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문화운동 시기,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 편집인 교체에 따른 출판 양상 변화 분석 = An analysis of internal changes in the editorial network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ransiti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6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aced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of 󰡔商務印書館-Commercial Press󰡕 and 󰡔東方雜誌-Eastern Miscellany󰡕 that occurred in the wake of the May Fourth(5.4) Movement. In view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the demand for a huge periodic change called the 5.4 Movement also brought a great change in the publishing market. Therefore, existing publishing capitals with vested rights also had no choice but to respond to these demands. In other words, the value revolution created by the radicals derived the conservative camp's response and reform methods, which again became part of the 5・4 Movement.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ocess in which the editorial direction and principles of 󰡔商務印書館-Commercial Press󰡕were created in the history of Chinese publishing, and by analyzing the major editors who were active in the publishing house from 1910 to the early 1920s in chronological order while explored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values found in their personal changes. Among them, the critical event that the author paid the most attention to is the emergence of bilingual editors who are growing in the publishing industry with vested interests, that is, editors who speak both traditional Chinese and vernacular Chinese at the same time. This incident was an important noteworthy qualitative change in the publishing world, and the systemic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intellectual community called the May Fourth (5.4) Movement. Tracing the historical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time they grew up adds to the richness of the discourse related to the 5・4 Movement and highlights the stereoscopicity of the 5・4 Movement.
      번역하기

      This paper traced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of 󰡔商務印書館-Commercial Press󰡕 and 󰡔東方雜誌-Eastern Miscellany󰡕 that occurred in the wake of the May Fourth(5.4) Movement. In view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the demand for a h...

      This paper traced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of 󰡔商務印書館-Commercial Press󰡕 and 󰡔東方雜誌-Eastern Miscellany󰡕 that occurred in the wake of the May Fourth(5.4) Movement. In view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the demand for a huge periodic change called the 5.4 Movement also brought a great change in the publishing market. Therefore, existing publishing capitals with vested rights also had no choice but to respond to these demands. In other words, the value revolution created by the radicals derived the conservative camp's response and reform methods, which again became part of the 5・4 Movement.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ocess in which the editorial direction and principles of 󰡔商務印書館-Commercial Press󰡕were created in the history of Chinese publishing, and by analyzing the major editors who were active in the publishing house from 1910 to the early 1920s in chronological order while explored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values found in their personal changes. Among them, the critical event that the author paid the most attention to is the emergence of bilingual editors who are growing in the publishing industry with vested interests, that is, editors who speak both traditional Chinese and vernacular Chinese at the same time. This incident was an important noteworthy qualitative change in the publishing world, and the systemic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intellectual community called the May Fourth (5.4) Movement. Tracing the historical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time they grew up adds to the richness of the discourse related to the 5・4 Movement and highlights the stereoscopicity of the 5・4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5・4시기를 맞이하여 발생하는 商務印書館과 󰡔東方雜誌󰡕의 편집진 교체와 그에 따른 출판 양상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당시 상황에 비춰볼 때, 5・4라는 거대한 시대적 변혁의 요구는 출판시장에 있어서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에 따라 기존 기득권 출판 자본들 또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급진파들이 만들어 낸 가치 혁명은 그에 대한 보수진영의 대응과 개량의 방식들을 촉발했고, 이는 다시 5・4의 일부분이 되었다. 본 논문은 중국 출판사(出版史)에서 商務印書館의 편집 방향과 원칙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개괄적 소개와 1910년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해당 출판사에서 활약한 주요 편집자들의 경향을 비교함으로써, 이 같은 인적 변화 과정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 상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탐구하였다. 그 가운데 필자가 가장 주목한 핵심 사건은 바로 기득권 출판업계에서 성장한 이중 언어 구사 편집인, 즉 고문과 백화를 동시에 구사하는 편집인의 등장이다. 출판시장 판도의 변화로 인해 문언문을 전용으로 사용하던 출판사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백화의 소비가 폭증하는 상황 속에서 당시 거대 출판사였던 商務印書館의 대응은 단순히 보수주의라는 정치적 성향에만 기댈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출판시장 내에서의 생존을 위해 인적 청산과 언어 체제의 변화를 수용하는 반(半) 자발적 개량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사건은 단지 출판 산업 내에서의 점유구조 변화만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5・4 중국 지식계의 전반적 체제 전환과 질적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분수령이었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 같은 신식 지식인들의 등장 과정 속 중층적 문예사의 맥락을 추적하는 것은 5・4를 전통 시간에 대한 단절로만 해석해 온 지금까지의 주류 관점을 보완하고, 그 시대의 입체성을 다시금 복원하는데 주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5・4시기를 맞이하여 발생하는 商務印書館과 󰡔東方雜誌󰡕의 편집진 교체와 그에 따른 출판 양상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당시 상황에 비춰볼 때, 5・4라는 거대한 시대적 변혁의 ...

