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고대시가(古代詩歌)의 형성 기반과 존재 양상을 향가와 연계하여 구명하고 그 시가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 대상은 고대시가 <구지 가>, <공무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51067
제주 : 제주대학교, 2020
2020
한국어
811.2 판사항(6)
제주특별자치도
The Formation Base and Existent Pattern of Korean Ancient Poetic Songs
v, 229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허남춘
참고문헌 : p.214-225
I804:49002-00000000974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대시가(古代詩歌)의 형성 기반과 존재 양상을 향가와 연계하여 구명하고 그 시가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 대상은 고대시가 <구지 가>, <공무도...
이 글은 고대시가(古代詩歌)의 형성 기반과 존재 양상을 향가와 연계하여 구명하고 그 시가사적 의의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 대상은 고대시가 <구지 가>, <공무도하가>, <황조가>와 4구체 향가 <헌화가>, <해가>, <도솔가>이다. 고대시가는 글말로 정착되기 이전 입말로 전승되었던 문학이다. 고대시가의 특별한 전승 형식인 ‘전승서사와 전승시가의 결합’은 향가까지 이어져 온 시가 형식의 총체적 범형(範型)이다. 이 같은 전승 형태를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이 미분립 되어 있던 원시종합예술의 잔영(殘影)으로 상정하여, 각편의 전승서사와 전승시가에 내재된 주술 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의 교섭 양상과 단계적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고대시가와 향가는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으로 대변되는 원시 고대 중세의 시대 이념이 조응 변이하는 과정에서 계기적으로 출현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편 시가의 형성 기반은 전승서사가 함의한 제의성을 텍스트 컨텍스트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형성 국면을 재구하는 과정으로 입증하였다. <구지가>는 원시의 기우 주술 요인 <구지가>계 노래가 체계화 규범화 된 풍요 제의와 결합하였다가 수로왕 탄강담 과 결합하여 형성된 시가, <공무도하가>는 진혼 제의의 파탄상에 따른 민간의 상장(喪 葬) 가요가 이념성 대신 비탄의 감정을 담는 쪽으로 변모하며 개인 서정과 집단적 감 성까지 아우르게 되었던 시가, <황조가>는 유리왕이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민간 서정 민요를 풍요 제의의 맥락으로 소급하여 재맥락화 한 시가, <헌화가>와 <해가> 는 가뭄으로 인한 기근의 해결과 민심 회복을 위하여 민간 제의 형식을 빌어 치른 별 제(別祭)에서 불린 시가, <도솔가>는 무열계 왕권의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중 세의 일월제치제의(日月除治祭儀)에서 불린 무속적 선풍적 불교적 이념이 혼합된 주 술 제의가로 규정하였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각편 시가의 형성 국면이 곧 시대 이념 을 반영한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의 교섭 양상임을 밝혔다. 각편 시가의 존재 양상은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의 교섭이 통시적으로 지속과 변화를 거듭하며, 형식적 측면과 이념적 측면에서 일정한 양식 체계를 정립한 패러다 임이란 사실을 해명하는 것으로 탐구하였다.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은 형식적 측 면에서 특정한 언술 방식과 시적 주체의 인식 지향에 따른 지속과 변모로, 이념적 측 면에서는 제의와 가악(歌樂)을 매개로 한 시대적 문화적 이념의 결합과 변모라는 일정 한 계기적 체계적 일관성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흐름 안에서 주술적 제의적 서정적 인식의 교섭은 우리 시가사에서 서정시가를 태동시키는 동인이 되었다. 고대시가의 시가사적 의의는 고대시가와 향가 각편이 미의식이 구현되는 작동 체계 를 조명하여 도출하였다. 우선 고대시가와 향가의 형성에 관여한 주술적 제의적 서정 적 인식이 집단과 개인, 주술 제의 서정, 신앙(신념)과 역사, 우주와 인간이란 이질적이 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요소들의 간섭으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이를 구체적 으로 살필 수 있는 작동 준거를 마련하였다. 작동 준거는 인식 주체인 집단과 개인, 인 식의 최종 결과이자 각편 시가의 속성인 예찬(禮讚)과 찬탄(讚嘆) 그리고 비탄(悲嘆)과 추도(追悼)로 하였다. 이 같은 구도에 고대시가 각편과 향가 14수를 재배치한 결과, 고 대시가는 우리 시가사에서 미학적 패러다임을 생산한 원류로서 시학적 전통을 마련한 역동적 생명력을 갖춘 존재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대시가는 갈래라는 고정된 틀이 아닌 양식이란 속성적 범주에서 살펴야만 온전한 실체와 그 시가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문학사에서 전대에 폭넓은 향유층을 지녔던 기존의 패러다임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용(轉用) 또는 전화(轉化)되어 후대의 패러다임 을 발현시키는 동력이 되어 온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고대시가를 우리 시가사의 한 양식 체계로 대하여 후대 시가 갈래들 간의 상관 관계를 폭넓게 파악하는 점진적인 논의가 절실하다. 