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한 경험적 미디어아트 전시공간구성 연구 = A Study of the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Exhibition through the Aesthetics of Pragma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면서 20세기 중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변모해 온 미디어아트는 예술 창작, 존재, 감상 방식에 있어서 전통 미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특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이나 전시 방법론과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축적이며 공간 디자인적 맥락의 논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들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전시공간구성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미디어아트는 관람객의 적극적 개입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으며, 그 감상 경험이 전통미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은 새롭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전시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각 공간 연구들이 가지는 특성과 가치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적 접근의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정량적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의미와 가치, 미디어아트에서의 미적 경험을 작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적 관계가 실천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신체적 참여와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주목한 존 듀이와 그의 논의를 발전시킨 리처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해 정성적 측면에서 접근해본다. 이러한 미학적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기존의 건축적 논의에서 도출된 전시공간구성 유형 논의 중 ‘연속적 전시공간구성’이 관람객들에게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미적 경험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미디어아트의 전시공간구성으로서 적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번역하기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면서 20세기 중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변모해 온 미디어아트는 예술 창작, 존재, 감상 방식에 있어서 전통 미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면서 20세기 중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변모해 온 미디어아트는 예술 창작, 존재, 감상 방식에 있어서 전통 미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특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이나 전시 방법론과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축적이며 공간 디자인적 맥락의 논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들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전시공간구성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미디어아트는 관람객의 적극적 개입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으며, 그 감상 경험이 전통미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은 새롭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전시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각 공간 연구들이 가지는 특성과 가치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적 접근의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정량적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의미와 가치, 미디어아트에서의 미적 경험을 작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적 관계가 실천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신체적 참여와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주목한 존 듀이와 그의 논의를 발전시킨 리처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해 정성적 측면에서 접근해본다. 이러한 미학적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기존의 건축적 논의에서 도출된 전시공간구성 유형 논의 중 ‘연속적 전시공간구성’이 관람객들에게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미적 경험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미디어아트의 전시공간구성으로서 적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a Art has started with breaking the traditional art form with experimental art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is has increasingly developed with the power of technology in the mid 20th century. The media art shows a different way of viewing and appreciating art when compared to the way of creating traditional art, and its existence of viewing art. However, exhibitions spaces or systems research lack of exhibit the Media Art. And existing research have been focused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and design discussion. Add to this, this study argues that new method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focusing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t to draw spectators are often actively involved, the aesthetic experience is present in a different form from traditional arts characteristics. For this, this study therefore, will explore way previous research on space and each spac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has a view on significance that previous quantitative research have been complemented by aspect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media art exhibition space discourse. Especially, through the discussion from the aesthetics of Pragmatism will discuss the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exhibition that provides an aesthetic experience to visitors. The pragmatism of artistic values are not finalized but the process is taken in consider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and interaction, the Media Art medium’s values support this. Based on these discussion, supporting a new approach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draw conclusion that sequence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is pertinent to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번역하기

      Media Art has started with breaking the traditional art form with experimental art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is has increasingly developed with the power of technology in the mid 20th century. The media art shows a different way of viewing and ap...

      Media Art has started with breaking the traditional art form with experimental art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is has increasingly developed with the power of technology in the mid 20th century. The media art shows a different way of viewing and appreciating art when compared to the way of creating traditional art, and its existence of viewing art. However, exhibitions spaces or systems research lack of exhibit the Media Art. And existing research have been focused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and design discussion. Add to this, this study argues that new method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focusing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t to draw spectators are often actively involved, the aesthetic experience is present in a different form from traditional arts characteristics. For this, this study therefore, will explore way previous research on space and each spac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has a view on significance that previous quantitative research have been complemented by aspect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media art exhibition space discourse. Especially, through the discussion from the aesthetics of Pragmatism will discuss the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exhibition that provides an aesthetic experience to visitors. The pragmatism of artistic values are not finalized but the process is taken in consider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and interaction, the Media Art medium’s values support this. Based on these discussion, supporting a new approach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draw conclusion that sequence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is pertinent to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아카넷 2003

      3 줄리아나 브루노, "퍼블릭 인티머시: 시각예술의 공간적 확장" 픽셀하우스 2011

      4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05

      5 캐롤리 테아, "큐레이터는 세상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아트북스 2006

      6 에머 바커, "전시의 연금술 미술관 디스플레이" 아트북스 2004

      7 정면주,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와 관객과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전시 해석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14 (14): 415-424, 2011

      8 송은주, "예술의 미적 개념 변화와 뉴미디어 아트 특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3) : 417-426, 2011

      9 황준호, "서울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연속적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9-32, 2009

      10 李宗洙, "박물관의 연속적 전시공간 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현대의 중규모 박물관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아카넷 2003

      3 줄리아나 브루노, "퍼블릭 인티머시: 시각예술의 공간적 확장" 픽셀하우스 2011

      4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2005

      5 캐롤리 테아, "큐레이터는 세상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아트북스 2006

      6 에머 바커, "전시의 연금술 미술관 디스플레이" 아트북스 2004

      7 정면주,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와 관객과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전시 해석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14 (14): 415-424, 2011

      8 송은주, "예술의 미적 개념 변화와 뉴미디어 아트 특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3) : 417-426, 2011

      9 황준호, "서울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연속적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9-32, 2009

      10 李宗洙, "박물관의 연속적 전시공간 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현대의 중규모 박물관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1 정재훈, "박물관 실내공간에서의 관람동선 및 행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2 문정묵, "미술관 전시공간 구조의 시대적 의미 변화에 관한 해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3 리처드 슈스터만, "몸의 의식: 신체미학-솜에스테틱스" 북코리아 2010

      14 이지언, "몸의 미학과 여성예술가 -리처드 슈스터만의 신체미학(somaesthetics)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5 : 181-204, 2011

      15 랜덜 패커,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현실까지" nabi press 2004

      16 김진엽, "디지털 예술의 미학적 논점 : 상호작용" 2 : 145-178, 2002

      17 강영태, "디지털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서의 실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10

      18 신정원, "뉴미디어아트 미학의 가능성" 인문콘텐츠학회 (20) : 35-59, 2011

      19 고창선, "뉴 미디어 아트에서 물리적 심미적 거리를 통한 관조의 재해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723-733, 2011

      20 최보람, "관람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미디어 아트의 전시 공간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423-433, 2013

      21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2010

      22 Michael Oakeshott, "공간과 장소" 대윤 2011

      23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24 Beryl Graham, "Rethinking Curating" The MIT Press 2009

      25 Herbart Bayer, "Aspects of Design Exhibition and Museum" The MIT Pres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