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말산출 하부 체계 구조 및 기능 비교 = Comparison of Speech Mechanism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7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mechanism including respiration, phonation, articulation, and resona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using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Methods: Ninet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nd 19 normal developing children (NC) aged from 4 to 12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evaluate with the SMST-C. SMST-C is comprises of 46 items with 14 structures and 16 functions, 3 voices, 1 articulation, and 6 regularities and 6 accuracies in diadochokinesis (DDK). Maximum phonation time (MPT), speech rates, and DDK rates (alternative motion rate (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 (SMR)) were also measured. The total score of SMST-C ranged from 0 to 100. A lower total score mean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peech mechanism. Therefore, we compared the SMST-C total score, MPT, speech rate, and DDK rates between CP and NC. Results: The total scores of SMST-C of CP and N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PT, speech rate, and DDK (AMR, SMR) als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P than in NC. Conclusions: This study preliminarily provides the objective data to screen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to normal children using SMST-C. It can be seen that SMST-C is suitable for screening wheth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disorders is normal or not.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mechanism including respiration, phonation, articulation, and resona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using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Me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mechanism including respiration, phonation, articulation, and resona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using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Methods: Ninet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nd 19 normal developing children (NC) aged from 4 to 12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evaluate with the SMST-C. SMST-C is comprises of 46 items with 14 structures and 16 functions, 3 voices, 1 articulation, and 6 regularities and 6 accuracies in diadochokinesis (DDK). Maximum phonation time (MPT), speech rates, and DDK rates (alternative motion rate (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 (SMR)) were also measured. The total score of SMST-C ranged from 0 to 100. A lower total score mean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peech mechanism. Therefore, we compared the SMST-C total score, MPT, speech rate, and DDK rates between CP and NC. Results: The total scores of SMST-C of CP and N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PT, speech rate, and DDK (AMR, SMR) als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P than in NC. Conclusions: This study preliminarily provides the objective data to screen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to normal children using SMST-C. It can be seen that SMST-C is suitable for screening wheth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peech mechanism in children with disorders is normal or n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조음기관 구조와 기능을 통한 말산출 하부 체계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4~12세의 뇌성마비 아동 19명과 일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를 실시하였다. SMST-C는 14개의 구조와 16개의 기능 항목, 3개의 음성 항목, 1개의 조음선별 항목, 그리고 /퍼/, /터/, /커/, /러/, /겅/의 5개 일음절과 /퍼터커/의 조음교대운동(diadochokinetics: DDK)을 실행 시 측정되는 12개의 조음규칙성과 조음정확성 항목에 의해 총 4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말속도 및 교대운동속도(alterantive motion rate: AMR)와 일련운동속도(sequentional motion rate, SMR)의 DDK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SMST-C의 총점수는 0~100점까지 산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말산출 하부 체계의 이상이 있음을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의 SMST-C 총점수, MPT, 말속도 및 DDK 속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SMST-C 총점수는 뇌성마비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MPT, 말속도 및 DDK (AMR, SMR) 또한 뇌성마비 아동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SMST-C를 사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말산출 하부 체계 구조 및 기능을 점수화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일반 아동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SMST-C는 다양한 장애 아동의 말산출 하부기제의 구조 및 기능의 장애 유무를 선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조음기관 구조와 기능을 통한 말산출 하부 체계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4~12세의 뇌성마비 아동 19명과 일반 아동...

      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조음기관 구조와 기능을 통한 말산출 하부 체계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4~12세의 뇌성마비 아동 19명과 일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를 실시하였다. SMST-C는 14개의 구조와 16개의 기능 항목, 3개의 음성 항목, 1개의 조음선별 항목, 그리고 /퍼/, /터/, /커/, /러/, /겅/의 5개 일음절과 /퍼터커/의 조음교대운동(diadochokinetics: DDK)을 실행 시 측정되는 12개의 조음규칙성과 조음정확성 항목에 의해 총 4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말속도 및 교대운동속도(alterantive motion rate: AMR)와 일련운동속도(sequentional motion rate, SMR)의 DDK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SMST-C의 총점수는 0~100점까지 산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말산출 하부 체계의 이상이 있음을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 아동의 SMST-C 총점수, MPT, 말속도 및 DDK 속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SMST-C 총점수는 뇌성마비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MPT, 말속도 및 DDK (AMR, SMR) 또한 뇌성마비 아동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SMST-C를 사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말산출 하부 체계 구조 및 기능을 점수화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일반 아동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SMST-C는 다양한 장애 아동의 말산출 하부기제의 구조 및 기능의 장애 유무를 선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금숙,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말 산출 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5 (15): 103-116, 2008