이러한 접근만이 지금 고대시가 연구에서 진척된 성과를 얻는데 소 중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환기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base and existent pattern of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in association with the 4-line Hyang-ga and finds its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e discussions made in 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base and existent pattern of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in association with the 4-line Hyang-ga and finds its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e discussions made in this study focus on renewing the established convention about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nd extending its vitality and influence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e main research objects are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Guji-ga," "Gongmudoha-ga," and "Hwangjo-ga," and the 4-line Hyang-ga style poetic songs "Hyeonhwa-ga," "Hae-ga," and "Dosol-ga."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re literature that have been passed on orally before settling into written forms. In addition, the special transmission form of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narrative in tradition and poetry in tradition," is the comprehensive exemplar of the style of the poetic songs that have been continued via the transmission of Hyang-gas. The study presumes the poetic songs as relics of the ballad dance with the unseparated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and traces the negotiating patterns and the changes by stages of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that are inherited in each piece of the narrative in tradition and the poetry in tradition. The study also tries to reveal that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nd Hyang-gas are the forms of poetic songs that have opportunistically emerged during the process that primitiv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ten represented by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closel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be transformed. The study examines the foundation base of each piece of poetic songs by investigating the ritualism implied in the narrative in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xt and context and reorganizing the formation process of poetic songs. By doing so, the study defines "Guji-ga" as a poetic song where the song of "Guji-ga" style, one of the magic songs praying for the rain in primitive times, combined with the fertility rituals that have been systematized and standardized, and then be narrated and formed as a part of the King Suro's birth story that he descended from the sky, "Gongmudoha-ga" as a lyrical poetic song where the breakdown of funeral rituals has been passed on to the civil and converted and formed to incorporate collective sensibility rather than ideology, "Hwangjo-ga" as a poetic song where the civil's lyric fork