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 무용 수업에서 K-POP댄스를 활용한 질적 연구: 무용예술강사를 중심으로 = Qualitative study using K-POP dance in school dance class: Focusing on dance art instru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6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nce educational program by conducting a dance class using K-POP dance in a dance class of middle school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art instructor classes were conducted with K-POP dance for 4 month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dance literacy mentioned in the 2011 dance education standard development research to this study, it focuses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dancing, reading dance, making dance, and sharing dance through dance experience.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of K-POP dance class as a dance play was derived as a key theme. As a result, sub-themes were derived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a cla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idols, and recognition,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a fun play. Second, it was derived the 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K-POP d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themes were statements that demanded the need for a teacher who can professionally guide K-POP d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mentioned above, K-POP dance has also been confirmed to be useful as a dance education program, but it was believed that a fundamental solution in the environmental aspec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nce educational program by conducting a dance class using K-POP dance in a dance class of middle school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art instructor classes were conducted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nce educational program by conducting a dance class using K-POP dance in a dance class of middle school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art instructor classes were conducted with K-POP dance for 4 month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dance literacy mentioned in the 2011 dance education standard development research to this study, it focuses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dancing, reading dance, making dance, and sharing dance through dance experience.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of K-POP dance class as a dance play was derived as a key theme. As a result, sub-themes were derived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a cla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idols, and recognition,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a fun play. Second, it was derived the 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K-POP d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themes were statements that demanded the need for a teacher who can professionally guide K-POP d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mentioned above, K-POP dance has also been confirmed to be useful as a dance education program, but it was believed that a fundamental solution in the environmental aspec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수업에 K-POP댄스를 활용한 무용 수업을 진행해 봄으로써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4개월간 K-POP댄스로 예술강사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2011년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에서 언급 되었던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응용 및 적용하여 춤 체험을 통한 춤추기, 춤 읽기, 춤 만들기, 춤 나누기의 종합적인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K-POP댄스 수업을 무용놀이로 인식하는 것이 핵심주제어로 도출되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아이돌의 내면화를 통한 적극적 수업참여, 재미를 통한 놀이로 인식, 수용 그리고 변형과 창작으로 도출되었다. 즉, 단순히 춤만 모방하는 K-POP댄스가 아닌 댄스 리터러시에 근거하여 춤을 추고, 춤을 만들고, 춤을 읽고, 춤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신장 시켜줄 수 있는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K-POP댄스가 무용수업의 동기유발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전반적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K-POP댄스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K-POP댄스를 전문적으로 지도해 줄 수 있는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점과 열악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진술내용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무용교육의 수혜자인 연구 참여자들 입장에서 요구했던 내용으로 주로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K-POP댄스전문 강사 배치와 공간제공, 기자재 부족 해결 등 환경적 변화를 제기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K-POP댄스도 무용교육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확인되었으나 지속적인 무용예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면에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K-POP댄스가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으로 공론화 되고 나아가 무용수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수업에 K-POP댄스를 활용한 무용 수업을 진행해 봄으로써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

      이 연구는 중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수업에 K-POP댄스를 활용한 무용 수업을 진행해 봄으로써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4개월간 K-POP댄스로 예술강사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2011년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에서 언급 되었던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응용 및 적용하여 춤 체험을 통한 춤추기, 춤 읽기, 춤 만들기, 춤 나누기의 종합적인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K-POP댄스 수업을 무용놀이로 인식하는 것이 핵심주제어로 도출되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아이돌의 내면화를 통한 적극적 수업참여, 재미를 통한 놀이로 인식, 수용 그리고 변형과 창작으로 도출되었다. 즉, 단순히 춤만 모방하는 K-POP댄스가 아닌 댄스 리터러시에 근거하여 춤을 추고, 춤을 만들고, 춤을 읽고, 춤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신장 시켜줄 수 있는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K-POP댄스가 무용수업의 동기유발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전반적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K-POP댄스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K-POP댄스를 전문적으로 지도해 줄 수 있는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점과 열악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진술내용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무용교육의 수혜자인 연구 참여자들 입장에서 요구했던 내용으로 주로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K-POP댄스전문 강사 배치와 공간제공, 기자재 부족 해결 등 환경적 변화를 제기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K-POP댄스도 무용교육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확인되었으나 지속적인 무용예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면에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K-POP댄스가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으로 공론화 되고 나아가 무용수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지민, "후기 청소년이 바라본 아이돌과 팬덤문화의 세대별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2 이우재, "한국 스트릿 댄스 발전과정에 나타난 밈(Meme)적 현상" 한국체육철학회 28 (28): 89-99, 2020

