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말소리의 음성 정보 전달 -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 = Delivering Auditory Information of a Voice Sound through Hangul Kinetic Typography - Based on Hearing-Impaired Peopl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말소리의 지각이 어려워 언어 발달의 지연을 겪는 청각장애인에 게 음성정보를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실생활에서 글자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에 말소리와 글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 로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이규식 외, 2004; Barca 외, 2013)하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글자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말소리를 표 현하는데 적합(김현정, 2007)한 분야이며 음소, 음절 글자인 한글은 말소리 를정확하게글자로표기할수있는구조를가졌다.이러한이유로이연구 에서는 말소리의 음성정보인 세기, 높낮이, 길이를 시각화하는 도구로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였다. 먼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속성 중 말 소리와 관련이 있는 공간, 운동, 속도, 리듬을 선정하였으며, 각 속성을 기 준으로 글자 움직임을 구현한 영상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영상 중 음성정보 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속성과 그에 따른 글자 표현 방법을 선별하기 위해 두 차례의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음성정보 전달에 있어 공간과 운동 이 가장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속성에 대한 글자 표현 방법이 말소리의 크기, 높낮이,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말소리의 지각이 어려워 언어 발달의 지연을 겪는 청각장애인에 게 음성정보를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실...

      이 연구는 말소리의 지각이 어려워 언어 발달의 지연을 겪는 청각장애인에 게 음성정보를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실생활에서 글자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기 때문에 말소리와 글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 로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이규식 외, 2004; Barca 외, 2013)하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글자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말소리를 표 현하는데 적합(김현정, 2007)한 분야이며 음소, 음절 글자인 한글은 말소리 를정확하게글자로표기할수있는구조를가졌다.이러한이유로이연구 에서는 말소리의 음성정보인 세기, 높낮이, 길이를 시각화하는 도구로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였다. 먼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속성 중 말 소리와 관련이 있는 공간, 운동, 속도, 리듬을 선정하였으며, 각 속성을 기 준으로 글자 움직임을 구현한 영상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영상 중 음성정보 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속성과 그에 따른 글자 표현 방법을 선별하기 위해 두 차례의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음성정보 전달에 있어 공간과 운동 이 가장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속성에 대한 글자 표현 방법이 말소리의 크기, 높낮이,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주현, "화면 상의 글자 움직임에 대한 청각 장애인의 비언어적 정보 인식 – 목소리의 음성 정보와 감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337-346, 2020

      2 윤혜경, "한글획득에서 글자읽기 단계에 대한 연구" (4) : 66-75, 1977

      3 노승관, "한글과 애니메이션" 123 : 137-146, 2014

      4 송성재, "한글 타이포그래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홍승완, "타입 인 모션의 메시지 전달을 위한 표현 유형 분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271-280, 2011

      6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2015

      7 홍승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관한 연구" 11 (11): 1-10, 2004

      8 장호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모션과 사운드에 관한 연구" 5 (5): 37-44, 2002

      9 봉혜진 ; 정계문,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감각의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131-143, 2007

      10 서유경 ; 서중현 ; 안성우,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19, 2016

      1 하주현, "화면 상의 글자 움직임에 대한 청각 장애인의 비언어적 정보 인식 – 목소리의 음성 정보와 감정 정보를 기준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337-346, 2020

      2 윤혜경, "한글획득에서 글자읽기 단계에 대한 연구" (4) : 66-75, 1977

      3 노승관, "한글과 애니메이션" 123 : 137-146, 2014

      4 송성재, "한글 타이포그래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홍승완, "타입 인 모션의 메시지 전달을 위한 표현 유형 분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271-280, 2011

      6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2015

      7 홍승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관한 연구" 11 (11): 1-10, 2004

      8 장호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모션과 사운드에 관한 연구" 5 (5): 37-44, 2002

      9 봉혜진 ; 정계문,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감각의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131-143, 2007

      10 서유경 ; 서중현 ; 안성우,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19, 2016

      11 한국농아인협회 국립국어원, "청각장애인의 언어 사용 실태 연구 : 언어 사용 실태와 수화에 대한 청인의 인식" 2009

      12 이규식, "청각장애아 교육" 학지사 2011

      13 이필상, "청각장애 아동교육의 이해" 학지사 2020

      14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각" 서해문집 2009

      15 김근호, "오디오 용어 사전" 새녘 2013

      16 배희숙, "언어발달" 학지사 2021

      17 이현화, "소리, 문자, 움직임의 의미에 관한 실험적 작품연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뮤직비디오 제작을 중심으로" 5 (5): 17-28, 2006

      18 Ocvirk, O.G,, "미술의 언어" 아트나우 2004

      19 Arnheim, R,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6

      20 노승관, "미디어아트를 통한 영상디자인과 공간디자인의 융합 연구-한글 키네틱그리드를 이용한 미디어아트 작품 ‘한글패브릭’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8) : 213-221, 2013

      21 하주현, "목소리 표기 체계를 기반으로 한 감정 전달 - 키네틱 한글꼴 ‘보이스폰트’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33-48, 2018

      22 강구룡, "말소리의 성질을 이용한 문자 캐릭터 개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3 문찬, "기초조형 Thinking" 안그라픽스 2010

      24 김지현 ; 장효진, "글자의 비언어적 시각표현을 통해서 본 타이포그래피의 영역 확장 가능성과 그 의미"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541-551, 2007

      25 유은정 ; 서중현, "교사의 의사소통 방법과 교수방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성취력과 개선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127-148, 2014

      26 Wölfel, M., "Voice driven type design" 2015

      27 Barca, L., "Visual word recognition in deaf readers : lexicality is modulated by communication mode" 8 (8): e59080-, 2013

      28 Ross-Swain, D., "The voice advantage" Singular Pub Group 1991

      29 Ł. Bola, "Task-specificreorganization of the auditory cortex in deaf humans" 114 (114): 2017

      30 Mehrabian, A., "Nonverbal concomitants of perceived and intended persuasiveness" 13 (13): 37-58, 1969

      31 Lau, Newman M. L., "Enhanci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and Cognition Experience through Interactive Kinetic Typography" 8 (8): 2015

      32 Dasgupta, P., "Detection and analysis of human emotions through voice and speech pattern processing" 52 (52): 1-3, 2017

      33 W. Lore, "Central and peripheral visual processing in hearing and nonhearing individuals" 29 : 437-44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