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융·복합 기반의 가구산업 디자인 전략 연구 :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111149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58.2 판사항(6)

      • DDC

        745.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xiv, 195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길순
        참고문헌: p. 182-1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구산업은 생활밀착형 산업임과 동시에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또한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고용효과가 큰 산업이기도 하며, 미래형 첨단산업으로 수출 잠재력이 큰 산업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지역의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이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고, 미래형 특화산업으로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IT 기술의 발전을 동반한 산업의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졌던 가구산업에 IT 기술과 융합한 가구제품들이 개발, 출시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면서 생활소비재로서 가구가 고부가 가치 프리미엄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화된 산업 구조만으로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인식 아래, IT 기술을 비롯한 산업의 융․복합을 통하여 고부가 가치,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성장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를 경기북부 지역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으로 정하고 참고문헌조사, 현장 방문조사,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의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지역 경제를 담당해 온 지역 특화산업이다. 그러나 이들 가구업체는 정부나 지자체에 의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것이 아닌,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의 지가 상승에 의해 밀려난 영세한 가구업체들이 하나 둘 모여 자생적으로 성장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또한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수도권 정비구역 등 각종 규제 조치로 인하여 개발에 제한을 받아 왔고, 노동집약적 산업 특성으로 인하여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에는 동남아로부터 들어온 저가 가구와 이케아의 한국 진출로 중저가 가구 시장이 잠식당하는 상황까지 겹치면서,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고사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러나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높은 품질과 중저가 가격을 바탕으로 성장한 만큼 기술과 가격경쟁력에서 중국산 제품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구산업의 스마트 융·복합에 의한 생활소비재 첨단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열어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 가구 시장 동향 분석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세계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트렌드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동향을 살펴보고, 이케아 진출이 가져온 국내 가구산업의 동향과 홈퍼니싱 산업의 시장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마련에 활용하였다.
      또한 IT 융·복합 가구 기술 개발과 경기북부 가구산업에서 생산 가능한 스마트 가구 개발을 위한 산업 환경 분석을 위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첨단 IT 기술 개발보다, 기존 생산 기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저렴한 적정 기술의 스마트 가구 개발에 대한 니즈(Need)와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홈퍼니싱 산업으로의 확대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분석을 통한 융·복합 디자인 전략으로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을 도출하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항목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이다.
      최근 스마트 가구는 가구에 대한 인간의 사용성에 대한 기본 기능으로부터 더욱 발전된 다기능 가구로 진화하고 있다. 전자장치 및 센서와 같은 IT 기술의 폭넓은 활용은 스마트 가구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스마트 가구는 전자 장치와 가구와의 융·복합이다. 가구에 내장된 센서 메커니즘이 설정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혈압, 심박 수, 호흡, 체중, 체온 등과 같은 생리적 지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경기북부에 적용 가능한 무선충전 기술, 블루투스 기술, 센서 기술들을 활용한 적정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1인 가구의 증가와 도시화의 진행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 융합형 트랜스포머 가구와 공간융합형 모듈 가구 등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전략이다.
      가구산업과 홈퍼니싱 산업의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은 최근 소비 주체로 떠오른 1인 가구를 비롯하여, 수도권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경기북부 가구산업 필수 전략이다. 해외 가구업체들도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과 가구의 고기능, 안전․ 친환경 등의 첨단소재와 소비자 중심 설계 등 디자인 혁신의 프리미엄 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가구산업도 이(異) 업종 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 프리미엄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전환과 성장 동력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이다.
      경기북부 지역은 수도권역이지만, 경기 남부와 달리 각종 규제 개발로 인하여, 대부분 전통적인 농업과 제조업을 산업기반으로 하며, DMZ 지역과 동두천의 소요산, 포천의 산정호수, 백운계곡 등 수려한 자연자원과 선사시대 유적지 및 광릉 국립수목원, 아트 벨리 등 매력적인 관광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자원을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친환경 홍보활동 및 마케팅 전략으로 삼아 지역 경제발전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산품 등 지역 향토자원과 연계하여 매년 봄이나 가을 등에 개최되고 있는 지역 특산품 축제나 관광 축제 등과 융·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가구 단지를 둘러보고, 체험하며, 시식하고 구매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가구 프리마켓 등을 개최하여 경기북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정서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전략을 통하여 새로운 소비 경험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지역 경제 활성화 기반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복합을 이해하고 세계 가구산업의 동향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선진국의 가구 시장 및 제품개발 사례 분석을 통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기대효과가 있다.
      향후 연구는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련 단체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강력한 리딩(Leading agency) 기관인 ‘가구산업혁신 센터’(가칭) 설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경기북부 가구산업을 비롯하여 국내 가구산업 관련 단체, 그리고 기업, 학교 등 산․학․연․관․민이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가구 디자인 및 소재 개발과 적용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 필요한 실천적 역량 강화와 플랫폼 구축을 위함이다.
      번역하기