      3 김남현, "춤에 있어서의 모방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2 (12): 529-542, 2004

      4 김미경, "초등무용교육의 교과 내용 및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태연,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현황과 실태 -청주지역 초등학교 한국무용 학습자들의 인식분석-" 영남춤학회 7 (7): 85-110, 2019

      6 최유리, "청소년들의 방송댄스 프로그램 재미요인이 몰입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6 (76): 269-286, 2018

      7 최유리, "청소년들의 방송 댄스 프로그램에서 재민요인이 몰입과 자아정체 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등원주대학교 대학원 2018

      8 김민정,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아이돌 우상화, 외모인식, 다이어트 행동, 영양교육 필요성 인식에 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9 권인선, "중학교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학급전체 또래교수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37-1357, 2020

      10 장용규, "젠더화 된 공간 : 초등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한국초등체육학회 25 (25): 39-60, 2020

      1 손지민, "후기 청소년이 바라본 아이돌과 팬덤문화의 세대별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2 이우재, "한국 스트릿 댄스 발전과정에 나타난 밈(Meme)적 현상" 한국체육철학회 28 (28): 89-99, 2020

      3 김남현, "춤에 있어서의 모방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2 (12): 529-542, 2004

      4 김미경, "초등무용교육의 교과 내용 및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태연, "초등 한국무용 교육의 현황과 실태 -청주지역 초등학교 한국무용 학습자들의 인식분석-" 영남춤학회 7 (7): 85-110, 2019

      6 최유리, "청소년들의 방송댄스 프로그램 재미요인이 몰입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6 (76): 269-286, 2018

      7 최유리, "청소년들의 방송 댄스 프로그램에서 재민요인이 몰입과 자아정체 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등원주대학교 대학원 2018

      8 김민정,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아이돌 우상화, 외모인식, 다이어트 행동, 영양교육 필요성 인식에 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9 권인선, "중학교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학급전체 또래교수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37-1357, 2020

      10 장용규, "젠더화 된 공간 : 초등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한국초등체육학회 25 (25): 39-60, 2020

      11 형구암, "방송댄스 참여 청소년의 끌림행동, 자극추구성향 및 또래동조의 관계"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183-202, 2011

      12 배지윤, "방과후 K-POP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학교생활에 관한 질적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3 서예원,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 : 무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14 김혜정,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ʻ좋은 지도자ʼ의 유형과 특성" 한국무용과학회 31 (31): 157-172, 2014

      15 신혜숙, "무용예술강사의 역할수행 능력과 직무몰입과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32 (32): 79-90, 2015

      16 정소민, "무용교육의 환경요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7 김미숙, "대학생 방송댄스 동아리의 하위문화 특성 및 기능" 대한무용학회 76 (76): 1-22, 2018

      18 이보영, "강원도 여자중학교 무용수업의 실태 분석 및 인식도 조사" 대한무용학회 63 (63): 167-180, 2010

      19 황윤호, "K-POP댄스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안창용, "K-POP댄스 선호청소년의 참여활동경험과 진로준비과정 탐색"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6

      21 박진아,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14

      22 Masayo Naruse, "10대 여성재소자들의 12주간 방송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63 (63): 323-33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