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들어가는 말
- 2. 이론적 배경-이야기의 화자와 서술의 시점/초점화 관련 연구의 현황
- 3. 영화 〈로맨스 조〉의 시퀀스 분절과 초점화 양상
- 4. 분석 결과의 종합 : 영화 〈로맨스 조〉의 서사구조 도표
- 5. 나오는 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74913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5-245(4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소설학회,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2 김민수, "이야기: 가장 인간적인 소통의 형식" 거름 2002
3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2004
4 정현숙, "신빙성 없는 서술과 내적 초점화"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355-375, 2012
5 수잔 스나이더 랜서, "시점의 시학" 좋은 날 1998
6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7 김종구, "소설시학과 담론" 글누리 2007
8 이일범, "소설과 영화의 시점" 신아사 2005
9 박진, "소설과 영화의 서술자와 초점화 문제" 우리어문학회 (34) : 531-557, 2009
10 김종호, "서술 방식의 변화에 따른 서사의 변화 양상 -황순원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9) : 241-266, 2010
1 한국소설학회,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2 김민수, "이야기: 가장 인간적인 소통의 형식" 거름 2002
3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2004
4 정현숙, "신빙성 없는 서술과 내적 초점화"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355-375, 2012
5 수잔 스나이더 랜서, "시점의 시학" 좋은 날 1998
6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7 김종구, "소설시학과 담론" 글누리 2007
8 이일범, "소설과 영화의 시점" 신아사 2005
9 박진, "소설과 영화의 서술자와 초점화 문제" 우리어문학회 (34) : 531-557, 2009
10 김종호, "서술 방식의 변화에 따른 서사의 변화 양상 -황순원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9) : 241-266, 2010
11 한용환,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12 선주원, "내적 초점화와 작중인물의 자기인식 관련성 연구- 안회남의 신변소설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32) : 361-387, 2005
13 Seymour Chatman, "The Retoric of Narrativ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14 Seymour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 Press 1978
15 Edward Branigan, "Point of View in the Cinema" Mouton de Gruyter 1984
16 Mieke Bal, "Narratology :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Toronto, Univ. of Toronto Press 1985
17 Edward Branigan, "Narrative Comprehension and Film" Routledge 1992
18 David Bordwell, "Narration in the Fiction Film" Univ. of Wisconsin Press 1985
19 François Jost, "Narration en deça et au-dela, Communication N" Seuil 1983
20 Alexandre Astruic, "Naissance d’une nouvell avant-garde : la Caméra-stylo" (144) : 1948
21 François Jost, "L’OEil-camera: Entre film et roman, Lyon" Presses Univ. de Lyon 1987
22 Jacques Aumont, "L’OEil Intermianble" Librairie Seguier 1989
23 Tzvetan Todorov, "Les Catégories du Récit Littéraire" (8) : 1966
24 Gérard Genette, "Le Discours Narrative" Paris Seuil 1980
25 Sarah Kozloff, "Invisible storyteller ; voice-over narration in American fiction film" Univ. of California press 1988
26 André Gaudreault, "François Jost : Le Récit Cinématographique" Nathan 1991
27 Gérard Genette, "Figure III" Seuil 1972
28 "Edited and Introduced by ONEGA Susana and LANDA Jose Angel Garcia : Narratology" Longman 1996
29 씨네 21i, "<로맨스 조> 공식 DVD"
한국형 블록버스터에서 변화된 민족과 국가의 의미화에 대한 연구
로컬 시네마의 개념 변천과 아시아 영화에 나타난 로컬리티 사례들
게이와 레즈비언을 다룬 영화가 의과대학생의 동성애와 동성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9-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4-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영화연구외국어명 : Film Studie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5 | 1.055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