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생활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arly Adjustment Process to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3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charge of 3-5-year-ol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Daej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djusted themselves to kindergarten through four weeks’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In daily work adjustment, they showed some difficulty in Week 2 but their adjustment improved rapidly in Week 3 and Week 4. Self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also improved notably in Week 3 and Week 4. In pro-social adjustment, the children showed difficulty in Week 2, improvement in Week 3,and again difficulty in Week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responding to the teacher’s sensitivity and intimacy,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pattern of adjustment similar to that of young children in Korea famili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justment process to kindergarten and differences in their adjustment among time points. For these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charge of 3-5-year-ol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Daeje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djusted themselves to kindergarten through four weeks’ daily life in the kindergarten. In daily work adjustment, they showed some difficulty in Week 2 but their adjustment improved rapidly in Week 3 and Week 4. Self adjustment and peer adjustment also improved notably in Week 3 and Week 4. In pro-social adjustment, the children showed difficulty in Week 2, improvement in Week 3,and again difficulty in Week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responding to the teacher’s sensitivity and intimacy,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pattern of adjustment similar to that of young children in Korea famil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보건복지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09

      4 양선희,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구조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5 조혜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김현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김수연, "유아의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전경화, "유아문학을 통한 반편견 교육과 유아의 반편견 인식조사" 22 : 204-214, 2001

      9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07-225, 2003

      10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167-190, 2004

      1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보건복지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09

      4 양선희,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구조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5 조혜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김현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김수연, "유아의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전경화, "유아문학을 통한 반편견 교육과 유아의 반편견 인식조사" 22 : 204-214, 2001

      9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07-225, 2003

      10 송진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167-190, 2004

      11 윤형숙, "외국인 출신농촌 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5

      12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4

      13 김해숙,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5 장영희, "세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33 : 143-168, 1999

      16 메디컬 투데이, "서울시, 다문화가정 자녀 보육지원 서비스 확대한다; 다문화다민족어린이집 2개소를 지정하여 시범 운영"

      17 오소정,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137-161, 2009

      18 황선영,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적 적응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9 신현정,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0 류 경, "보육시설 초기적응과정의 영아 행동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1 김수미, "보육시설 이용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 유기체 변인과 미시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22 김영옥, "반편견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65-98, 1998

      23 홍진주,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4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법"

      25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 대책; 2007년 8월 20일 한국사회당 부대변인 김규남" 2008

      26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27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계획" 2008

      28 신혜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9 김병순,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8) : 97-138, 2008

      30 김시연,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정 유아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김시연,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정 유아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2 김현경,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3 정민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34 정민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41-168, 2010

      35 정선아,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 -유아 삶과 권리 보장의 관점에서-"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53-272, 2009

      36 이정선,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경험과 시사점: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21 (21): 217-237, 2007

      37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38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9 설동훈,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ㆍ복지 지원방안" 보건복지부 2005

      40 송선진,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1 박미경,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2 정윤정,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43 교육과학기술부, "’10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계획" 2010

      44 교육과학기술부, "’09 다문화가정 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계획 요약" 2009

      45 Jewsuwan, R, "The rek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8 : 33-51, 1993

      46 Kowalski, K, "The influence of perceptual features, ehtnic labels, and sociocultural infp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ethnic/racial bias in young children" 32 (32): 444-455, 2001

      47 Ladd. G. W,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58 : 1168-1189, 1987

      48 Tzivinikon, S, "Intervention for a bilingual child with development speech problems" 174 : 607-619, 2004

      49 Klein. G. L, "Heuristic Influence on Decision Processes" Texas Tech University 1982

      50 Ladd, G. W,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7 : 1103-1118, 1996

      51 Bate, L,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outcomes among preschool children borm to low-income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62): 133-147, 2000

      52 Gibbs, J. T, "Biracial adolescents, In children of color" Jossey-Bass 1990

      53 Roopnarine, J. L,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errill 1993

      54 Derman-Sparks,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2

      55 Dubois, D. L,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ion in early adolescence" 63 (63): 542-557, 1992

      56 김지은,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7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