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6ㆍ25전쟁을 겪은 작가 문순태가 전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소설 쓰기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자전적 요소가 드러나는 작품을 발표 순서대로 살펴, 치유 효과를 밝히는 데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91556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343-364(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6ㆍ25전쟁을 겪은 작가 문순태가 전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소설 쓰기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자전적 요소가 드러나는 작품을 발표 순서대로 살펴, 치유 효과를 밝히는 데 그 ...
이 논문은 6ㆍ25전쟁을 겪은 작가 문순태가 전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소설 쓰기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자전적 요소가 드러나는 작품을 발표 순서대로 살펴, 치유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문순태에게 소설 쓰기는 전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도구였으며, 글을 쓰는 자체가 치유의 과정이었다. 문순태의 자전적 소설 쓰기는 자신의 ‘부끄러움’의 근원인 ‘아버지의 억울한 누명 벗기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말하는 돌」, 「철쭉제」, 「잉어의 눈」에서 ‘나’는 아버지의 억울한 누명 벗기기를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거인의 밤」에서는 시점의 변화를 통해 고향 사람들에 대한 수치심에서 벗어난다. 「무당새」에 이르러서는 삼인칭 시점으로 변화를 줌으로써, 전쟁 트라우마의 치유 가능성을 제시한다. 1990년대 중반에 쓴 「시간의 샘물」과 「흰거위산을 찾아서」에서는 고향이 더는 ‘상처의 공간’이 아니라 전쟁 이전 친구들과 놀았던 ‘추억의 공간’으로 자리를 잡는다.
이렇듯 문순태는 장기간 치유적 글쓰기를 했지만, 중ㆍ단편 소설에서는 그의 내재한 응어리까지 이야기하지 못했다. 그가 2005년에 『41년생 소년』을 쓴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내재한 응어리를 풀고, 자신의 기억을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41년생 소년』에서는 개인의 기억과 집단의 기억을 교차시키는 글쓰기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사건’의 잉여인 표상 불가능한 ‘사건’의 존재”를 드러낸다. 자신이 경험했던 사건과 희생자들의 ‘사건의 조각’을 엮어서, 이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과 그 기억을 공유하고자 했다. 다른 하나는 자신처럼 트라우마를 지닌 채 살아온 생존자들이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떳떳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 써 생존자들이 털어놓은 이야기는 뼈대만 앙상했던 기록에 피와 살이 되어 새로운 역사가 될 것이다. 이는 생존자들이 자신의 역사를 다시 쓰는 것이며, 고향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순태가 정년퇴임을 앞두고 『41년생 소년』을 쓴 것은 개인적으로는 자신을 치유하는 행위이자, 역사적으로는 생존자들의 ‘기억 투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41년생 소년』은 1941년에 태어난 많은 이들의 치유의 기록이자, 우리가 기억해야 할 새로운 역사의 증언이다.
이 논문은 문순태의 전체 소설 중에서 자전적 요소가 드러나는 작품을 발표 순서대로 분석하여, 그의 소설 쓰기가 허구적 인물이 무엇을 느끼고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창작함으로써 자신을 이해하고자 하는 치유 행위였음을 밝혔다. 이러한 시도는 문순태 소설을 치유적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소설 쓰기가 작가의 트라우마 치유에 어떻게 도움을 주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향후 다른 작가의 트라우마 치유 연구로 그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ing effects of Moon Soon-tae’s works that reveal autobiographical elements by examining the works in the order of publication with a view to finding out how Moon Soon-tae,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used novel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ing effects of Moon Soon-tae’s works that reveal autobiographical elements by examining the works in the order of publication with a view to finding out how Moon Soon-tae,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used novel writing to heal his trauma of the war.
To Moon Soon-tae, novel writing was a tool to heal his war trauma and writing per se was a healing process. Moon Soon-tae's autobiographical novel writing began with ‘removing his father’s bum rap’, which was the root of his 'shame'. In 「Talking Stone」, 「Royal Azalea Festival」and 「Carp’s Eye」, 'I' try to get rid of his father's bum rap, but fail due to the rejection of the villagers. In 「Night of a Giant」, through the change of point of view, Moon Soon-tae escapes from the shame of his hometown people. In 「Yellow Bunting」, he changed the viewpoint into a viewpoint of the third person to present a possibility to heal his was trauma. In 「The Springwater of Time」 and 「In Search of the White Goose Mountain」, written in the mid-1990s, his hometown is not “a place of wounds”, but “a place of memories” where he played his friends before the war.
