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금숙,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말 산출 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5 (15): 103-116, 2008
2 양지아, "중증도에 따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교대운동속도 과제 수행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45-60, 2010
3 이필상, "조음기관 근육이완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75-93, 2012
4 신문자, "조음기관 구조ㆍ기능 선별검사" 학지사 2008
5 남현욱, "읽기과제에서의 뇌성마비 유형별 조음 및 운율의 청지각적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91-103, 2009
6 김영태,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 학지사 2004
7 김재옥,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180-197, 2018
8 김양선,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05-123, 2016
9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민정, "말소리장애의 동반장애 유형 및 말-언어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446-455, 2015
1 이금숙,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말 산출 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5 (15): 103-116, 2008
2 양지아, "중증도에 따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교대운동속도 과제 수행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45-60, 2010
3 이필상, "조음기관 근육이완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75-93, 2012
4 신문자, "조음기관 구조ㆍ기능 선별검사" 학지사 2008
5 남현욱, "읽기과제에서의 뇌성마비 유형별 조음 및 운율의 청지각적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91-103, 2009
6 김영태,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 학지사 2004
7 김재옥,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180-197, 2018
8 김양선,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05-123, 2016
9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민정, "말소리장애의 동반장애 유형 및 말-언어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446-455, 2015
11 최여진,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성인의 최대 혀 및 입술 강도와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관계" 한국음성학회 5 (5): 11-22, 2013
12 이영미,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 오류 분석" 한국음성학회 5 (5): 47-54, 2013
13 남현욱, "뇌성마비 유형별 구어산출 하위체계 특성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17-50, 2009
14 김숙희, "뇌성마비 아동의 음성 환경에 따른 치경마찰음 ‘ㅅ’, ‘ㅆ’의 음향학적 특성" 한국음성학회 5 (5): 3-10, 2013
15 심현섭, "뇌성마비 아동의 모음산출에 관한 연구" 3 (3): 68-83, 1998
16 김선희, "뇌성마비 아동용 한국형 섭식 기능 평가 도구와조음 능력 간에 상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37-51, 2012
17 박한나, "뇌성마비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음악적 발화과제 시 음성 특성 비교"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2 (12): 1-18, 2015
18 박은숙, "경직형 뇌성마비 환아의 모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대한재활의학회 31 (31): 103-108, 2007
19 정진옥,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최대 발성지속시간과 파열음 산출 시 조음시간 특성 비교" 한국음성학회 3 (3): 135-143, 2011
20 Connolly, B. H., "Therapeutic exerci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LACK 2001
21 박양미,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직형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교대운동 비교 연구 :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05
22 Duffy, J. R., "Motor speech disorders :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Mosby 1995
23 Darley, F. L., "Motor speech disorders" W. B. Saunders 1975
24 J. Wit, "Maximum Performance Tes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pastic Dysarthria"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36 (36): 452-, 1993
25 Hardy, J. C., "Lung function of athetoid and spastic quadriplegic children" 6 : 378-388, 1964
26 L. J. Platt, "Dysarthria of Adult Cerebral Palsy"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3 (23): 28-, 1980
27 Caruso, A. J., "Clinical manage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Thieme 1999
28 H Ackermann, "Articulatory deficits in parkinsonian dysarthria: an acoustic analysis." BMJ 54 (54): 1093-1098, 1991
29 Tamplin, J., "A pilot study in to thee effect of vocal exercises and singing on dysarthric speech" 23 : 207-21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