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를 유아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으로, 만 5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평면표상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바깥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46819
2024
Korean
070
학술저널
234-239(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를 유아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으로, 만 5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평면표상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바깥놀...
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를 유아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으로, 만 5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평면표상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를 물리적 공간보다는 좋아하는 놀이가 가능한 곳으로서의 현상학적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바깥놀이 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스스로의 생각과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재구성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공간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 공간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이 생각하는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 공간에는 함께 놀이하는 사람도 바깥놀이 공간에 필요한 요소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보육교사 보수교육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