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고 군사, 의료 목적 외에 피트니스,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등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다 넓은 시장 확보를 위하여 이론적 개념 및 유형 분석, 시장 현황을 조사 하고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의 협업 개발된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패션 시장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업체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례는 액세서 리형과 직물/의류형으로 나누어 대별할 수 있다. 사례 에서 알 수 있듯이 액세서리형으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것은, LED불빛으로 스마트폰 알림이 들어간 반지,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용 클러치, 전자 조난신호 발신용 커프(Cuff), 칼로리 측정 목걸이, 전화 메시지나 캘린더 등의 기능을 갖는 팔찌, 자외선량 체크하는 팔찌,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펜던트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운동속도 및 음악 재생 기능 시계, 운동량 측정 및 헬스케어용 신발, 심박수, 스톱워치, 타이머 등 건강관리 기능의 밴드, 일상 영상 기록, 음성인식, 네비게이션 기능이 들어간 안경 등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직물 및 의류형은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의 신체변화를 알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하거나, 전기 자 가구동형, 탈부착식 센서 등을 활용한 디바이스가 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협업 사례 현황을 살펴본 결과, 나이키와 애플은 퓨얼밴드SE(밴드)를, 나이키와 삼성은 기어 S(시계)를, 리닝은 화미와 함께 스마트 런닝화(신발)를,그리고, 오프닝 세레모니는 인텔과 함께 MICA(팔찌)를, 삼성과 미스핏은 스와로브스키와 협업,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는 자사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한편 혁신적인 이미지를 얻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 디자이너 혹은 타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은 기술적인 제약점을 보완해주며 패션 액세서리 시장으로의 접근을 가능케 해주고 소비자층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걸쳐지는 테크놀로지이기 때문에 기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춘 감성적 디자인과 더불어 최근 급부상한 소비자의 진화를 니즈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고 군사, 의료 목적 외에 피트니스,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등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고 군사, 의료 목적 외에 피트니스,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등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다 넓은 시장 확보를 위하여 이론적 개념 및 유형 분석, 시장 현황을 조사 하고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의 협업 개발된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패션 시장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업체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례는 액세서 리형과 직물/의류형으로 나누어 대별할 수 있다. 사례 에서 알 수 있듯이 액세서리형으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것은, LED불빛으로 스마트폰 알림이 들어간 반지,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용 클러치, 전자 조난신호 발신용 커프(Cuff), 칼로리 측정 목걸이, 전화 메시지나 캘린더 등의 기능을 갖는 팔찌, 자외선량 체크하는 팔찌,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펜던트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운동속도 및 음악 재생 기능 시계, 운동량 측정 및 헬스케어용 신발, 심박수, 스톱워치, 타이머 등 건강관리 기능의 밴드, 일상 영상 기록, 음성인식, 네비게이션 기능이 들어간 안경 등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직물 및 의류형은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의 신체변화를 알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하거나, 전기 자 가구동형, 탈부착식 센서 등을 활용한 디바이스가 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협업 사례 현황을 살펴본 결과, 나이키와 애플은 퓨얼밴드SE(밴드)를, 나이키와 삼성은 기어 S(시계)를, 리닝은 화미와 함께 스마트 런닝화(신발)를,그리고, 오프닝 세레모니는 인텔과 함께 MICA(팔찌)를, 삼성과 미스핏은 스와로브스키와 협업,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는 자사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한편 혁신적인 이미지를 얻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 디자이너 혹은 타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은 기술적인 제약점을 보완해주며 패션 액세서리 시장으로의 접근을 가능케 해주고 소비자층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걸쳐지는 테크놀로지이기 때문에 기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춘 감성적 디자인과 더불어 최근 급부상한 소비자의 진화를 니즈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usion of fashion and technology bore a new market which called wearable device. Other than military and medicine, the new category finds itself infinite possibility of usage in many fields of industry such as fitness, entertainment, healthcare, etc.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base line data for domestic fashion market and wearable device market.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it analyzed theoretical concept and types,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ket and surveyed the cases of wearable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 or designer.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arable device development cases in the industry are divided into two types: accessory and fabric/clothes. As shown in the examples, the accessory type includes a ring with LED for smart phone alarm, a clutch bag for smartphone battery charge, cuffs for electric SOS call, a necklace for calorie measuring, a bracelet that shows text message and calendar, a bracelet for ultraviolet ray check, a pendent equipped with bluetooth chip, etc. Further, a watch can measure the user’s speed while playing a music, a pair of shoes measures how much exercise was done for healthcare, a band can be a manager of heart rate as well as stopwatch and timer, glasses can even record daily scenes in videos, recognize voices and navigate locations. So many diversity is developed and launched. Fabric/clothes type mainly concentrates on sensors to detect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heartbeat,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Electric self-actuated detachable sensors and other devices are usually made. The collaboration cases of accessory type wearable device in fashion industry are varied. Nike and Apple launched Pureband SE (band), Nike and Samsung presented Gear S (watch), Li-Ning and HwaMi released smart runner (shoes) and Opening ceremony developed MICA (bracelet) with Intel, Samsung and Misfit collaborated with Swarovski (bracelet, charm) in order to lead the wearable device market. Withings Activite reduces resistance against technology by introducing contrary concept of just adding wearable function to analog watch design. Fashion brands enhance its brand awareness while obtaining innovative image from the collabo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nfirms that collaboration with designer or fashion brands offers technical support, clear the way to fashion accessory market and allow to approaching to various consumer classes. Future wearable device shall consider and develop functions and styles simultaneously along with design sensibility focusing on user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Since it is wearable technology, recently arose evolution of consumer shall be taken into account first. We expect the wearable device industry finds this study result helpful.
      번역하기

      Fusion of fashion and technology bore a new market which called wearable device. Other than military and medicine, the new category finds itself infinite possibility of usage in many fields of industry such as fitness, entertainment, healthcare, etc. ...