songs have been retroacted and recontextualized in the context of fertility rituals to overcome political difficulties during the ritual times that focused on mythical awareness, "Hyeonhwa-ga" and "Hae-ga" as poetic songs that have been sung during the special ritual by taking the form of civil rituals to overcome the famine caused by droughts and restore the public sentiment, and "Dosol-ga" as a magic poetic song mixed with shamanistic, sensational, and buddhist ideas that has been sung during the Ii-wol-jea (ritual of the son and moon) in medieval times to resolve the political crisis of the Mooyeol lineage. Furthermore, it confirms that such a process that has been formed by reflecting the idea of each time is no different from the negotiating patterns of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existent pattern of each piece of poetic songs by demonstrating that the negotiating patterns of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repeat continuance and changes from the formality and ideology point of view and belongs to the flow that arranges the system of the forms. It allows confirming that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that has continued to get involved in the emergence of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nd Hyang-gas represents a constant opportunistic flow as continuance and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ursuit of specific verbal style and poetic subjects from the formality point of view and as convergence and change of periodic and cultural ideas by means of rituals and music from the ideology point of view.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lyrical perception manifested in such aspects has become a motive of the full-scale emergence of lyrical poetic song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Lastly, the study tries to find the meaning of the only three pieces of Korean ancient poetic so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the aesthetic sense of the link between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nd Hyang-gas. The perception of natural magicalism, ritualism, and lyricism that has been involved in the formation base of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consists of the interference of heterogeneous yet inter-complementary elements of the group and individual, magic, ritual and lyrics, faith(belief) and history, and universe and human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re a direct root that has produced the emergence of assorted forms of poetic songs and aesthetic paradigm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are an existence equipped with dynamic vitality that arranged the poetic traditions.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are at the forefront of Korean literature.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established paradigms that have been enjoyed by the wide range of people in the previous generations serve as a motive to generate the paradigms in the future generation after being redirected and transformed. The study confirms that the Korean ancient poetic songs should b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the form of poetic songs, which is the category of properties, and not the frame of genres to investigate the piece itself. It is imperative to have discussions to broadly understand the correlations among genres of poetic songs in future generations, and only with such an approach method are the valuable contributions made to obtain progressed performanc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0