In this way, Moon Soon-tae wrote a long-term healing writing, but he did not talk about the inherent wounds in the middle and short novels, so the coarseness was not solved yet. There are two reasons why he wrote 『A Boy Born in 1941』 in 2005. One was to unravel the clot that had not yet been solved. Therefore, his bitter feeling was not yet relieved. In 『A Boy Born in 1941』, he reveals “the existence of unrepresentable ‘incidents’ that are a surplus of ‘incidents’” through the writing that crossed personal memories and group memories. He wove the incidents experienced by him and the ‘fragments of the incidents’ of the victims with a view to sharing the memories with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the incidents. The other is that he wanted the survivors living with trauma as with him to honorably tell the stories about how they lived to their family members and people around them. By doing so, the stories told by the survivors will become the flesh and blood of the record in which only the bare skeleton existed to make a new history. It is survivors’ rewriting of their own history and restoring the history of their homeland. Therefore, Moon Sun-tae's writing of 『A Boy Born in 1941』 ahead of his retirement can be seen as an act of healing himself personally and as a 'memory struggle' of the survivors historically. Therefore, 『A Boy Born in 1941』 is a record of healing of many people born in 1941, and a new testimony of history that we should remember.
This paper analyzed Moon Soon-tae's novels that reveal autobiographical elements in order of publication to clarify that his novel writing was a healing act to understand himself by creating what fictional characters feel and think. Such an attempt of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newly analyzed Moon Soon-tae's novels from a viewpoint of healing, and its horizon is regarded to be expandable to other writers' trauma healing studies hereafter because it clarified how novel writing helps authors heal their trauma.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연숙, "형상화된 언어, 치유적 삶" 교육과학사 2015
2 제임스 W. 페니 베이커, "표현적 글쓰기" 엑스북스 2017
3 페니 베이커, "털어놓기와 건강" 학지사 1999
4 박미라, "치유하는 글쓰기" 한겨레출판 2009
5 셰퍼드 코미나스, "치유의 글쓰기" 홍익출판사 2008
6 루이즈 디살보, "치유의 글쓰기" 경진 2018
7 손무연, "치유로서의 글쓰기-팀 오브라이언의"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을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8 문순태, "제3의 국경" 예술문화사 1993
9 문순태, "인간의 벽" 나남 1984
10 문순태, "인간의 벽" 나남 1984
1 채연숙, "형상화된 언어, 치유적 삶" 교육과학사 2015
2 제임스 W. 페니 베이커, "표현적 글쓰기" 엑스북스 2017
3 페니 베이커, "털어놓기와 건강" 학지사 1999
4 박미라, "치유하는 글쓰기" 한겨레출판 2009
5 셰퍼드 코미나스, "치유의 글쓰기" 홍익출판사 2008
6 루이즈 디살보, "치유의 글쓰기" 경진 2018
7 손무연, "치유로서의 글쓰기-팀 오브라이언의"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을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8 문순태, "제3의 국경" 예술문화사 1993
9 문순태, "인간의 벽" 나남 1984
10 문순태, "인간의 벽" 나남 1984
11 문순태, "인간의 벽" 나남 1984
12 한순미, "용서를 넘어선 포용 - 문순태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165-195, 2014
13 문순태, "시간의 샘물" 실천문학사 1997
14 문순태, "시간의 샘물" 실천문학사 1997
15 문순태, "소설창작연습" 태학사 1998
16 장 그르니에, "섬" 민음사 2011
17 조은숙, "생오지 작가, 문순태에게로 가는 길" 역락 2016
18 문순태, "살아있는 소문" 문학사상사 1986
19 문순태, "사랑하지 않는 죄" 명문당 1991
20 조은숙, "문순태 소설의 지형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66) : 265-289, 2016
21 김요섭, "무덤 없는 자들 — 임철우·문순태 소설의 매장 모티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82) : 79-104, 2020
22 줄리아 카메론, "나를 치유하는 글쓰기" 이다미디어 2013
23 문순태, "꿈" 이룸 2006
24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1998
25 현기영, "기억과 기억들" 씽크스마트 2017
26 오카 마리, "기억 서사" 소명출판 2004
27 채연숙, "글쓰기 치료-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1
28 문순태, "그늘 속에서도 풀꽃은 핀다" 강 1992
29 문순태, "고향으로 가는 바람" 소명출판 2021
30 문순태, "고향으로 가는 바람" 창작과비평사 1977
31 김영희, "‘내면아이(inner child)’ 개념을 활용한 자기 상실 애도의 글쓰기" 한국문학치료학회 36 : 197-251, 2015
32 문순태, "41년생 소년" 랜덤하우스중앙 2005
이강백 희곡의 도시 공간 연구 -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1987)」와 「칠산리(1988)」를 중심으로
부산 스카이라인 형성 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퍼스 기호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전설의 기호적 성격과 유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