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속곳춤의 인류학적 표현성 연구 - 빅터 터너(Victor Turner)개념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27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빅터 터너의 통과 의례인 ‘분리-전이-통합’의 개념을 속곳과 관련된 의례의 춤에 대입하여 표현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획일화되는 세계 문화보편주의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적 ...

      본 연구는 빅터 터너의 통과 의례인 ‘분리-전이-통합’의 개념을 속곳과 관련된 의례의 춤에 대입하여 표현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획일화되는 세계 문화보편주의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적 다양성과 예술현장 에서의 콘텐츠활용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속곳춤은 중심이 아닌 사회적으로 주변부인 여성의 춤이 자, 민중이 주체가 되는 춤이다. 하나로 수렴되는 현상을 분산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춤을 연구의 핵심 으로 삼았다. 속곳춤은 기본적으로 여인들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춤이다. ‘분리’의 단계를 만들어 내 는 춤의 대상은 마을의 안전을 해치는 도깨비, 원혼, 질병이다. 부정의 대상을 강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적 생명성을 강조한 쫓아냄의 춤을 춘다. ‘전이’는 빅터 터너가 중요시한 의례 단계이다. ‘리 미날리티(Liminality), 커뮤니타스(Communitas)’로 경계, 반구조, 중간단계의 시공간이다. 이때 여성은 오 히려 사회적 억압의 기제에서 벗어나 여성성이 강화된 춤을 춘다. 그것은 사회적으로 드러낼 수 없었던 속옷을 드러내고 심지어 아랫 속옷을 위로 입고 춤을 추는 전복적 형상을 만들어 낸다. 커뮤니타스에서 좀 더 여성들의 집단성이 강화된다. 그 표현방식으로 남녀 모두에게 금기시 되는 피의 드러냄이다. 의례 에서 피는 부정과 오염이다. 하지만 속곳에 피를 묻혀 극단적 더러움을 표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여성의 월경을 연상하게 한다. 월경은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여성성의 상징이자 생명으로 인해 죽음이 공존 함을 드러낸다. 피 묻은 속곳을 디딜방아에 씌우거나, 막대기에 걸어 부정의 대상들을 쫓아내는 것은 여 성의 신성한 힘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통합’은 전이의 국면을 함께 경험함으로써 다시 돌아가게 되는 일 상은 다른 일상이 된다.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한 여성들을 사회에 필요한 일원으로서 자긍심 을 느끼게 한다. 이 과정에서 의례의 엄격함보다는 모두가 참여하도록 한 의례의 간결함에 있다. 표현에 있어 단순함은 공감의 신명을 공유할 수 있는 힘이 된다. 본 연구에 나타난 특성을 통해 작품에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veness by applying Victor Turner’s concept of ‘separation-transitionintegration’, a rite of passage, to a ritual dance related to a place. It aims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contents in the a...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veness by applying Victor Turner’s concept of ‘separation-transitionintegration’, a rite of passage, to a ritual dance related to a place. It aims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contents in the art scene as a solution to global cultural universalism. Sokkgot dance is a dance of women who are socially peripheral rather than central, and a dance in which the people are the main actors. This dance, which has the power to disperse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was the core of the research. It is basically a dance in which women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village. The objects of the dance that create the stage of ‘separation’ are ghosts, spirits, and diseases that harm the safety of the village. It is a dance of exorcism that emphasizes feminine vitality rather than forcibly removing unclean objects. ‘Transition’ is a ritual stage that Victor Turner emphasized. ‘Liminality, Communitas’ is a boundary, semi-structure, and in-between time and space. At this time, women perform a dance that strengthens their femininity by breaking free from the system of social oppression. It creates a subversive figure that reveals underwear that cannot be revealed socially and even dances with the lower underwear on top. It creates a more feminine collectivity in the communitas. As a form of expression, it is the display of blood, which is taboo for both men and women. In ritual, blood is unclean and polluting. However, by expressing extreme uncleanness through the use of blood on the inside, it paradoxically evokes women’s menstruation. Menstruation is a symbol of femininity, capable of giving birth to life, but it also reveals the coexistence of death with life. Putting a bloody insole on a treadmill or hanging it on a stick to drive away the unclean is a way to reveal the power of feminine divinity. ‘Integration’ is a phase of transition that is experienced together, so that the routine that is returned to becomes a different routine. The women who have helped solve the village’s problems feel a sense of pride as necessary members of society. In this process, it is not the rigor of the ritual but the simplicity of the ritual that allows everyone to participate. Simplicity in expression is the power to share the mandate of empathy. It 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be utilized in art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Ⅱ. 빅터 터너와 속곳 의례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Ⅱ. 빅터 터너와 속곳 의례
      • 2.1. 빅터 터너의 의례 인류학 개념
      • 2.2. 속곳 관련 의례 종류
      • Ⅲ. 빅터 터너의 속곳춤 의례 구성
      • 3.1. 속곳춤의 분리
      • 3.2. 속곳춤의 전이
      • 3.3. 속곳춤의 통합
      • Ⅳ. 속곳춤의 표현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