      2 양지아, "중증도에 따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교대운동속도 과제 수행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45-60, 2010

      3 이필상, "조음기관 근육이완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75-93, 2012

      4 신문자, "조음기관 구조ㆍ기능 선별검사" 학지사 2008

      5 남현욱, "읽기과제에서의 뇌성마비 유형별 조음 및 운율의 청지각적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91-103, 2009

      6 김영태,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 학지사 2004

      7 김재옥,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180-197, 2018

      8 김양선,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05-123, 2016

      9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민정, "말소리장애의 동반장애 유형 및 말-언어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446-455, 2015

      1 이금숙,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말 산출 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5 (15): 103-116, 2008

      2 양지아, "중증도에 따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교대운동속도 과제 수행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45-60, 2010

      3 이필상, "조음기관 근육이완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75-93, 2012

      4 신문자, "조음기관 구조ㆍ기능 선별검사" 학지사 2008

      5 남현욱, "읽기과제에서의 뇌성마비 유형별 조음 및 운율의 청지각적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91-103, 2009

      6 김영태,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 학지사 2004

      7 김재옥,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180-197, 2018

      8 김양선,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05-123, 2016

      9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민정, "말소리장애의 동반장애 유형 및 말-언어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446-455, 2015

      11 최여진,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성인의 최대 혀 및 입술 강도와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관계" 한국음성학회 5 (5): 11-22, 2013

      12 이영미,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 오류 분석" 한국음성학회 5 (5): 47-54, 2013

      13 남현욱, "뇌성마비 유형별 구어산출 하위체계 특성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17-50, 2009

      14 김숙희, "뇌성마비 아동의 음성 환경에 따른 치경마찰음 ‘ㅅ’, ‘ㅆ’의 음향학적 특성" 한국음성학회 5 (5): 3-10, 2013

      15 심현섭, "뇌성마비 아동의 모음산출에 관한 연구" 3 (3): 68-83, 1998

      16 김선희, "뇌성마비 아동용 한국형 섭식 기능 평가 도구와조음 능력 간에 상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37-51, 2012

      17 박한나, "뇌성마비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음악적 발화과제 시 음성 특성 비교"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2 (12): 1-18, 2015

      18 박은숙, "경직형 뇌성마비 환아의 모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대한재활의학회 31 (31): 103-108, 2007

      19 정진옥,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최대 발성지속시간과 파열음 산출 시 조음시간 특성 비교" 한국음성학회 3 (3): 135-143, 2011

      20 Connolly, B. H., "Therapeutic exerci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LACK 2001

      21 박양미,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직형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교대운동 비교 연구 :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05

      22 Duffy, J. R., "Motor speech disorders :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Mosby 1995

      23 Darley, F. L., "Motor speech disorders" W. B. Saunders 1975

      24 J. Wit, "Maximum Performance Tes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pastic Dysarthria"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36 (36): 452-, 1993

      25 Hardy, J. C., "Lung function of athetoid and spastic quadriplegic children" 6 : 378-388, 1964

      26 L. J. Platt, "Dysarthria of Adult Cerebral Palsy"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3 (23): 28-, 1980

      27 Caruso, A. J., "Clinical manage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Thieme 1999

      28 H Ackermann, "Articulatory deficits in parkinsonian dysarthria: an acoustic analysis." BMJ 54 (54): 1093-1098, 1991

      29 Tamplin, J., "A pilot study in to thee effect of vocal exercises and singing on dysarthric speech" 23 : 207-216,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