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동사 표현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icacy of Augmented Reality Based Speech Language Therapy Program on Verbal Expression Vocabulary Improve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7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For effective verbal expression training,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utilize a therapeutic medium that is capable of expressing dynamic motion. Recently, various mediation methods using the medium have been studied. We attempt to apply an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 as the medium and language therapy using natural feature tracking into verbal express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We have developed an AR-based therapy program that can recognize picture cards by natural feature tracking and that consists of four scene units. ABA reversal design was applied to fou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4 to 6 years old. The 30 verbs that all participants negative responded to were selected as intervention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 list was composed of 3 sets of 10 verbs per each set. The baseline included phases 1 and 2 over 3 sessions, while the intervention phase was 12 session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8 sessions. The therapeutic effect was evaluated by verb accuracy. Results: At the intervention phase, the verb accuracy increased in all the subjects, which showed a more considerable increase than that in baseline 1 phase. At the baseline 2 phase,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Conclusions: The AR-based language therapy was effective in action verbs learning. Through this medium of child-centered intervention, experiential learning in real world where information of mixed words are manipulated can effectively be possible for those in need. For effective intervention, a treat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an AR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intervention approach can be useful as a tool to complement previously existing intervention methods.
      번역하기

      Purpose: For effective verbal expression training,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utilize a therapeutic medium that is capable of expressing dynamic motion. Recently, various mediation methods using the medium have been studied. We attempt to apply an ...

      Purpose: For effective verbal expression training,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utilize a therapeutic medium that is capable of expressing dynamic motion. Recently, various mediation methods using the medium have been studied. We attempt to apply an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 as the medium and language therapy using natural feature tracking into verbal express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We have developed an AR-based therapy program that can recognize picture cards by natural feature tracking and that consists of four scene units. ABA reversal design was applied to fou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4 to 6 years old. The 30 verbs that all participants negative responded to were selected as intervention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 list was composed of 3 sets of 10 verbs per each set. The baseline included phases 1 and 2 over 3 sessions, while the intervention phase was 12 session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8 sessions. The therapeutic effect was evaluated by verb accuracy. Results: At the intervention phase, the verb accuracy increased in all the subjects, which showed a more considerable increase than that in baseline 1 phase. At the baseline 2 phase,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Conclusions: The AR-based language therapy was effective in action verbs learning. Through this medium of child-centered intervention, experiential learning in real world where information of mixed words are manipulated can effectively be possible for those in need. For effective intervention, a treat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an AR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intervention approach can be useful as a tool to complement previously existing intervention meth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효과적인 동사 표현 훈련을 위해서는 동적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치료매체의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중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특징추출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적장애아동의 동사 표현 중재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자연특징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그림카드의 인식이 가능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과 장면단위로 구성된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4세에서 6세 미만의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 4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림카드에서 대상아동 4명이 모두 오반응한 동사 30개를 중재 동사로 선정하였고, 각 세트 당 10개씩, 총 3세트로 어휘 목록을 구성하였다. 기초선 1은 3회기, 중재 기간은 1세트 당 4회기씩 총 12회기, 기초선 2는 3회기로, 총 18회기가 실시되었다. 치료효과는 동사 표현 정반응률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대상자 모두는 기초선 1과 비교하여 중재 단계에서 각 세트의 회기를 통과 할 때마다 동사 표현 정반응률이 증가하였으며 기초선 2단계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며,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혼합세계의 정보를 직접 조작하는 경험 중심 학습이 가능하기에 아동중심 중재의 매체로써 효과적이다.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증강현실에 적합한 치료계획을 수립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중재는 기존의 중재를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효과적인 동사 표현 훈련을 위해서는 동적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치료매체의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중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

      목적: 효과적인 동사 표현 훈련을 위해서는 동적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치료매체의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중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특징추출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적장애아동의 동사 표현 중재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자연특징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그림카드의 인식이 가능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과 장면단위로 구성된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4세에서 6세 미만의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 4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림카드에서 대상아동 4명이 모두 오반응한 동사 30개를 중재 동사로 선정하였고, 각 세트 당 10개씩, 총 3세트로 어휘 목록을 구성하였다. 기초선 1은 3회기, 중재 기간은 1세트 당 4회기씩 총 12회기, 기초선 2는 3회기로, 총 18회기가 실시되었다. 치료효과는 동사 표현 정반응률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대상자 모두는 기초선 1과 비교하여 중재 단계에서 각 세트의 회기를 통과 할 때마다 동사 표현 정반응률이 증가하였으며 기초선 2단계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며,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혼합세계의 정보를 직접 조작하는 경험 중심 학습이 가능하기에 아동중심 중재의 매체로써 효과적이다.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증강현실에 적합한 치료계획을 수립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중재는 기존의 중재를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광응,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언어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22 (22): 161-177, 1999

      2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3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동사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4 류지헌, "증강현실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배인호,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39-152, 2014

      6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93-223, 2008

      7 이명진, "증강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동사 표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전병운,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연구-어휘 및 구문발달을 중심으로" 51 : 187-188, 1988

      9 김수진,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용언 발달:단어구조에 따른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1 (11): 255-269, 2004

      10 계미경,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명사와 동사 이름대기 특성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 여광응,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언어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22 (22): 161-177, 1999

      2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3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동사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4 류지헌, "증강현실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배인호,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39-152, 2014

      6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93-223, 2008

      7 이명진, "증강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동사 표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전병운,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연구-어휘 및 구문발달을 중심으로" 51 : 187-188, 1988

      9 김수진,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용언 발달:단어구조에 따른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1 (11): 255-269, 2004

      10 계미경,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명사와 동사 이름대기 특성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1 임정아, "장애유아의 변별학습에 있어컴퓨터보조수업과 그림카드의 제시 효과" 4 : 29-51, 2000

      12 조미경, "인터넷 애니메이션 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이해력 및 구문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2

      13 이우진,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22 (22): 51-69, 2004

      14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15 황보명, "아동 언어능력 평가를 위한 증강현실 활용 모델 개발" 2017

      16 김영태, "보조적인 언어훈련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동사표현 및 복문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61-79, 2005

      17 신명숙, "멀티미디어 CAI 프로그램에서 시각과 청각 제시조건이 정신지체아의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8 황보명,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용언 사용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55-64, 2008

      19 Rian Dutra da Cunha, "Virtual Reality as a Support Tool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niversidade Federal do Rio Grande do Sul 25 (25): 67-, 2018

      20 Bai, Z., "Using augmented reality to elicit pretend play for children with autism" 21 (21): 598-610, 2015

      21 Bay, H., "Speeded-up robust features (SURF)" 110 (110): 346-359, 2008

      22 Owens, R.,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lyn & Bacon 1999

      23 Genesee, F., "Dual language development & disorders: A handbook on bilingualism & second language learning" Paul H Brookes Publishing 2004

      24 Mark Billinghurst,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45 (45): 2002

      25 Katherine H. Mumford, "Children Use Gesture to Interpret Novel Verb Meanings" Wiley 85 (85): 1181-1189, 2014

      26 Chen, C. H., "Augmented reality-based video-modeling storybook of nonverbal facial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judgments of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55 : 477-485, 2016

      27 Iulian Radu,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 meta-review and cross-media analysis" Springer Nature 18 (18): 1533-1543, 2014

      28 Ronald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MIT Press - Journals 6 (6): 355-385, 1997

      29 임미선, "3-4세 정신지체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용언발달비교"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