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학적 연구 = A Study on the Botany of New Natural Habita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대상지인 미선나무 자생지는 2010년도에 새롭게 확인된 곳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이 자생지는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 소재 미선나무 군락지...

      본 연구대상지인 미선나무 자생지는 2010년도에 새롭게 확인된 곳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이 자생지는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 소재 미선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0호)에 비해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천연기념물로써의 가치여부 및 모니터링자료로 활용하고자 식생 및 토양환경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상은 45과 82속 93종 4변종 3품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에는 미선나무(멸종위기종), 개족도리(약관심종), 이팝나무(약관심종)가 발견되며, 특산 식물에는 고광나무, 미선나무,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미선나무 자생지는 부안호로 유입되는 백천 유역의 북서사면 낮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화토인 전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미선나무 자생지는 밤나무군락 3개소, 느티나무군락 3개소, 졸참나무군락 1개소 등 7개 군집구조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말채 나무, 굴피나무, 은사시나무, 느티나무, 까마귀베개, 팽나무 순으로, 느티나무군락에서 팽나무, 갈참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 당단풍, 복자기 순으로 나타난 반면 졸참나무군락에서는 굴참나무, 밤나무, 산벚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선나무의 중요 치는 밤나무군락에서 6.6%, 느티나무군락에서 5.6% 그리고 졸참나무군락에서 5.1%로 분석되었다. 또한 7개의 조사구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산도, 전기전도도,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분석한 결과, 조사구 3번인 느티나무군락에서 다른 조사구나 군락에 비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2010 to examine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growing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is Abeliophyllum distichum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in 2010 to examine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growing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is Abeliophyllum distichum community has more individual numbers in Cheongrim-ni and Jungkye-ri, Byeonsan-myeon, and Buan-gun area, which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370), and also where the habitat conditions for Abeliophyllum distichum is more favorable. The authors recorded 100 taxa with 45 families, 82 genus, 93 species, 4 varieties, and 3 forms. Among them, species such as Abeliophyllum distichum (critically endangered), Asarum maculatum (near threatened) and Chionanthus retusa (near threatened), which are categorized as rare plants,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particularly Philadelphus schrenckii, Abeliophyllum distichum, Weigela subsessilis, and Lonicera subsessili, were recorded. The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located in the northwest slope of Baekcheon watershed and the community is comprised of healthy soil. The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three: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is composed of the Cornus walteri, Platycarya strobilacea, Zelkova serrata, Rhamnella frangulioides, arranged in terms of importance percentage.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is composed of Celtis sinensis, Quercus aliena, Styrax japon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lso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As for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it is composed of Quercus variabilis, Castanea crenata, and Prunus sargentii, also arranged in terms of importance percentage.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6.6% in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5.6% in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5.1% in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Moreover, in order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available phosphoric,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 (K, Ca, Mg) are analyzed. The No. 3 site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districts of the sam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07 서론
      • 08 연구범위 및 방법
      • 1. 연구시기 및 범위
      • 2. 연구방법
      • 10 결과 및 고찰
      • 07 서론
      • 08 연구범위 및 방법
      • 1. 연구시기 및 범위
      • 2. 연구방법
      • 10 결과 및 고찰
      • 1. 식물상 현황
      • 2. 군집구조 분석
      • 3. 토양의 화학적 특성
      • 20 결론 및 제언
      • 22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병운,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2005

      2 이우철,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8 : 1-33, 1978

      3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한국특산식물의 보존 및 개발" 3 : 1-87, 2003

      4 이경준, "한국의 천연기념물(노거수편)" 아카데미서적 2006

      5 산림청,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2008

      6 선병윤, "의상봉(전북 부안)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제5차년도" 환경부 2001

      7 이우철,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96

      8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003

      9 김용식, "우리나라산 미선나무 집단의 생태적 및 형태적 특성" 17 (17): 67-81, 1998

      10 환경부, "야생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야생 동·식물Ⅰ,Ⅱ급" 2005

      1 오병운,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2005

      2 이우철,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8 : 1-33, 1978

      3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한국특산식물의 보존 및 개발" 3 : 1-87, 2003

      4 이경준, "한국의 천연기념물(노거수편)" 아카데미서적 2006

      5 산림청,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2008

      6 선병윤, "의상봉(전북 부안)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제5차년도" 환경부 2001

      7 이우철,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96

      8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003

      9 김용식, "우리나라산 미선나무 집단의 생태적 및 형태적 특성" 17 (17): 67-81, 1998

      10 환경부, "야생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야생 동·식물Ⅰ,Ⅱ급" 2005

      11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2006

      12 진현오, "산림토양학" 향문사 1994

      13 국립공원관리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999

      14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 1 (1): 260-266, 2010

      15 임동옥,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미선나무 아개체군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제언"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116-126, 2009

      16 박종민, "변산반도 미선나무 신규자생지 특성 및 관리방안" 41 (41): 58-66, 2010

      17 이창복, "미선나무의 신품종" 7 (7): 21-22, 1976

      18 이우철,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자생지조사" 21 (21): 1-8, 1991

      19 김동갑,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38 (38): 573-582, 2008

      20 유주한,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10-220, 2004

      21 유주한,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382-391, 2004

      22 "다음지도"

      23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2차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24 신현탁,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40 (40): 274-277, 2010

      25 정규영, "갈라산(경북 안동시・의성군) 관속식물의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99-114, 2010

      26 Miller, R. W, "Soils-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1990

      27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In Grundzugeder vegetation stunde" Wien 1964

      28 Curtis,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vorder region of Wisconsin" 32 : 476-7496, 1951

      29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In Gebruder Bornteaeger" Berlin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