      본 논문은 5・4시기를 맞이하여 발생하는 商務印書館과 󰡔東方雜誌󰡕의 편집진 교체와 그에 따른 출판 양상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당시 상황에 비춰볼 때, 5・4라는 거대한 시대적 변혁의 요구는 출판시장에 있어서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에 따라 기존 기득권 출판 자본들 또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급진파들이 만들어 낸 가치 혁명은 그에 대한 보수진영의 대응과 개량의 방식들을 촉발했고, 이는 다시 5・4의 일부분이 되었다. 본 논문은 중국 출판사(出版史)에서 商務印書館의 편집 방향과 원칙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개괄적 소개와 1910년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해당 출판사에서 활약한 주요 편집자들의 경향을 비교함으로써, 이 같은 인적 변화 과정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 상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탐구하였다. 그 가운데 필자가 가장 주목한 핵심 사건은 바로 기득권 출판업계에서 성장한 이중 언어 구사 편집인, 즉 고문과 백화를 동시에 구사하는 편집인의 등장이다. 출판시장 판도의 변화로 인해 문언문을 전용으로 사용하던 출판사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백화의 소비가 폭증하는 상황 속에서 당시 거대 출판사였던 商務印書館의 대응은 단순히 보수주의라는 정치적 성향에만 기댈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출판시장 내에서의 생존을 위해 인적 청산과 언어 체제의 변화를 수용하는 반(半) 자발적 개량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사건은 단지 출판 산업 내에서의 점유구조 변화만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5・4 중국 지식계의 전반적 체제 전환과 질적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분수령이었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 같은 신식 지식인들의 등장 과정 속 중층적 문예사의 맥락을 추적하는 것은 5・4를 전통 시간에 대한 단절로만 해석해 온 지금까지의 주류 관점을 보완하고, 그 시대의 입체성을 다시금 복원하는데 주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任元彪, "面对西方科学的冲击杜亚泉回应方式" 3 (3): 2006

      2 伧父, "静的文明與动的文明" 13 (13): 1916

      3 余连祥, "逃墨馆主茅盾传" 杭州浙江人民出版社 50-51, 2006

      4 景藏, "财产制度" 17 (17): 1920

      5 景藏, "行政與司法" 17 (17): 1920

      6 景藏, "舆论" 17 (17): 1920

      7 景藏, "知识上之分工" 17 (17): 1920

      8 景藏, "民意" 17 (17): 1920

      9 景藏, "民主国與社会主义" 17 (17): 1920

      10 坚瓠, "文化运动之第二步" 17 (17): 1920

      1 任元彪, "面对西方科学的冲击杜亚泉回应方式" 3 (3): 2006

      2 伧父, "静的文明與动的文明" 13 (13): 1916

      3 余连祥, "逃墨馆主茅盾传" 杭州浙江人民出版社 50-51, 2006

      4 景藏, "财产制度" 17 (17): 1920

      5 景藏, "行政與司法" 17 (17): 1920

      6 景藏, "舆论" 17 (17): 1920

      7 景藏, "知识上之分工" 17 (17): 1920

      8 景藏, "民意" 17 (17): 1920

      9 景藏, "民主国與社会主义" 17 (17): 1920

      10 坚瓠, "文化运动之第二步" 17 (17): 1920

      11 景藏, "恶法亦法之界说" 17 (17): 1920

      12 洪九来, "宽容與理性- 東方雜誌的公共舆论研究(1904-1932)" 上海上海人民出版社 6-, 1932

      13 张静庐, "在出版界二十年" 上海书店 90-, 1984

      14 谢宜, "商务印书馆一百一十年(1897 2007)" 商务印书馆 432-, 2009

      15 坚瓠, "功利主义與学术" 15 (15): 1918

      16 "出版巨子张元济"

      17 范军, "「晚清民国时期商务印书馆的编辑制度」, 「试述晚清民国时期商务印书馆的编辑制度」" (1, 2) :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