2 김동욱, "?국문학사?", 일신사, 1988
3 권두환, 김학성, "?古典詩歌論?", 새문社, 2002
4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5 김기동, "?국문학개론?", 진명문화사, 1980
6 최신호, "「??引異考」", ?東亞文化? 10,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1
7 현용준, "?제주도 전설?", 서문당, 2002
8 이능우, "?고전시가론고?", 선명문화사, 1966
9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10 김문기, 성기옥, 김학성, "?한국문학개론?", 새문社, 2007
1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0
2 김동욱, "?국문학사?", 일신사, 1988
3 권두환, 김학성, "?古典詩歌論?", 새문社, 2002
4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5 김기동, "?국문학개론?", 진명문화사, 1980
6 최신호, "「??引異考」", ?東亞文化? 10,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71
7 현용준, "?제주도 전설?", 서문당, 2002
8 이능우, "?고전시가론고?", 선명문화사, 1966
9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10 김문기, 성기옥, 김학성, "?한국문학개론?", 새문社, 2007
11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민속원, 1996
12 서수생, "「?引> 新攷」", ?語文學? 7, 한국어문학회, 1961
13 윤영옥, "?韓國의 古詩歌?", 文昌社, 2001
14 김승곤, "?한국어의 기원?",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5
15 엄국현, "「도솔가 연구」", ?한민족문화? 43,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16 민영대, "「황조가 연구」", ?숭전어문학? 5, 숭전대학교, 1976
17 허문섭, "?조선고전문학사?", 한국문화사, 1996
1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16
19 박충록, "?한국민중문학사?", 열사람, 1988
20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21 조동일, "?韓國小說의 理論?", 지식산업사, 1996
22 서대석, "?무가문학의 세계?", 집문당, 2011
23 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24 장진호, "?신라향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3
25 김헌선, "?옛이야기의 발견?", 보고사, 2013
26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4
27 이종출, "?한국고시가 연구?", 태학사, 1989
28 이노형, "「<새타령> 연구」", ?어문학? 72, 한국어문학회, 2001
29 이종출, "「<황조가> 논고」", ?조대문학? 5, 조선대학교, 1964
30 지준모, "「公無渡河考正」", ?국어국문학? 62 63, 국어국문학회, 1973
31 권영철, "「黃鳥歌新硏究」", ?국문학연구? 1, 대구가톨릭대학교, 1968
32 홍문표, "?시적 언술의 원리?", 창조문학사, 2018
33 홍기삼, "「수로부인 연구」", ?도남학보? 13, 도남학회, 1991
34 조동일, 황패강,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2010
35 이중환, "?택리지?, 이익성 역", 을유문화사, 2006
36 류종목, 이창숙, 이영주, 송용준, "譯解, ?시경 초사?, ?", 明文堂?, 2012
37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38 장주근,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 1999
39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40 이주희, "「水路夫人의 신분」", ?영남학? 24,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41 김영수, "「龜旨歌의 신해석」", ?東洋學? 2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8
42 최용수, "「구지가에 대하여」", ?배달말? 18, 배달말학회, 1993
43 심재완, "편저,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44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45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도서출판 각, 2007
46 김영수, "「황조가 연구 재고」", ?한국시가연구? 6, 한국시가학회, 2000
47 채미하,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혜안, 2008