      가구산업은 생활밀착형 산업임과 동시에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또한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고용효과가 큰 산업이기도 하며, 미래형 첨단산업으로 수출 잠재...

      가구산업은 생활밀착형 산업임과 동시에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또한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고용효과가 큰 산업이기도 하며, 미래형 첨단산업으로 수출 잠재력이 큰 산업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지역의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이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고, 미래형 특화산업으로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IT 기술의 발전을 동반한 산업의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졌던 가구산업에 IT 기술과 융합한 가구제품들이 개발, 출시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면서 생활소비재로서 가구가 고부가 가치 프리미엄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화된 산업 구조만으로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인식 아래, IT 기술을 비롯한 산업의 융․복합을 통하여 고부가 가치,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성장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를 경기북부 지역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으로 정하고 참고문헌조사, 현장 방문조사,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의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지역 경제를 담당해 온 지역 특화산업이다. 그러나 이들 가구업체는 정부나 지자체에 의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것이 아닌,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의 지가 상승에 의해 밀려난 영세한 가구업체들이 하나 둘 모여 자생적으로 성장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또한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수도권 정비구역 등 각종 규제 조치로 인하여 개발에 제한을 받아 왔고, 노동집약적 산업 특성으로 인하여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에는 동남아로부터 들어온 저가 가구와 이케아의 한국 진출로 중저가 가구 시장이 잠식당하는 상황까지 겹치면서,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고사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러나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높은 품질과 중저가 가격을 바탕으로 성장한 만큼 기술과 가격경쟁력에서 중국산 제품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구산업의 스마트 융·복합에 의한 생활소비재 첨단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열어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 가구 시장 동향 분석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세계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트렌드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동향을 살펴보고, 이케아 진출이 가져온 국내 가구산업의 동향과 홈퍼니싱 산업의 시장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마련에 활용하였다.
      또한 IT 융·복합 가구 기술 개발과 경기북부 가구산업에서 생산 가능한 스마트 가구 개발을 위한 산업 환경 분석을 위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첨단 IT 기술 개발보다, 기존 생산 기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저렴한 적정 기술의 스마트 가구 개발에 대한 니즈(Need)와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홈퍼니싱 산업으로의 확대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분석을 통한 융·복합 디자인 전략으로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을 도출하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항목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이다.
      최근 스마트 가구는 가구에 대한 인간의 사용성에 대한 기본 기능으로부터 더욱 발전된 다기능 가구로 진화하고 있다. 전자장치 및 센서와 같은 IT 기술의 폭넓은 활용은 스마트 가구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스마트 가구는 전자 장치와 가구와의 융·복합이다. 가구에 내장된 센서 메커니즘이 설정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혈압, 심박 수, 호흡, 체중, 체온 등과 같은 생리적 지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경기북부에 적용 가능한 무선충전 기술, 블루투스 기술, 센서 기술들을 활용한 적정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1인 가구의 증가와 도시화의 진행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 융합형 트랜스포머 가구와 공간융합형 모듈 가구 등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전략이다.
      가구산업과 홈퍼니싱 산업의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은 최근 소비 주체로 떠오른 1인 가구를 비롯하여, 수도권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경기북부 가구산업 필수 전략이다. 해외 가구업체들도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과 가구의 고기능, 안전․ 친환경 등의 첨단소재와 소비자 중심 설계 등 디자인 혁신의 프리미엄 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가구산업도 이(異) 업종 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 프리미엄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전환과 성장 동력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이다.
      경기북부 지역은 수도권역이지만, 경기 남부와 달리 각종 규제 개발로 인하여, 대부분 전통적인 농업과 제조업을 산업기반으로 하며, DMZ 지역과 동두천의 소요산, 포천의 산정호수, 백운계곡 등 수려한 자연자원과 선사시대 유적지 및 광릉 국립수목원, 아트 벨리 등 매력적인 관광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자원을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친환경 홍보활동 및 마케팅 전략으로 삼아 지역 경제발전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산품 등 지역 향토자원과 연계하여 매년 봄이나 가을 등에 개최되고 있는 지역 특산품 축제나 관광 축제 등과 융·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가구 단지를 둘러보고, 체험하며, 시식하고 구매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가구 프리마켓 등을 개최하여 경기북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정서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전략을 통하여 새로운 소비 경험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지역 경제 활성화 기반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복합을 이해하고 세계 가구산업의 동향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선진국의 가구 시장 및 제품개발 사례 분석을 통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기대효과가 있다.
