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북한식 경제특구 사업의 특성과 한계 및 지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후 집권한 김정은은 자신의 경제정책의 상징으로 경제특구 및 개발구 정책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식 경제특구 사업의 특성과 한계 및 지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후 집권한 김정은은 자신의 경제정책의 상징으로 경제특구 및 개발구 정책을...
본 논문은 북한식 경제특구 사업의 특성과 한계 및 지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후 집권한 김정은은 자신의 경제정책의 상징으로 경제특구 및 개발구 정책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 핵심은 경제특구를 통한 외자유치 정책으로 요약할 수 있다. 2013년 5월 ‘경제개발구법’을 제정하여 21개의 지방급 경제개발구를 지정하였다. 2014년 7월에는 ‘신의주특수경제지대’를 ‘신의주국제경제지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북한은 이같은 조치를 통해 안정적인 투자 유치를 꾀하며 법제정을 통해 제도적인 하드웨이 구축에 힘썼지만,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그 원인은 첫째, 지방 개발구가 고립화되어 있다. 둘째, 인프라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셋째, 지방급 경제개발구에 자치권이 사실상 부재하다. 넷째, 투자 리스크를 낮출 수 있는 안전장치들이 미비하다. 북한의 특구는 중국의 초기 특구 정책에 비해 외국 기업들에 투자 유인을 제공하지 못했으며, 특구 내 시장경제 요소의 도입이 제한되었다. 북한의 특구 및 지역 개발구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으로 체제 개혁이 선행되어야 하며, 개혁 지도부의 등장이 필요하다. 북한 체제가 존속하면서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은 비핵화 실천과 베트남과 같은 100퍼센트 대외 개방을 실현해나가는 길 밖에는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orth Korean SEZ (Special Economic Zone) project. Kim Jong-un, who took office after Kim Jong-il’s death in December 2011, put forward Special Economic Zone and Development Zone ...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orth Korean SEZ (Special Economic Zone) project. Kim Jong-un, who took office after Kim Jong-il’s death in December 2011, put forward Special Economic Zone and Development Zone policies as a symbol of his economic policies. The core can be summed up by foreign investment policy through SEZ. In May 2013, the Economic Development Zone Act was enacted to designate 21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Zones. In July 2014, the Sinuiju Special Economic Zone was renamed Sinuiju International Economic Zone. Through such measures, North Korea sought to attract stable investment and tried to build institutional hardware through legislation, but its performance was very low.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local development zones are isolated. Second, infrastructure is not well equipped. Third, autonomy is virtually absent in local economic development zones. Fourth, there are insufficient safety measures to lower investment risk. North Korea’s special zones did not provide investment incentives to foreign companies, compared to China’s early special zone policies, and the introduction of market economy factors in the special zones was limited. In order for North Korea’s special zone and regional development zone policies to succeed, system reform must be preceded more fundamentally, and the reform leadership needs to emerge. The only way for the North Korean regime to develop its economy is to implement denuclearization and realize 100 percent openness like Vietna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환, "탈사회주의 25년의 경험과 북한의 체제전환: 함의와 정책 방향" 국립외교원 2015
2 권영경, "중국의 사례를 통해 본 김정은정권 경제개발구 정책의 과제와 향후 전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81-206, 2015
3 "중국의 개혁. 개방 - 경제특구 정책의 성공요인"
4 "중국서 잇따라 열리는 북한 투자 설명회"