48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社, 1986
49 최용수, "「<헌화가>에 대하여」", ?한민족어문학? 25, 한민족어문학회, 1994
50 김창룡, "?고구려 문학을 찾아서?", 보고사, 2002
51 심재관, "?석가와 미륵의 경쟁담?", 씨아이알, 2013
52 신연우, "?우리 설화의 의미찾기?", 민속원, 2008
53 최두식, "「詩經과 韓國古詩歌」", ?성곡논총? 15, 성곡언론문화재단, 1984
54 김병곤, "?신라 왕권 성장사 연구?", 학연문화사, 2003
55 좌구명, "?춘추좌전?, 신동준 역주", 인간사랑, 2017
56 이인택, "?신화, 문화 그리고 사상?", UUP, 2004
57 정홍교, "?조선문학사: 원시-9세기?", 한국문화사, 1991
58 장홍재, "「<황조가>의 연모대상」", ?국어국문학연구논문집? 5, 청구대학 국어국문학회, 1963
59 강정식, "?제주굿의 이해의 길잡이?", 민속원, 2015
60 조규익,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 논형, 2007
61 조동일, "?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집문당, 1996
62 엄경흠, "「龜旨歌의 語釋的硏究」", ?釜山漢文學硏究? 5, 釜山漢文學會, 1990
63 양재연, "「公無渡河歌(??引) 小考」", ?국어국문학? 5, 국어국문학회, 1953
64 채미하, "「신라시대 四海와 四瀆」", ?역사민속학? 26,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65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66 최선경, "「<兜率歌>의 祭儀的性格」", ?연민학지? 9, 연민학회, 2001
67 이민홍, "?한국 민족예악과 시가문학?",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所, 2002
68 장선희, "「高句麗의 <黃鳥歌> 硏究」", ?光州保健專門大學論文集? 20, 광주보건전문대학교, 1995
69 전영란, "?중국 소수민족의 장례 문화?", 중문, 2011
70 김성기, "「??引의 作家에 對한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13,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71 조우연, "「고구려 祭天儀禮의 전개」", ?고구려발해연구? 41, 고구려발해학회, 2011
72 김인회, "『한국무속의 종합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73 이완형, "「“水路夫人”條歌謠硏究」", ?한국언어문학? 32, 한국언어문학회, 1994
74 천소영, "「설(元旦)系語辭에 대하여」", ?어문논집? 26,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86
75 김대행, "「시의 율격과 시가의 율격」", ?국어교육? 65, 한국어교육학회, 1989
76 신연우, "?서울굿 노래가락과 시조문학?", 보고사, 2013
77 김태준, "?조선한문학사(朝鮮漢文學史)?", 朝鮮語文學會, 1931
78 조동일, "?한국민요의 율격과 시가율격?", 지식산업사, 1996
79 이재호, "「<화랑세기>의 사료적 가치」", ?정신문화연구? 36, 1989
80 김헌선, "?함경도 망묵굿 산천도량 연구?", 보고사, 2019
81 나희라, "「新羅初期王의 性格과 祭祀」", ?韓國史論? 23, 국사편찬위원회, 1993
82 남재우, "「駕洛國의 建國神話와 祭儀」", ?역사와 경계? 67, 경남사학회, 2008
83 조용호, "「<황조가>의 求愛民謠的성격」", ?고전문학연구? 32, 한국고전문학회, 2007
84 최승호,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2
85 신연우, "?자연 속의 시조 시조 속의 생활?", 이치, 2006
86 서영교, "?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쟁탈전?", 굴항아리, 2010
87 최선경, "「<獻花歌>에 대한 祭儀的考察」", ?人文科學? 84,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88 김헌선, "「<가락국기>의 신화학적 연구」", ?京畿大學校人文論叢? 6,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89 신영명, "「<헌화가>의 민본주의적 성격」", ?어문논집? 37, 민족어문학회, 1998
90 이상익,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집문당, 1994
91 김학성, "「花郞關係鄕歌의 意味와 機能」", ?慕山學報? 9, 慕山學術硏究所, 1997
92 서대석, "「창세 시조신화의 의미와 변이」", ?구비문학?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93 오태권, "「<龜旨歌> 敍事의 封祭機能硏究」", ?列上古典硏究? 26, 열상고전연구회, 2007
94 나희라, "「신라의 종묘제 수용과 그 내용」", ?韓國史硏究? 98, 韓國史硏究會, 1997
95 J.G, "프레이저, ?황금가지?, 신상웅 옮김", 동서문화사, 2007
96 김문태, "?三國遺事?의 詩歌와 敍事文脈硏究?", 太學社, 1995
97 현승환, "「공무도하가 배경설화와 무혼굿」", ?한국민속학? 52, 한국민속학회, 2010
98 김재호, "「기우제의 제의맥락과 기우권역」", ?역사민속학? 18, 한국역사민속학회, 2004
99 서정범, "「미르(용)어를 통해 본 용궁사상」", ?수필문학? 60, 수필문학사, 1977
100 나카자와, 신이치,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김옥희 역", 동아시아, 2017
101 나희라, "「고구려 패수에서의 의례와 신화」", ?사학연구? 118, 한국사학회, 2015
102 현승환, "「황조가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백록어문? 14, 백록어문학회, 1997