      Fusion of fashion and technology bore a new market which called wearable device. Other than military and medicine, the new category finds itself infinite possibility of usage in many fields of industry such as fitness, entertainment, healthcare, etc.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base line data for domestic fashion market and wearable device market.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it analyzed theoretical concept and types,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ket and surveyed the cases of wearable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 or designer.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arable device development cases in the industry are divided into two types: accessory and fabric/clothes. As shown in the examples, the accessory type includes a ring with LED for smart phone alarm, a clutch bag for smartphone battery charge, cuffs for electric SOS call, a necklace for calorie measuring, a bracelet that shows text message and calendar, a bracelet for ultraviolet ray check, a pendent equipped with bluetooth chip, etc. Further, a watch can measure the user’s speed while playing a music, a pair of shoes measures how much exercise was done for healthcare, a band can be a manager of heart rate as well as stopwatch and timer, glasses can even record daily scenes in videos, recognize voices and navigate locations. So many diversity is developed and launched. Fabric/clothes type mainly concentrates on sensors to detect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heartbeat,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Electric self-actuated detachable sensors and other devices are usually made. The collaboration cases of accessory type wearable device in fashion industry are varied. Nike and Apple launched Pureband SE (band), Nike and Samsung presented Gear S (watch), Li-Ning and HwaMi released smart runner (shoes) and Opening ceremony developed MICA (bracelet) with Intel, Samsung and Misfit collaborated with Swarovski (bracelet, charm) in order to lead the wearable device market. Withings Activite reduces resistance against technology by introducing contrary concept of just adding wearable function to analog watch design. Fashion brands enhance its brand awareness while obtaining innovative image from the collabo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nfirms that collaboration with designer or fashion brands offers technical support, clear the way to fashion accessory market and allow to approaching to various consumer classes. Future wearable device shall consider and develop functions and styles simultaneously along with design sensibility focusing on user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Since it is wearable technology, recently arose evolution of consumer shall be taken into account first. We expect the wearable device industry finds this study result helpfu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인탁, "훤히 보이는 디지털홈과 u라이프" 전자신문사 2008

      2 정혜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향과 전망" 115 : 2014

      3 문신애, "패션디자인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 : 국내외 패션 브랜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0

      4 정재경,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한 패션모델의 활동영역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3

      5 김태흥, "차세대 웨어러블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이슈"

      6 이종근, "웨어러블의 미래, 패션에서 길 찾아야"

      7 손용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 및 기술개발 현황" 2013

      8 ICN,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현황과 기술 전망"

      9 최수진, "미래 소비자 중심의 헬스케어의 방향을 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 2014

      10 양진숙, "뉴미디어 시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분석 연구-휴대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353-363, 2014

      1 한인탁, "훤히 보이는 디지털홈과 u라이프" 전자신문사 2008

      2 정혜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향과 전망" 115 : 2014

      3 문신애, "패션디자인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 : 국내외 패션 브랜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0

      4 정재경,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한 패션모델의 활동영역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3

      5 김태흥, "차세대 웨어러블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이슈"

      6 이종근, "웨어러블의 미래, 패션에서 길 찾아야"

      7 손용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 및 기술개발 현황" 2013

      8 ICN,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현황과 기술 전망"

      9 최수진, "미래 소비자 중심의 헬스케어의 방향을 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 2014

      10 양진숙, "뉴미디어 시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분석 연구-휴대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353-363, 2014

      11 "https://www.netatmo.com/en-US/site"

      12 "https://ringly.com"

      13 "https://everpurse.com"

      14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 d=20150402113529&type=xml&re="

      15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 de=newsView&newskey=20140818.010210724300001"

      16 "http://www.withings.com/us/withings-activite.html"

      17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43135"

      18 "http://www.moneyweek.co.kr/news/mwView.php?ty pe=1&no=2014090409198070890&outlink=1"

      19 "http://www.koreafashion.org/_html/information/fa_st ory_view.asp?cataIdx=803&boardId=story&clientIdx=777&num=727&pageNum=1&SrchItem=&SrchWord"

      20 "http://www.itworld.co.kr/news/89276"

      21 "http://www.iskyblog.co.kr/638"

      22 "http://www.hellomemi.com"

      23 "http://www.eziolifestyle.com"

      24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 no=78502"

      25 "http://www.cctvnews.co.kr/atl/view.asp?a_id=15524"

      26 "http://www.betanews.net/article/602835"

      27 "http://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en&t l=ko&u=http%3A%2F%2Fwww.dezeen.com%2F2014%2F 07%2F24%2Fdezeen-watch-store-blog-update-activitewithings-alessi-denis-guidone-michael-young-pxr5%2F &anno=2"

      2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1013&cid=43667&categoryId=43667"

      29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 al=840891&g_menu=020600&rrf=nv"

      3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122000111&md=20150210183245_BL"

      31 "http://kr.whowired.com/news/articleView.html?idxno =407522"

      32 "http://eto.co.kr/news/view.asp?Code=20150107181622797"

      33 "http://cafe.naver.com/ewhaclo/193"

      34 "http://blog.naver.com/ktnewscom/20188920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