      향후 연구는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련 단체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강력한 리딩(Leading agency) 기관인 ‘가구산업혁신 센터’(가칭) 설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경기북부 가구산업을 비롯하여 국내 가구산업 관련 단체, 그리고 기업, 학교 등 산․학․연․관․민이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가구 디자인 및 소재 개발과 적용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 필요한 실천적 역량 강화와 플랫폼 구축을 위함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urniture industry has close relation with life to produce values and to be likely to grow. It is small business industry to have high employment effect and to be future industry and to have potential of export.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should be developed to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and to help local economy and to be future industry.
      Industry with IT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nvergence.
      Furniture with IT technology that was thought to be far from state-of-the-art has been developed to sell in the market and to give new type. Furniture of life consumable can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was thought not to make growth potential of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This study investigated convergence design strategy that could develop added value and life consumable industry. The subject was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Literature, on-the-spot visi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could develop local economy to produce and grow up by small businesses at high land prices. The industry was given restriction of development not to be developed because of labor intensiveness.
      These days, low priced furniture from South East Asia as well as IKEA entered low priced market in Korea to threaten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And, the furniture industry has competitiveness edge of technology and price than Chinese made furniture had.
      This study examined growth of convergence life consumable industry by high added value of furniture industry.
      The study investigated 4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and local population and changes of consumption trend by investigation into world furniture market to make convergence design strategy of the furniture industry. And, the study examined trend of local furniture market, and trend of furniture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and market flow.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Development of furniture with inexpensive technology as well as convergence of different industries was needed. The strategy consisted of first, convergence design, second, design with different industries, and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First, IT convergence design strategy,
      Smart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to have human use and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and sensor and other digital technology expanded function of smart furniture. In other words, smart furniture design has combined electronic device and furniture. User data of built-in mechanism can monitor blood pressure, heart beat, breathing, weight and body temperature and others. Wireless charging, blue-tooth, sensor and others shall develop products. Convergence transformer household and space convergence module furniture shall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one person household and urbanization.
      Second, strategies with other industries
      Convergence of both furniture industry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can increase buying ability of consumers in Metropolitan areas.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of foreign furniture business can produce new market, high performance and safe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to strengthen consumer oriented design and to innovate design. Growth power of the industry is needed to make state of the art life consumer material.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Northern Gyeonggi is based on agriculture and factories to consist of DMZ areas, Soyosan at Dongducheon, Sanjeonghosu at Pocheon, Baekun Valley and other beautiful natural resources and remains in the era of prehistory,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and art valley, etc and attractive tourism factors. The natural resource and furniture product in the area shall develop certification mark to assure of environment friendliness and to maximize synergy effect of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to open local product festival and to make program and to make strategy of gathering by atmosphere and emotion of the area.
      This study examined conv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cognize market and product trend in advanced countries and to make practical strategies for northern Gyeonggi furniture industry.
      Further study shall investigate opening of 'Furniture industry innovation center' that can combine organizations of furniture industries in northern Gyeonggi. Industries, academic world and research centers shall cooperate each other to strengthen capability and to make role and establish furniture industry center.
      번역하기

      The furniture industry has close relation with life to produce values and to be likely to grow. It is small business industry to have high employment effect and to be future industry and to have potential of export.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

