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는 인간의 마지막 발달 단계로 신체적으로는 생육성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예전의 생활방식을 벗어나 시공을 초월하는 더 높은 의식으로 가는 시기이다. 또한 인간은 자신의 사회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085403
서울 :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1998
한국어
서울
xi, 178 p. : 삽도 ; 27 cm.
권두에 국문요약 수록
권말부록으로 "면접용 질문지" 등 수록
Abstract : p. 173-176
참고문헌 : p. 115-1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년기는 인간의 마지막 발달 단계로 신체적으로는 생육성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예전의 생활방식을 벗어나 시공을 초월하는 더 높은 의식으로 가는 시기이다. 또한 인간은 자신의 사회문...
노년기는 인간의 마지막 발달 단계로 신체적으로는 생육성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예전의 생활방식을 벗어나 시공을 초월하는 더 높은 의식으로 가는 시기이다.
또한 인간은 자신의 사회문화적인 맥락 내에서 생활하고 경험하며,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배우므로 노인은 이전에 습득한 자신의 신념과 생활의 신념에 따라 독특한 건강관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행위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편협되어 건강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독자적 활동 기능과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수명의 연장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며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인간호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노인의 건강행위에 관련된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의 구조를 이해하고 그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인 간호중재의 실무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 기간은 1995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였으며, 연구방법은 행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연구 대상자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하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Q-모집단은 문헌조사, 노인 10명의 심층면담과 노인 11명, 건강전문인 11명(간호사․의사․한의사), 노인가족 11명을 통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Q-진술문은 542개였으며 이를 36개로 범주화하였다. 이 범주를 중심으로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으로 표현이 가능한 진술문을 도출하여 33개의 건강신념 진술문(Q1)과 38개의 건강관행 진술문(Q2)을 확정하여 노인 42명에게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은 각각 5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건강신념 유형은 노인의 건강문제 인식, 신앙(의존)성, 죽음에 대한 수용과 영적 준비,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 인식, 사회에 대한 관심 및 건강실천 태도 형태 등에 의해서 특징지워졌다.
제 1유형은 자가조절형이었으며, 자신의 건강문제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스스로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무리하지 않는 계획을 세워 자기건강 관리에 노력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을 줄여서 건강에 손상을 주지 않으려고 하며,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인정하고 가정내 역할수행을 하려고 하였다.
제 2유형은 의존적관계형이었으며,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신앙에 의지하며 자녀에게도 의존적이면서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없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며, 밝은 마음으로 살고, 몸조심을 하면서 생활하려고 하였다.
제 3유형은 종교적신념형이었으며, 신앙심이 깊으며 죽음을 수용하고 영적 준비가 되어 있다. 자녀로부터 독립적이고 가정내 역할수행의 욕구가 적으며, 화가 나도 참고 욕심을 버리면서 살며 종교적 신념을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제 4유형은 자주적실천형이었으며, 신앙심은 낮으나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수용하고, 자녀들로부터 독립적이면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사회에 대한 관심도도 높고 밝은 마음으로 열심히 살면서, 계획적이고 규칙적으로 활동하면서 살려고 하였다.
제 5유형은 현실적응형이었으며, 중노인으로 신앙심은 높으나 죽음에 대해서는 아직 수용하지 못하고 신체적 건강문제가 나타나며, 자녀와의 관계는 독립적이나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밝은 마음으로 욕심을 버리고 열심히 살지만 화가 나면 풀어서 해소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건강관행에 대한 유형은 신앙생활 수준, 긍정적인 생활, 생활의 규칙성, 인간관계(가족관계 및 지역사회 활동), 가사 분담, 건강행위의 실천 형태 등에 의해서 특징지워졌다.
제 1유형은 가족중심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아주 열심히 하고 가사를 분담하며, 자녀들과도 잘 어울린다. 긍정적으로 생활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였다.
제 2유형은 자기수련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잘 하고, 긍정적으로 생활하며 체조, 단전호흡, 도보, 등산, 여행 등을 하는 개인중심의 활동이나 종교적 실천으로 건강행위를 이행하였다.
제 3유형은 보신섭생형이었으며, 규칙적 생활을 하며 식사시간을 준수하고 채소를 많이 먹으며 해로운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 등 건강 식생활과 목욕 및 몸풀기 등의 건강행위를 이행하였으며, 타 유형보다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였다.
제 4유형은 개인위생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잘 하고, 가사를 분담하지 않으면서 지역사회 활동에도 참가하지 않아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고 있었으며, 목욕, 사우나를 자주 하여 청결과 피로 회복을 취하는 비활동적인 건강관행을 이행하였다.
제 5유형은 자유활동형이었으며, 신앙생활 수준은 낮으나, 긍정적으로 생활하고, 생활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섭생에 유의하고 가사도 분담하며, 산책, 목욕, 등산, 여행 등을 하여, 타 유형보다 활동적인 건강관행을 독자적으로 실행하였다.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의 유형간에는 자가조절형과 개인위생형, 의존적관계형과 개인위생형, 종교적신념형과 자기수련형, 자주적실천형과 보신섭생형 및 자유활동형, 현실적응형과 가족중심형간에 상관성이 있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건강행위 과정 모델이 제시되었다.
노인의 건강행위는 인구학적 요인과 정신적․영적 요인이 선행조건으로,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가정내 역할 수행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주며, 건강문제 인식 및 가정내 역할 수행 인지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생활태도와 지역사회활동에 영향을 주며, 정신적․영적요인은 지역사회활동에 직접 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건강생활태도와 지역사회활동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행위를 형성시킨다.
본 연구 결과가 주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연구와 이론에서는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별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그 상관성을 발견하며, 건강행위 과정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심층적 연구 및 이론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실무에서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고 있는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부합된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며,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 및 실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간호교육에서는 노인의 건강신념과 실천할 수 있는 건강관행 내용이 간호교육 내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건강신념 및 건강관행의 유형 및 구조를 발견하고 건강행위의 과정 모델을 발견함으로써 노인건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한국노인의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게 하는 교육 및 실무프로그램 개발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