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5대 암 검진대상 인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Population Needed to Have Cancer Scree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have been shown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socioeconomic index and measure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

      Background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have been shown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socioeconomic index and measure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using the 2004 and 2005 Korea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dataMethodsThe cross sectional survey data from the 2004 and 2005 Korea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were used. A total of 1,619 respondents in 2004 and 1,742 respondents in 2005 were subjects in this study. Socioeconomic status factors included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al level and health status were measured with self-rated health.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1.ResultsSocioeconomic status including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affected on self-rated health. The risk of being self-rated poor health was higher in low educational level than high educational level (2004; 1.92 times, C・I 1.06~3.47, 2005; 2.28 times, C・I 1.10~4.69). People with low household income levels also had higher risk to be sel-rated poor health than high household income level (2004; 2.23 times, C・I 1.14~4.39, 2005; 3.42 times, C・I 1.85~6.323). In case of occupational level, unemployed people had higher to be self-rated poor health than white collar workers (2004; 2.51 times, C・I 1.41~4.39, 2005; 2.30 times, C・I 1.29~4.18). ConclusionsWe confirmed that people in low levels of socioeconomic status were likely to having poor self-rated heal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oeconomic status including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in order to improve health stat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이미 활발하게 이루어져왔지만, 사회경제적 지표 선정과 건강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화와 측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배경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이미 활발하게 이루어져왔지만, 사회경제적 지표 선정과 건강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화와 측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는 2004년과 2005년 전국민 대상 암검진 수검 행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 소득, 직업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방 법이 연구는 2004년과 2005년 전국민 대상 암검진 수검 행태 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Cross sectional study)이다. 2004년 전국민 대상 암검진 수검 행태 조사 자료는 2000년 인구주택 총 조사의 인구를 기준으로 표준 전화번호를 생성하였다. 이 중 무작위번호 전화걸기(random digit dialing)를 이용하여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분석대상으로 총 1,619명을 선정하였다. 2005년 전국민 대상 암검진 수검 행태 조사 자료는 200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조사의 인구를 기준으로 표본수를 결정하여 다단계 층화 무작위 추출(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총 1,742명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사회경제적 수준은 교육, 소득, 직업을, 건강상태는 주관적 건강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은 SAS(Version 9.1; SAS Inst., Cary, NC)을 사용하여, x2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하였다.결 과2004년과 2005년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이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쁘다고 응답할 확률이 2004년 1.92배(1.06-3.47), 2005년 2.28배(1.10-4.69)였고,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쁘다고 응답할 확률이 2004년 2.23배(1.14-4.39), 2005년 3.42배(1.85-6.33), 사무직인 경우보다 무직의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쁘다고 응답할 확률이 2004년 2.51배(1.41-4.39), 2005년 2.30배(1.29-4.18)였다. 결 론전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 교육, 소득, 직업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수준을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웅, "제주도 주민의 소득계층에 따른 암 입원의료이용의 차이" 13 (13): 104-128, 2003

      2 사회불평등, "이론과 전망" 서울 나남출판사; 1994

      3 윤태호, "우리나라 사회계층별로 건강행태 차이" 33 (33): 469-476, 2000

      4 장동민, "사회계층별 의료서비스 분배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1996

      5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35 (35): 57-64, 2002

      6 이후연, "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 및 만성폐쇄성폐질환과의 관계" 2005

      7 강영호, "사회경제적 사망률 불평등 :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추적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20, 2004

      8 김혜련,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사회계층별 차이와건강행태의 영향-서울시민을 대상으로" 3-35, 2005

      9 김혜련,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출판사 2004

      10 Kaplan GA,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oeco (socioeco): circulation1993;881973-98

      1 김철웅, "제주도 주민의 소득계층에 따른 암 입원의료이용의 차이" 13 (13): 104-128, 2003

      2 사회불평등, "이론과 전망" 서울 나남출판사; 1994

      3 윤태호, "우리나라 사회계층별로 건강행태 차이" 33 (33): 469-476, 2000

      4 장동민, "사회계층별 의료서비스 분배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1996

      5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35 (35): 57-64, 2002

      6 이후연, "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 및 만성폐쇄성폐질환과의 관계" 2005

      7 강영호, "사회경제적 사망률 불평등 :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추적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20, 2004

      8 김혜련,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사회계층별 차이와건강행태의 영향-서울시민을 대상으로" 3-35, 2005

      9 김혜련,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출판사 2004

      10 Kaplan GA,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oeco (socioeco): circulation1993;881973-98

      11 Mackenbach JP, "Widen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mortality in six Western European countries" 32 (32): 830-837, 2003

      12 Sorlie P, "US mortality by economic,demography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National LongitudinalMortality Study" 85 : 949-959, 1995

      1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8

      14 Kunst AE, "Trends i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elf-assessed healthin 10 European countries" 34 : 295-305, 2005

      15 Liang J, "Transitions in functional status amongolder people in Wuhan, China. socio-economic differentials" 54 (54): 1126-1138, 2001

      16 Stronks K,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come, health and employmentstatus" 26 (26): 592-600, 1997

      17 Zimmer Z, "Socioeconomic status andhealth among older adults in Thailand: An examination usingmultiple indicators" 52 : 1297-1311, 2001

      18 Mackenbach JP,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bidity and mortality inwestern Europe" 349 : 1655-1659, 1997

      19 Adley NE,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pathways and policies" 21 (21): 60-76, 2002

      20 Franks P, "Sociodemographics, self-ratedhealth, and mortality in the US" 56 : 2505-2514, 2003

      21 Rein M, "Social class and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service A study of British experience under the National health service" 43-54, hospitals1969;43

      22 Idler EL, "Self-ratings of health do they also predictchange in functional ability" 50 (50): S344-353, 1995

      23 Idler EL,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38 : 21-37, 1997

      24 Meltzer J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rvey dataon public health" 1075-86,

      25 Lahelma E, "Pathways between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58 : 327-332, 2004

      26 Cavelaars AEJM, "Morbidity difference by occupational classamong men in seven European countries an application of theErikson-Goldthorpe social class scheme" 27 : 222-230, 1998

      27 Krieger N, "Measuring social calss in USpublic health research: Concepts,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18 : 341-378, 1997

      28 Allison PD, "Logistic Regression Using SAS System: Theory andApplica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99

      29 Davey SG, "Inequalities in health twenty years on the Whitehall Ⅱstudy of British Civil Servants" 1387-94, lancet1991;337

      30 Duncan GJ, "Income dynamic and health." 26 (26): 419-444, 1996

      31 Willits FK,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later middle years" 172-6, jgerontol1988;43

      32 Kabir ZN, "Gender and ruralurban difference inreported health status by older people in Bangladesh" 37 : 77-91, 2003

      33 Husiman MK, "Educational inequalities in cause-specific mortality inmiddle-aged and older men and women in eight westernEuropean populations" 365 : 493-500, 2005

      34 Jiang J, "Demographicdeterminants for chan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cohortstudy of the elderly people in Beijing" 12 : 280-286, 2002

      35 Lynch JW, "DO cardiovascular riskfactors explanin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riskof all-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acutemyocardial infaction" 144 : 934-942, 1996

      36 Sacker A, "Comparinghealth inequality in men and women: prospective study ofmortality 1896~1996" 320 : 1303-1307, 2000

      37 Lee YH, "A comparison of correlates of self-ratedhealth and functional disability of older persons in the far east:Japan and Korea" 37 : 63-7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