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of Daehuksan Islan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0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에 위치한 상록침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에 위치한 상록침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77개의 방형구를 설정하고,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곰솔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곰솔군락은 대흑산도 진리, 읍동, 마리, 소사리, 예리, 심리 등의 주로 해안에 인접한 서사면부와 산지대 저해발의 능선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소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진리, 청촌리, 천촌리 등의 저해발 사면부 및 해안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흑산도에서는 소나무군락과 곰솔군락이 부분적으로 상록활엽수림과 혼재하면서 생태적 경쟁에 따라 자연 천이가 진행되어 군락내의 각 계층구조별 다양한 종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교목 층에서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소나무, 곰솔 등이, 아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사스레 피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예덕나무 등이 주요 우점 종으로 나타나면서 향후 지리적 특성과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상관 우점종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은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침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43.52%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4 to January 2018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77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4 to January 2018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77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4 communities :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thunbergii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Mallotus japonicus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thunbergii, and it formsa community on coastal hillsides and southwestern slopes mainly in the Daehuksan Island Jinri, Eupdong, Mari and Sorasi village.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densiflor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it is clustered around the villages of Daehuksan Island Jinri, Yeri, Simri and Chilrak mountain and the Northeast slope.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natural trans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mpetition of these communities.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andPinus thunbergii.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sub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Mallotus japonicus.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Pinus densiflora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43.52% of the total forest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혜, "홍도천연보호구역의 식생특성 연구 : 천연기념물 제170호 식물 종조성 및 식생구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홍도 천연보호구역학술 조사보고서" 89-115, 1987

      3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1 : 1-11, 1986

      4 오구균, "홍도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8 (8): 27-42, 1994

      5 전영문, "한국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오장근,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분포하는 상록 광엽수림의 비교 연구"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5

      7 박길동, "제주지역 곰솔림의 임분관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6

      8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9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914-, 2003

      10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901-, 2003

      1 이지혜, "홍도천연보호구역의 식생특성 연구 : 천연기념물 제170호 식물 종조성 및 식생구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홍도 천연보호구역학술 조사보고서" 89-115, 1987

      3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1 : 1-11, 1986

      4 오구균, "홍도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8 (8): 27-42, 1994

      5 전영문, "한국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오장근,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분포하는 상록 광엽수림의 비교 연구"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5

      7 박길동, "제주지역 곰솔림의 임분관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6

      8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9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914-, 2003

      10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901-, 2003

      11 국립산림과학원,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 실태(Ⅱ)" 국립산림과학원 123-, 2013

      12 김철수, "오동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10 : 165-173, 1987

      13 김철수, "안마군도의 식생" 119-162, 1989

      14 박정원, "시간경과에 따른 청산도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15 이일구, "서남해의 수개도서내 식물상의 생태학적 조사보고" 한국자연보존협회 67-78, 1979

      16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Ⅰ" 교학사 885-, 2006

      17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Ⅰ" 교학사 975-, 2006

      18 이일구, "보길도 식물상에 대한 분류생태학적 연구" 24 (24): 13-33, 1980

      19 김철수,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연구" 한국생태학회 12 (12): 145-160, 1989

      20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1980

      21 국립공원관리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상)" 국립공원관리공단 283-328, 2009

      22 오장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41-95, 2009

      23 국립공원관리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곰솔피해 정밀조사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113-, 2014

      24 김철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식생"

      25 김철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조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 13 : 181-190, 1990

      26 박종철,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5 (5): 29-41, 2010

      27 김진수, "금강소나무-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한국임학회 82 (82): 166-175, 1993

      28 김성덕, "경북 불영계곡 소나무림의 재생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84 (84): 258-265, 1995

      29 金琮鴻, "韓半島 常綠闊葉樹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8

      30 Braun-Blanquet, J., "Grundzuge der 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865-, 1964

      31 Yim, Y. 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imate" 27 : 269-278,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