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콩 港標中文網"
2 金彦鍾, "한자의 뿌리 1⋅2" 문학동네 2001
3 양원석,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字形과 字序에 대한 管見" 동양한문학회 28 (28): 133-152, 2009
4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
6 양원석, "한국의 漢字 字形 規範化 방안 試論" 28 : 2011
7 최용혁, "한·중·일 생활기초한자의 자형규범화를 위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8 문수정, "한·중·일 삼국의 상용한자 비교연구 : 중복양상과 자형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9 "조선일보"
10 "자유신문"
1 "홍콩 港標中文網"
2 金彦鍾, "한자의 뿌리 1⋅2" 문학동네 2001
3 양원석,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字形과 字序에 대한 管見" 동양한문학회 28 (28): 133-152, 2009
4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
6 양원석, "한국의 漢字 字形 規範化 방안 試論" 28 : 2011
7 최용혁, "한·중·일 생활기초한자의 자형규범화를 위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8 문수정, "한·중·일 삼국의 상용한자 비교연구 : 중복양상과 자형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9 "조선일보"
10 "자유신문"
11 "일본 文化庁"
12 "서울신문"
13 "대만 교육부"
14 교육인적자원부, "교과서 편수자료Ⅱ-1 인문・사회 과학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2
15 교육인적자원부, "교과서 편수자료Ⅱ-1 인문・사회 과학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7
16 敎育部, "通用規範漢字表(徵求意見稿)" 2009
17 語文出版社, "語言文字規範手冊" 語文出版社 2006
18 李行健, "語言文字規範使用指南" 上海辭書出版社 2001
19 김영옥,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字形 標準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0 佐藤喜代治, "漢字講座" 明治書院 1988
21 石塚晴通, "漢字字體の日本的標準" 至文堂 (905) : 1999
22 錢玄同, "減省漢字筆畫的提議" 新青年 1920
23 陸費逵, "普通敎育應當採用俗體字" (창간) : 1909
24 양창수, "日本近代漢字字體의 一考察" 한국일본어학회 2 : 2000
25 陸費逵, "整理漢字的意見" 1922
26 金彦鍾, "对汉字文化圈常用汉字字形规范化问题的一些题议, In 第八屆 國際漢字硏討會 論文集" 中國 敎育部 語言文字應用硏究所, 國家漢語國際推廣領導小組辦公室 2007
27 曾榮汾, "國字標準字體(敎師手冊)" 敎育部 1994
28 文化庁, "国語施策沿革資料11 漢字字体資料集(諸案集成1)" 1996
29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 확정 기준 및 字形 수정 양상" 한국한문고전학회 24 (24): 405-429, 2012
30 강원도교육연구원, "2012~2013년 강원도교육청 인정대상도서 교과별 인정기준-붙임2-한문" 2012
31 전라북도교육청,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에 따른 인정도서 심사 기준"
32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