      The furniture industry has close relation with life to produce values and to be likely to grow. It is small business industry to have high employment effect and to be future industry and to have potential of export.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should be developed to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and to help local economy and to be future industry.
      Industry with IT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nvergence.
      Furniture with IT technology that was thought to be far from state-of-the-art has been developed to sell in the market and to give new type. Furniture of life consumable can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was thought not to make growth potential of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This study investigated convergence design strategy that could develop added value and life consumable industry. The subject was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Literature, on-the-spot visi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could develop local economy to produce and grow up by small businesses at high land prices. The industry was given restriction of development not to be developed because of labor intensiveness.
      These days, low priced furniture from South East Asia as well as IKEA entered low priced market in Korea to threaten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And, the furniture industry has competitiveness edge of technology and price than Chinese made furniture had.
      This study examined growth of convergence life consumable industry by high added value of furniture industry.
      The study investigated 4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and local population and changes of consumption trend by investigation into world furniture market to make convergence design strategy of the furniture industry. And, the study examined trend of local furniture market, and trend of furniture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and market flow.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Development of furniture with inexpensive technology as well as convergence of different industries was needed. The strategy consisted of first, convergence design, second, design with different industries, and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First, IT convergence design strategy,
      Smart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to have human use and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and sensor and other digital technology expanded function of smart furniture. In other words, smart furniture design has combined electronic device and furniture. User data of built-in mechanism can monitor blood pressure, heart beat, breathing, weight and body temperature and others. Wireless charging, blue-tooth, sensor and others shall develop products. Convergence transformer household and space convergence module furniture shall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one person household and urbanization.
      Second, strategies with other industries
      Convergence of both furniture industry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can increase buying ability of consumers in Metropolitan areas.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of foreign furniture business can produce new market, high performance and safe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to strengthen consumer oriented design and to innovate design. Growth power of the industry is needed to make state of the art life consumer material.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Northern Gyeonggi is based on agriculture and factories to consist of DMZ areas, Soyosan at Dongducheon, Sanjeonghosu at Pocheon, Baekun Valley and other beautiful natural resources and remains in the era of prehistory,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and art valley, etc and attractive tourism factors. The natural resource and furniture product in the area shall develop certification mark to assure of environment friendliness and to maximize synergy effect of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to open local product festival and to make program and to make strategy of gathering by atmosphere and emotion of the area.