103 김성기, "「황조가의 연모 대상과 창작시점」", ?고시가연구? 8, 한국고시가문학회, 2001
104 김기형, "「<오?리> 유형의 기원과 전승 양상」", ?한국민속학? 30, 한국민속학회, 1998
105 정호완, "「신어산(神魚山)의 표상에 대하여」", ?한어문교육? 7,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997
106 김병곤, "「안압지의 월지 개명에 대한 재고」", ?역사민속학? 43,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107 유경환, "「헌화가(獻花歌)의 원형적 상징성」",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2002
108 박영재, 하성운, 송태규, "윤지아 외,「고전시가 연구 동향」, ?", 고전과 해석? 29, 2019, 2018
109 김창환, "「<구지가>의 인도 신화적 요소 고찰」", ?陶南學報? 25, 도남학회, 2015
110 조법종, "「고구려 초기도읍과 비류국성 연구」", ?백산학보? 77, 백산학회, 2007
111 이주영, "「삼국시대 건국신화의 기반과 전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12 허영순, "「수로설화에 나타난 가요의 신고찰」", ?국문학지? 2, 부산대학교, 1961
113 현승환, "「해가 배경설화의 기자의례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2006
114 현승환, "「黃鳥歌背景說話의 文化背景的意味」", ?교육과학연구? 1,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1999
115 이영태, "「<龜旨歌>의 수록경위와 해석의 문제」", ?한국학연구? 1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9
116 김영준, "「고구려 패수희(浿水戱)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 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117 김영준, "「신라 일월제(日月祭)의 양상과 변화」", ?한국학연구? 52,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118 오정숙, "「慶州南山長倉谷出土彌勒三尊像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9 조용호, "「豊饒祈願노래로서의「龜旨歌」연구」", ?서강인문논총? 27, 서강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120 김복순, "「가야불교와 신라불교의 특성과 차이」", ?한국불교사연구? 12,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121 강명혜, "「죽음과 재생의 노래:「公無渡河歌」」", ?우리문학연구? 18, 우리문학회, 2005
122 현승환, "「헌화가 배경설화의 기자의례적 성격」", ?韓國詩歌硏究? 12, 한국시가학회, 2002
123 구사회, "「<헌화가>의 ‘자포암호’와 성기신앙」", ?국제어문? 38, 국제어문학회, 2008
124 서영대, "「高句麗의 國家祭祀: 東盟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20, 한국사연구회, 2003
125 이종호, "「고구려와 흉노의 친연성에 관한 연구」", ?白山學報? 67, 2003
126 강정식, "「입춘굿의 고을굿적 성격과 복원 방안」", <굿과 축제, 원형과 변형의 이중주>, 탐라국입 춘굿 복원 20돌 맞이 학술세미나 발표문, 2017
127 이임수, "「<구지가>, <해가>, <헌화가>의 비교연구」", ?신라문화? 4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128 박경신, "「巫歌의 時作原理에 대한 現場論的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129 구사회, "「공무도하가의 성격과 디아스포라 문학」", ?한민족문화연구? 31, 한민족문화학회, 2009
130 신연우, "「시조(時調)와 서울 굿 노랫가락의 관계」", ?동방학지? 13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131 정덕기, "「신라 中代중앙행정관청의 계통과 등급」", ?신라사학보? 44, 신라사학회, 2018
132 Liu Xue Fei, "「한국 상고시가와 ?시경?의 연관성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33 김부식, "일연 저, ?삼국사기 삼국유사?, 이병도 역주", 두계학술재단, 1999
134 박수정, "「新羅執事省의 성격과 위상에 대한 再論」", ?신라사학보? 40, 신라사학회, 2017
135 윤명철, "「고구려의 고조선 계승성에 관한 연구(1)」", ?고구려발해연구? 13, 고구려발해학회, 2002
136 김수경,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 본 헌화가」", ?이화어문논집? 17,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 문학연구소, 1999
137 이희주, "「바리공주 무가의 텍스트 구성원리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38 정영란, "「신라 효소왕대 왕권강화와 모량부 세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9 한양명, "「편싸움의 誘因變化: 祈豊에서 占豊으로」", ?한국민속놀이의 종합적 연구? 22, 한국민속 학회, 1993
140 여기현, "?三國史記樂志의 性格(1)」, ?반교어문연구? 5", 반교어문학회, 1994
141 김현자, "?천자의 우주와 신화: 고대 중국의 태양신앙?", 민음사, 2013
142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巫歌로 보는 우리의 신화?", 길벗, 1994
143 한영화, "「신라의 지배 공간의 확장과 제의의 통합」", ?역사와 담론? 89, 2019
