로서 창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취업 중점 전공이라 할 수 있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영향력에 있어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위해 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간 총 3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36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토대로 타당성 분석, 신뢰성 분석,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로, 취업이 중점인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취업역량 및 취업몰입도)는 취업역량에 한해 창업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성별 특성이 취업준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학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성별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회계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히 성별 특성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연구의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대성, "한국 대학생의 창업교육효과에 관한 성별 비교 연구" 27 : 105-124, 2001

      2 현성용,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3 이석준, "체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역량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57-373, 2018

      4 최용석,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27, 2016

      5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심리특성과 내재적 동기가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6 (26): 2669-2690, 2013

      6 이인숙,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리 · 외식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25-39, 2013

      7 박성호,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감 및 경제적실패부담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업지원제도의 조절변수와 기업가정신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7

      8 정대용,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145-163, 2017

      9 한성수, "재취업 교육생의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87-397, 2018

      10 권영국, "외식관련전공 대학생의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93-210, 2013

      1 장대성, "한국 대학생의 창업교육효과에 관한 성별 비교 연구" 27 : 105-124, 2001

      2 현성용,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3 이석준, "체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역량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57-373, 2018

      4 최용석,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27, 2016

      5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심리특성과 내재적 동기가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6 (26): 2669-2690, 2013

      6 이인숙,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리 · 외식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25-39, 2013

      7 박성호,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감 및 경제적실패부담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업지원제도의 조절변수와 기업가정신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7

      8 정대용,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145-163, 2017

      9 한성수, "재취업 교육생의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87-397, 2018

      10 권영국, "외식관련전공 대학생의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193-210, 2013

      11 류예린, "외국인투자자의 투자기간에 따른 시장반응" 한국세무회계학회 (55) : 143-160, 2018

      12 문성식,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류학회 27 (27): 135-147, 2017

      13 박인, "셀프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와 창업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 (20): 159-177, 2017

      14 가혜영,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15 채연희, "대학생의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와 전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16 이현경, "대학생의 개인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11-120, 2016

      17 정유선, "대학생들의 개인특성이 창업교육, 창업관련지식, 자기효능감에 의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8

      18 지상현, "기업설명회가 실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지배구조 및 감사품질에 따라-" 한국세무회계학회 (55) : 29-52, 2018

      19 문성식,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시니어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8

      20 김성환, "공기업 직원의 자기효능감, 창업동기, 창업의지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91-99, 2014

      21 정대용,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29 (29): 467-488, 2016

      22 박시사, "개인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여행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1 (31): 187-204, 2007

      23 Thijssen, J. G., "Toward the employability-link model: Current employment transition to future employment perspectives" 7 (7): 165-183, 2008

      24 Gaylen N. Chandler, "The founder's self-assessed competence and venture performance" Elsevier BV 7 (7): 223-236, 1992

      25 Shapero A., "The displaced, uncomfortable entrepreneur" 9 : 83-88, 1981

      26 양준환,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Rela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oderating Role of Relational Support" 한국경영교육학회 31 (31): 181-198, 2016

      27 최주철,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on Employment Competency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3 (23): 107-115, 2018

      28 Ronald W. McQuaid,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SAGE Publications 42 (42): 197-219, 2016

      29 Judith L. Meece,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0 (80): 514-523, 1988

      30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31 Gardner, D. 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An Empirical Examination" 23 (23): 48-70, 1998

      32 Andrew Rothwell, "Self-perceived employability: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Elsevier BV 73 (73): 1-12, 2008

      33 Albert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37 (37): 122-147, 1982

      34 Dale H. Schunk, "Goal and Self-Evaluative Influences During Children’s Cognitive Skill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33 (33): 359-382, 2016

      35 Donald L. Sexton, "Female and male 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ole in gender-related discrimination" Elsevier BV 5 (5): 29-36, 1990

      36 Norris F. Krueger,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SAGE Publications 18 (18): 91-104, 2017

      37 Mel Fugate, "Employability: A psycho-social construct, its dimensions, and applications" Elsevier BV 65 (65): 14-38,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