      This study examined conv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cognize market and product trend in advanced countries and to make practical strategies for northern Gyeonggi furniture industry.
      Further study shall investigate opening of 'Furniture industry innovation center' that can combine organizations of furniture industries in northern Gyeonggi. Industries, academic world and research centers shall cooperate each other to strengthen capability and to make role and establish furniture industry cen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국문 초록
      • Ⅰ.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범위와 방법
      • 1.1.1. 연구의 범위
      • 1.1.2. 연구방법
      • 3. 선행연구 검토
      • 4. 연구구성 체계
      • Ⅱ. 융· 복합의 이해
      • 1. 융·복합의 배경과 개념
      • 2 융·복합의 특성
      • 1) 융합기술의 특성
      • 2) 산업융합의 특성
      • (1) 기술과 산업의 융합 형태
      • (2) 인문·기술융합의 이해와 특성
      • (3) 디자인에서의 융·복합
      • 3. 가구산업의 융․복합
      • 1) 융·복합 가구 디자인의 변천
      • (1) 양식의 복합
      • (2) 구조와 소재의 융합
      • (3) 기능과의 융·복합
      • (4)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가구
      • 2) IT 융·복합 가구 디자인 사례
      • (1) 스마트 가구의 개념
      • (2) IoT기술 융합형 가구 사례
      • (3) 의료기술 융합형 가구 사례
      • (4) 첨단소재 융·복합 가구 사례
      • 3) 기능 융·복합형 가구 디자인 사례
      • 4) 콜라보레이션 가구 디자인 사례
      • 4. 분석결과
      • Ⅲ. 경기북부 가구산업 현황과 실태분석
      • 1. 세계 가구산업 현황 분석
      • 1) 세계 가구시장 현황
      • 2) 세계 가구산업 국가 별 동향
      • (1) 독일의 가구산업
      • (2) 이탈리아의 가구산업
      • (3) 중국의 가구산업
      • (4) 베트남의 가구산업
      • 3) 세계 스마트 가구시장 동향
      • (1) 외부 환경 요인
      • (2) 스마트 가구 개발 동향
      • (3) 3D 프린팅 기술 동향
      • (4) 주요 가구 수출국의 생산방식의 변화
      • 2. 국내 가구산업 현황 분석
      • 1) 가구산업의 형성과 특성
      • (1) 형성과정
      • (2) 산업적 특성
      • 2) 가구시장 현황 분석
      • (1) 시장규모
      • (2) 시장구조
      • 3) 가구산업 환경 분석
      • (1) 제조업체 및 종사자 현황
      • (2) 지역분포 현황
      • (3) 업종비중
      • 4) 가구산업 변화와 동향 분석
      • (1) 국내 시장 변화 분석
      • (2) 가구산업 구조 변화 분석
      • (3) 대외무역 동향 분석
      • (4) 정부 정책 동향 분석
      • 3. 경기북부 가구산업 현황 및 분석
      • 1) 지역여건 및 현황
      • (1) 지역여건
      • (2) 경기북부 가구산업 현황
      • 2) 경기북부 가구산업 현황 분석
      • (1) 형성과정
      • (2) 분포현황
      • (3) 매출액 현황
      • (4) 종사자 현황 및 고용실태
      • (5) 업종 비중 및 기술현황
      • (6) 생산 현황
      • (7) 인프라 구축
      • (8)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
      • 1.1.3. 가구산업 SWOT 분석
      • (1) 강점(Strength)
      • (2) 약점(Weakness)
      • (3) 기회(Opportunity)
      • (4) 위협(Threat)
      • 1.1.4. 인프라 시설 및 정책 지원 현황
      • (1) 지원 정책 및 기관
      • (2) 물류 및 판매지원 시설
      • 1.1.5. 지원 사업 현황
      • 1.1.6. 기타 지역 특화산업
      • (1) 섬유·가죽 패션산업 현황
      • (2) 지원기관 및 사업 현황
      • 1.1.7. 경기북부 가구산업 실태 조사
      • (1) 설문 조사 분석
      • (2) 심층면접 분석
      • 4. 소결
      • Ⅳ. 경기북부 가구산업 융·복합 디자인 전략
      • 1.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
      • 1) 스마트 가구 개발 필요성
      • 2) 스마트 가구 기술 특허 출원 사례
      • 3) 적정 융·복합 IT 기술
      • (1) 무선충전 기술
      • (2) 블루투스 기술
      • (3) 센서 기술
      • 4) 첨단소재와의 융합
      • (1) 첨단 하이브리드 소재
      • (2) 스마트 섬유(Smart fabric) 소재
      • 5) 기능과 기능의 융·복합
      • (1) 1인 가구 소비 트렌드와 시장동향
      • (2) Small & Transformer형 가구
      • (3) 모듈형 공간 활용 가구
      • 2.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전략
      • 1)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필요성
      • 2)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사례
      • (1) 일본의 토종 브랜드 ‘니토리’ 의 사례
      • (2) ‘오카와’ 가구산업 사례
      • 3. 지역산업 융·복합 전략
      • 1) 지역산업의 연계 필요성
      • (1) 아사히카와 가구산업 사례
      • 4. 경기북부 가구산업 융·복합 전략 방안
      • 1) IT융·복합 디자인 전략 방안
      • 2)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방안
      • 3)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 전략 방안
      • Ⅴ. 결론
      • 1. 연구의 종합
      • 2. 기대 효과 및 향후 연구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태철, 박양미, "디자인과 융합 기술",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4