144 나경수, "「한국 기록신화의 상징 해석과 역사 인식」", ?국어교과교육연구? 21, 국어교과교육연구회, 2012
145 곽종철, "「洛東江河口金海地域의 環境과 漁撈文化」", ?伽倻文化硏究? 2, 釜山女子大學校伽倻文 化硏究所, 1991
146 하경숙, "「향가 <헌화가>에 나타난 祈願의 표출양상」", ?문화와융합? 37(2),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147 강문순, "「「喪與소리」硏究: 죽음 意識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148 김열규, "「가락국기고: 원시연극의 형태에 관련하여」", ?문창어문논집? 3, 문창어문학회, 1961
149 정승욱, "「주술적 기우제의 통합 제의원리 탐색 시론」", ?한국문학논총? 72, 한국문학회, 2016
150 Walter J., "Ong,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 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2004
151 이경엽, "「연구논문: 상대의 세시풍속과 그 전승 맥락」", ?남도민속연구? 5, 남도민속학회, 1999
152 신영명, "「<찬기파랑가>의 상징체계와 경덕왕대 정치사」", ?국제어문? 43, 국제어문학회, 2008
153 심현용, "「고고자료로 본 신라의 강릉지역 진출과 루트」", ?대구사학? 94, 대구사학회, 2009
154 정진희, "「왕권 의례요(儀禮謠) <도솔가>의 맥락과 의미」", ?한국시가문화연구? 42, 한국시가문화 학회, 2018
155 정연식, "「역사음운학과 고고학으로 탐색한 閼川楊山村」", ?한국고대사연구? 80, 한국고대사학회, 2015
156 신현숙, "「<헌화가(獻花歌)>의 불교적(佛敎的) 고찰(考察)」", ?동악어문학? 19, 동악어문학회, 1984
157 김학성, "「향가에 나타난 화랑집단의 문화의미권적 상징」", ?성균어문연구? 30, 성균관대학교 국 어국문학과, 1995
158 유창돈, "「上古문학에 나타난 巫覡思想: 시가를 중심으로」", ?思想? 4, 사상사, 1952
159 김진희, "「열두 달 노래의 시간적 구조와 고려가요 <動動>」", ?한국시가연구? 40, 한국시가학회, 2016
160 김기형, "「‘새타령’의 전승과 삽입가요로서의 수용 양상」", ?민족문화연구? 26, 고려대학교 민족 문화연구원, 1993
161 심상교, "「한국무속의 신격연구: 동해안오구굿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40, 한국무속학회, 2020
162 이강옥, "「수로신화의 서술원리의 특수성과 그 현실적 의미」", ?가라문화? 5, 경남대학교 가라문 화연구소, 1987
163 어강석, "「한문학의 관점으로 본 <구지가(龜旨歌)>의 재해석」", ?정신문화연구? 38(1), 한국학중 앙연구원, 2015
164 민긍기, "?원시가요와 몇 가지 향가의 생성적 의미에 관한 연구?", 도서출판 누리, 2019
165 이동철, "「수로부인 설화의의미: 기우제의적상황과관련하여」", ?한민족문화연구? 18, 한민족문화학회, 2006
166 주재근, "「한국 고대 유적 출토 현악기의 음악고고학적 연구」", ?국악교육? 47,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167 한창훈, "「<龜旨歌>와 <海歌>의 呪(術)歌的구조와 의미적 거리」", ?백록어문? 10, 백록어문학회, 1994
168 양회석, "「白族說話<望夫雲>과 內地說話<巫山神女> 비교 연구」", ?중국인문과학? 37, 중국인 문학회, 2007
169 임재해, "「굿 문화사 연구의 성찰과 역사적 인식 지평의 확대」", ?한국무속학? 11, 한국무속학회, 2006
170 임재해, "「민속문화에 갈무리된 제의의 정체성과 문화창조력」", ?실천민속학연구? 10, 실천민속학회, 2007
171 임재욱, "「<龜旨歌>에 나타난 신격에 대한 이중적 태도의 이해」", ?국문학연구? 19, 국문학회, 2009
172 황경숙, "「가락국기의 上山儀禮와 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소고」", ?국어국문학? 31,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173 마르셀, "그라네, ?중국의 고대 축제와 가요?, 신하령 김태완 옮김", 살림, 2005
174 신연우, "「‘제의’의 관점에서 본 유리왕 황조가 기사의 이해」", ?한민족어문학? 41, 한민족어문학회, 2002
175 이도흠, "「新羅鄕歌의 文化記號學的硏究: 華嚴思想을 바탕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176 전성희, "「동해안별신굿에서 노래굿춤의 양식과 노래굿의 의미」", ?비교민속학? 55, 비교민속학회, 2014
177 나정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시가”와 “가요”의 문제」", ?한국시가연구? 22, 한국시가학회, 2007
178 김봉영, "「황조가의 새로운 이해: 그 창작의 시가와 문학적 성격」", ?국어국문학? 3, 조선대학교, 1981
179 오건환, "「완신세후반의 낙동강 삼각주 및 그 주변해안의 고환경」", ?한국고대사논총? 2, 가락국사 적개발연구원, 1991
180 임재욱, "「11, 12월 노래에 나타난 <동동(動動)> 화자의 정서적 변화」", ?고전문학연구? 36, 한국고 전문학회, 2009
181 조태영, "「?三國遺事?「水路夫人說話의 神話的成層과 歷史的實在」", ?고전문학연구? 16, 한국고 전문학회, 1999
182 박현수, "「서정시 이론의 새로운 고찰: 서정성의 층위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2007
183 김명준, "「선덕여왕(善德女王) 대 <풍요(風謠)>의 불교정치적 의미」", ?우리문학연구? 39, 2013
184 강경호, "「<오?리> 노래의 무가적 전통과「심방곡」과의 관련 양상」", ?영주어문? 17, 제주대학 교 영주어문학회, 2009
185 이완형, "「「公無渡河歌」와「祭亡妹歌」의 輓歌的性格에 대하여」", ?어문연구? 24, 어문연구학회, 1993
