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공존을 위한 문화심리학적 이해: 수직적 관계주의와 수평적 관계주의를 중심으로 = A Cultural Psychological Understanding for Coexistence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Vertical Relationalism and Horizontal Relat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7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는 오랜 기간 역사적으로 공동체를 개인보다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온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현재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전통적인 Hofstede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Triandis와 Gelfand(1998)의 수직적 집단주의-수평적 집단주의, 그리고 Brewer와 Chen(2007)은 집단주의를 문화적으로 세분화하여 집단적 집단주의와 관계적 집단주의로 구분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를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Triandis와 Gelfand(1998)의 수직적-수평적 구분과 Brewer와 Chen(2007)의 집단적-관계적 집단주의 개념을 결합하여 한국 문화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관계 문화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야기되는 세대 간의 갈등과 공존에 대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에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를 수직적 관계문화와 수평적 관계문화라는 관점으로 제시했고, 마지막으로 이 제안에 대해 앞으로의 실증적 연구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한국 사회는 오랜 기간 역사적으로 공동체를 개인보다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온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현재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전통적인 Hofst...

      한국 사회는 오랜 기간 역사적으로 공동체를 개인보다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온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현재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전통적인 Hofstede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Triandis와 Gelfand(1998)의 수직적 집단주의-수평적 집단주의, 그리고 Brewer와 Chen(2007)은 집단주의를 문화적으로 세분화하여 집단적 집단주의와 관계적 집단주의로 구분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를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Triandis와 Gelfand(1998)의 수직적-수평적 구분과 Brewer와 Chen(2007)의 집단적-관계적 집단주의 개념을 결합하여 한국 문화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관계 문화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야기되는 세대 간의 갈등과 공존에 대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에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를 수직적 관계문화와 수평적 관계문화라는 관점으로 제시했고, 마지막으로 이 제안에 대해 앞으로의 실증적 연구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ociety has a historical background of valuing groups or communities over individuals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various discussions regarding this trend. In addition to the Hofstede’s conventional view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Triandis and Gelfand’s(1998) vertical collectivism-horizontal collectivism, Brewer and Chen(2007) divided collectivism into relational-collectivism and collective-collectivism by culturally subdividing i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Korean culture by combining the vertical-horizontal division of Triandis and Gelfand(1998) and the concept of collective-relational collectivism of Brewer and Chen(2007) in order to analyze Korean culture in depth from a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and to explain the social phenomenon of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generations currently arising in Korean society. Accordingly, the culture in Korean society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ertical-relational culture and horizontal-relational culture. Finally,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mpirical research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for this proposal.
      번역하기

      Korean society has a historical background of valuing groups or communities over individuals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various discussions regarding this trend. In addition to the Hofstede’s conventional view of individualism and...

      Korean society has a historical background of valuing groups or communities over individuals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various discussions regarding this trend. In addition to the Hofstede’s conventional view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Triandis and Gelfand’s(1998) vertical collectivism-horizontal collectivism, Brewer and Chen(2007) divided collectivism into relational-collectivism and collective-collectivism by culturally subdividing i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Korean culture by combining the vertical-horizontal division of Triandis and Gelfand(1998) and the concept of collective-relational collectivism of Brewer and Chen(2007) in order to analyze Korean culture in depth from a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and to explain the social phenomenon of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generations currently arising in Korean society. Accordingly, the culture in Korean society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ertical-relational culture and horizontal-relational culture. Finally,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mpirical research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for this proposa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