      2 윤성빈, "4차 산업혁명, 융합 혁신론", (http://blog.naver.com/bookdoo77/2, 2111

      3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4 Klaus Sembach, "20世紀の家具テザイン-日本語版", Benedik Taschen, 1992

      5 전영옥, "도시에메니티개선과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2003

      6 김동안, "국내 가구산업 전망과 영업기회 발굴", 하나금융경 영연구소, 2014

      7 김미숙, 최성운, "융․복합 기반의 가구개발 사례 연구", 상품문 화디자인학연구 제51호, 2017

      8 이상일, "컨버젼스 IT가 미래 BUSINESS를 지배한다", 도서출판 NT미디어, 2013

      9 문미성, "경기도 가구산업 구조변화와 정책방안", 경기연구원, 2015

      10 조영준, "융합기술과 융합산업 발전방안, CEO REPORT", 경기 개발연구원, No41, 2010

      1 김태철, 박양미, "디자인과 융합 기술",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4

      2 윤성빈, "4차 산업혁명, 융합 혁신론", (http://blog.naver.com/bookdoo77/2, 2111

      3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4 Klaus Sembach, "20世紀の家具テザイン-日本語版", Benedik Taschen, 1992

      5 전영옥, "도시에메니티개선과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2003

      6 김동안, "국내 가구산업 전망과 영업기회 발굴", 하나금융경 영연구소, 2014

      7 김미숙, 최성운, "융․복합 기반의 가구개발 사례 연구", 상품문 화디자인학연구 제51호, 2017

      8 이상일, "컨버젼스 IT가 미래 BUSINESS를 지배한다", 도서출판 NT미디어, 2013

      9 문미성, "경기도 가구산업 구조변화와 정책방안", 경기연구원, 2015

      10 조영준, "융합기술과 융합산업 발전방안, CEO REPORT", 경기 개발연구원, No41, 2010

      11 안철용, "가구산업의 전략적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12 손규식, "기술융합의 오늘과 내일, ie매거진, 제19권", 제2호 (통권 56호), 2012

      13 마이클, "J. 실버스타인. 소비의 새물결 트레이딩업", 세종서적, 2005

      14 박상옥, "지역특화산업의 지역경쟁력 영향구조 분석", 한양대 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5 서원, "지역특화산업 선정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6 한국경제TV산업팀, "4차 산업혁명 세상을 바꾸는14가지 미래 기술", 지식노마드, 2016

      17 강화선, 김미숙, "융합디자인 가구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138, 2018

      18 이지평, "기술융합이 몰고 올 산업의 트렌드 활용 방안", null

      19 김혜연, "익스클루시브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20 김지인, "상호 혼성적 디자인으로서의 융합디자인 개 념", 한국디자인 포럼, Vol.32, p266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21 롤랜드버거리, "김정희 외 1인 역, 4차 산업혁명 이미 와 있는 미래", 다산 books, 2017

      22 박지혜, "협업 촉진전략 CPS를 활용한 백화점 VMD 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23 마이클, "J. 실버스타인, 닐 피스크, 소비의 새물결 트레이딩업", 세 종서적, 2005

      24 공희정, "융합디자인 전략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에 관한 연 구", 서울과학기술대 나노IT융합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25 정채권, "국내 가구산업의 친환경 전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6 이은석, "운동 재활의 연구 동향과 융복합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 운동재활학회 학술대회 학술 발표 논문집, 2012

      27 강필현, 박억철, "디자인 환경변화에 따른 디자인 외부성과 역 할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 12권3호, 2011

      28 강필현, "디자인 환경변화에 따른 디자인 외부성과 역할 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2권3호, 2011

      29 김미숙, "소비트렌드의 변화와 콜라보레이션 상품디자인에 관 한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 연구, 52호, 2018

      30 김태영, "이모티콘 캐릭터와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시장의 상 관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31 김양경, "가구산업의 시장진출(Driving –Markets)을 위한 디 자인경영전략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32 조영황, "한국 가구산업의 경쟁력강화 방안연구, 한양대학교 기 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33 송윤섭, "전통과 현대공예 양식의 병치 혼합적 특성을 적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34 이운성, "각 산업의 e-비지니스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연세대 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35 송그랏파타니,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가치,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36 조은환, "기업의 융합형 디자인전략 체계(CDSS) 및 구조 모 형,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n 석사학위논문, 2009

      37 송성일, "디자인 융합 R&D 지원사업의 혁신방안에 관한 연 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38 민경문, "우리나라 가구제조 기업의 글로벌전략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39 최종화, "인문, 기술 융합에 기반한 기업혁신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12, 2015

      40 박정자, "국내 가구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 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41 김종광, "한국 가구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 대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42 이웅규, "향토자원 융 복합 기반의 푸드투어리즘을 활용한 지 역 활성화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43 이희준, "한국형 산업융합 방법론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국 제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44 엄주희,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 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45 안수민, "HCSI(Hard –Culture-Service-Image)융합을 통한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 디자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16

      46 정희림, "IKEA의 한국 진출이 국내 가정용 가구기업의 디자인 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7

      47 지순규, "가구산업의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8 원종훈, "국내 가구산업의 공급채널 특성과 공동물류 추진방안 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