186 이영태, "「수록경위를 중심으로 한 <수로부인>조와 <헌화가>의 이해」", ?국어국문학? 126, 국어 국문학회, 2000
187 김헌선, 변진섭, "「구비문학에 나타난 꽃 원형: 이야기와 본풀이를 예증삼아」", ?구비문학연구? 28, 2009
188 김연주, "「선진(先秦) 시기 산동성 지역 ‘동이(東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89 임주탁, 주문경, "「<황조가>의 새로운 해석: 관련 서사의 서술 의도와 관련하여」", ?관악어문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4
190 조현설, "「두 개의 태양, 한 송이의 꽃: 월명사 일월조정서사의 의미망」", ?민족문학사연구? 54, 민족 문학사연구소, 2014
191 채숙희, "「Etude comparative entre le mythe d'Orph'ee et le mythe de Sourobuin de la Cor'ee」", ?한국프랑스학논집? 40, 한국프랑스학회, 2002
192 임재해, "「맥락적 해석에 의한 김알지 신화와 신라문화의 정체성 재인식」", ?비교민속학? 33, 비 교민속학회, 2007
193 주혜린, "윤지아 유정란 김혜빈 외,「고전시가 연구동향」, ?고전과 해석? 21", 고전문학한문 학연구학회, 2016, 2015
194 유종국, "「<공무도하가>론: 론-낙부의 원전 탐구를 통한 접근?,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2002
195 송효섭, "「始祖傳乘속의 神秘體驗: 三國遺事紀異篇의 敍述構造와 관련하여」", ?語文論叢? 7 8, 전남대학교 어문학연구회, 1985
196 정혜원, "「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 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선도문화? 28, 국 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197 강명혜, "「<황조가>의 의미 및 기능: <구지가> <공무도하가>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 11(1), 2004
198 조규익, "「초창기 歌曲唱詞의 장르적 위상에 대하여: <북전>과 <심방곡>을 중심으로」", ?국어국 문학? 112, 국어국문학회, 1994
199 이영태, "「<황조가> 해석의 다양성과 기능성: ?삼국사기?와 ?시경?의 글자용례를 통해」", ?국어 국문학? 151, 2009
200 신용대, "「양산 손석인,孫錫麟) 교수 정년 기념호: 송강(松江) 정철,鄭澈) 시조의 연구」", ?인문학지? 4,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89
201 김문태, "「<헌화가> <해가>와 제의 문맥: ?삼국유사? 소재 시가 해석을 위한 방법적 시고」", ? 성대문학? 28,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202 성범중,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전승 일고: 설화의 의미와 시가의 결구를 중심으로」", ?한국 한시연구? 창간호, 한국한시학회, 2018
203 정상홍, "「?시경?을 통해서 본 한국 上古詩歌의 발생적 기반:「公無渡河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 과 예술? 19,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204 강명혜, "「강원 산간 지역의 동제,洞祭) 양상 및 특성: 산신제, 성황제, 거리제를 중심으로」", ?사 회과학연구? 56,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205 김은령, "「삼국유사?의 시가와 향가: 찬시와 향가 속 ‘꽃’의 양상을 통해본 상징과 층위」", ?한국 불교사연구? 13, 한국불교사연구소, 2018
206 김효경, "「수사(水死) 관련 신앙의례 고찰: 충남 해안(海岸)과 도서(島嶼)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무속학? 24, 한국무속학회, 2012
207 안계복, "「안압지 경관조성의 배경원리에 관한 연구(1):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시대적 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4), 한국전통조경학회, 1999
208 서철원, "「新羅中代鄕歌에서 서정성과 정치성의 문제: 聖德王代<獻花歌> <怨歌>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3, 민족어문학회, 2006
209 김영수, "「「公無渡河歌」新解釋: ‘白首狂夫’의 정체와 ‘被髮提壺’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시가연구? 18, 한국시가학회, 1998
210 하경숙, "「고대가요의 후대적 전승과 변용 연구: <공무도하가> <황조가> <구지가>를 중심으 로」", 선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1 김혜정, "「씻김굿 상여소리의 사용양상과 민요 무가의 관계: 순천과 진도 씻김굿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12, 한국공연문화학회, 2006
212 박창화, "필사, ?南堂遺稿?, ?고구려 창세기: 일본왕실서고에서 탈출한 대연방천제국?, 김성겸 역", 지샘, 2009
213 이현정, "「고대가요 <구지가(龜旨歌)> 삽입의 기능과 효용성: 서사로 편입된 주술요의 운용과 의미」", ?한국시가연구? 48, 한국시가학회, 2019
214 엄태웅, "「三國遺事「紀異」篇<聖德王>條의 서술 의도: <水路夫人>條의미 考究의 단초 마련을 전제로」", ?국학연구총론? 16, 택민국학연구원, 2015
215 조기영, "「<公無渡河歌> 연구에 있어서 열가지 쟁점」, ?牧園語文學? 14, 牧園大學校國語敎育科, 조기영,「<공무도하가>의 주요쟁점과 관련기록의 검토」", ?강원인문논총? 12, 2004,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