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교육 경험,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513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2009. 2. 졸업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72 p. : 삽화.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4-57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이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이와 동시에 어머니가 이러한 양육신념을 가질 때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고,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아동은 보다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사교육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rated by mothers, and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nd stress was lowe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Second, wh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higher, children's stress was higher. Third,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Finally,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beliefs also it influenced indirectl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gai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children's stress was lower. S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was higher through the path.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6
      • A. 주관적 안녕감 = 6
      • B.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 7
      • 1.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 7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6
      • A. 주관적 안녕감 = 6
      • B.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 7
      • 1.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 7
      • 2.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 = 9
      • 3. 아동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 12
      • C.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 = 14
      • 1.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스트레스 = 14
      • 2.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 = 15
      • D.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교육 경험 = 16
      •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18
      • A. 연구문제 = 18
      • B. 용어정의 = 19
      • Ⅳ. 연구방법 = 21
      • A. 연구 대상 = 21
      • B. 조사도구 = 22
      •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 27
      • Ⅴ. 연구결과 = 29
      • A. 예비분석 = 29
      • B.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31
      • C.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32
      • D.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에 미치는 영향 = 34
      • E.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34
      • Ⅵ. 논의 및 결론 = 38
      • 참고문헌 = 44
      • 부록 1. 어머니용 설문지 = 58
      • 부록 2. 아동용 설문지 = 66
      • ABSTRACT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