5 김미숙, "중국과 베트남 초기 경제특구와 비교를 통한 북한 경제특구 평가" 7 (7): 191-205, 2018
6 Eui-Hyun Choi, "중국 경제특구 정책의 성과와 한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8 (8): 291-317, 2004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법"
8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9 박승일, "북한의 외국인 투자법제 현황과 과제-중국의 외국인투자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3) : 69-112, 2019
10 이용희, "북한의 경제특구정책과 실패요인 -중국의 경제특구정책과의 비교분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5 (25): 267-308, 2013
1 김태환, "탈사회주의 25년의 경험과 북한의 체제전환: 함의와 정책 방향" 국립외교원 2015
2 권영경, "중국의 사례를 통해 본 김정은정권 경제개발구 정책의 과제와 향후 전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81-206, 2015
3 "중국의 개혁. 개방 - 경제특구 정책의 성공요인"
4 "중국서 잇따라 열리는 북한 투자 설명회"
5 김미숙, "중국과 베트남 초기 경제특구와 비교를 통한 북한 경제특구 평가" 7 (7): 191-205, 2018
6 Eui-Hyun Choi, "중국 경제특구 정책의 성과와 한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8 (8): 291-317, 2004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법"
8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9 박승일, "북한의 외국인 투자법제 현황과 과제-중국의 외국인투자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3) : 69-112, 2019
10 이용희, "북한의 경제특구정책과 실패요인 -중국의 경제특구정책과의 비교분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5 (25): 267-308, 2013
11 남성욱, "북한의 경제특구 현황과 향후 발전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6
12 이부형, "북한의 경제개발구와 ‘통일경제특구’ 구상의 연계 가능성" 현대경제연구원 18 (18): 1-13, 2018
13 임호열, "북한의 경제개발구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 15 (15): 1-13, 2015
14 김진환, "북한사회와 자본주의 세계의 공존 : 이론과 가능성" 북한학연구소 14 (14): 5-40, 2018
15 정형곤, "북한경제의 개혁전망과 과제: 북한식 도이모이?" 19 (19): 1-20, 2019
16 서봉교, "북한 경제특구의 전망과 과제: 중국 특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LG경제연구원 2001
17 조명철, "북한 경제특구 정책의 교훈과 정책과제" 07 (07): 1-15, 2007
18 "북, 베트남식 개방땐 체제 흔들릴까 우려 특구중심 개발 원해"
19 김소영, "대북제재로 올해 북한 경제 무너지지 않아"
20 "김정은, 백마타고 백두산 오른 모습 과시 ‘ 美가 강요한 고통, 이제 인민 분노로 변해’"
21 조셉 윤, "김정은, 그린라이트 받고 美에는 ‘ 中카드’ 메시지"
22 임을출, "김정은 시대의 경제특구: 실태, 평가 및 전망. in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 15-32, 2015
23 이승욱,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 19 (19): 122-142, 2016
24 권영경,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 한국수출입은행 1-26, 2014
25 유현정, "김정은 시기 북한 경제특구정책의 변화와 개성공단 재개에 주는 함의" 북한연구소 43 (43): 340-372, 2018
26 쉬밍치(徐明琪), "경제특별구에서 자유무역시범구까지"
27 "美, 스톡홀름 협상 때 에 ‘원산·갈마’ 개발 청사진 내놨다"
28 박정우, "[북한경제, 어제와 오늘] 경제특구 조성"
29 남성욱, "[북한 관광특구 개발 실태] 김정은 정권의 관광특구 개발, 전략과 의도는 ?" (568) : 54-61, 2019
30 Chavance, Bernard, "The Transformation of Communist System" Westview Press 1994
31 Kornai, Janos, "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32 Mann, Michael, "The Autonomous Power of the State: Its Origins, Mechanisms and Results" 25 (25): 185-213, 1984
33 Fang, Sheng, "Special Economic Zones in China" 13 (13): 83-92, 1994
34 "North Korea’s special economic zones not conducive for investment despite reforms"
35 북한 대외경제법률상담소, "KOTRA 북한 투자 환경 설명회 현장을 가다"
36 Monaghan, Philip, "China’s Special Economic Zones need re-think for low carbon age"
평화와 통일, 순례를 위한 DMZ Peace Road의 구상
평화적 갈등관리방식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사례를 중심으로
한-아프리카의 경제교류와 대(對)아프리카평화외교전략의 구상
주한/주일 미군 주둔기지 환경오염과 환경정화 쟁점:초국가적 다층 거버넌스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3-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48 | 0.88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