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광응,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언어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22 (22): 161-177, 1999
2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3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동사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4 류지헌, "증강현실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배인호,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39-152, 2014
6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93-223, 2008
7 이명진, "증강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동사 표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전병운,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연구-어휘 및 구문발달을 중심으로" 51 : 187-188, 1988
9 김수진,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용언 발달:단어구조에 따른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1 (11): 255-269, 2004
10 계미경,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명사와 동사 이름대기 특성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 여광응,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언어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22 (22): 161-177, 1999
2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3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동사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4 류지헌, "증강현실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배인호,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39-152, 2014
6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93-223, 2008
7 이명진, "증강현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동사 표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전병운,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연구-어휘 및 구문발달을 중심으로" 51 : 187-188, 1988
9 김수진,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용언 발달:단어구조에 따른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1 (11): 255-269, 2004
10 계미경,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명사와 동사 이름대기 특성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11 임정아, "장애유아의 변별학습에 있어컴퓨터보조수업과 그림카드의 제시 효과" 4 : 29-51, 2000
12 조미경, "인터넷 애니메이션 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이해력 및 구문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2
13 이우진,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22 (22): 51-69, 2004
14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15 황보명, "아동 언어능력 평가를 위한 증강현실 활용 모델 개발" 2017
16 김영태, "보조적인 언어훈련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동사표현 및 복문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61-79, 2005
17 신명숙, "멀티미디어 CAI 프로그램에서 시각과 청각 제시조건이 정신지체아의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8 황보명,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용언 사용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55-64, 2008
19 Rian Dutra da Cunha, "Virtual Reality as a Support Tool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niversidade Federal do Rio Grande do Sul 25 (25): 67-, 2018
20 Bai, Z., "Using augmented reality to elicit pretend play for children with autism" 21 (21): 598-610, 2015
21 Bay, H., "Speeded-up robust features (SURF)" 110 (110): 346-359, 2008
22 Owens, R.,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lyn & Bacon 1999
23 Genesee, F., "Dual language development & disorders: A handbook on bilingualism & second language learning" Paul H Brookes Publishing 2004
24 Mark Billinghurst,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45 (45): 2002
25 Katherine H. Mumford, "Children Use Gesture to Interpret Novel Verb Meanings" Wiley 85 (85): 1181-1189, 2014
26 Chen, C. H., "Augmented reality-based video-modeling storybook of nonverbal facial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judgments of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55 : 477-485, 2016
27 Iulian Radu,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 meta-review and cross-media analysis" Springer Nature 18 (18): 1533-1543, 2014
28 Ronald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MIT Press - Journals 6 (6): 355-385, 1997
29 임미선, "3-4세 정신지체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용언발달비교"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