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의 빨간색 색채인식 변화와 활용에 관한 연구 : 월드컵을 전,후로 = (A) Study on change of Koreans' perception of color : About the color of 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279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채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색채는 문화적 사회적인 배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색채는 또한 보여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색채로 인한 연상과 유추 공감각을 같이 느낄 수가 있으며 색채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으며 때로는 색채 언어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색채의 이미지라는 것은 반드시 고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변할 수도 있다는 가정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한국인의 색채의식과 빨간색의 의미에 대하여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고 월드컵을 통한 빨간색 색채이미지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에 따른 활용 사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서 실제로 색채 인식은 변화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으며 앞으로 어떤 계기가 있어 색채인식이 변하게 된다면 좀 더 많은 분야의 활용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그 색채 인식에 대한 관념이 새로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징화되어 때로는 언어화되어 사용되어지는 색채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사람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큰 행사가 색채로 표현되어 이미지화 된다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색채의 이미지에 대해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전개되었으며 한국인의 빨간색 색채 인식변화에 대하여 (월드컵을 전, 후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월드컵에 적극 동참하였던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002년 8월에서 9월까지 빨간색 인식변화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고 활용된 예를 찾아보았으며 빨간색에 대한 인식변화의 변화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년 뒤 같은 기간인 2003년8월에서 9월에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카이제곱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빨간색 관련 설문 중 빨간색의 선호도에서 선호하는 응답자는 선호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드컵 후 인식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빨간색의 인식변화가 있다는 응답자가 절반 이상으로 응답자의 빨간색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빨간색 이미지에 대한 설문의 응답은 2002년과 2003년 연도별 인식평가의 차이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빨간색의 이미지를 설문한 문항 중에서, 월드컵을 전후하여 인식차이가 발생한 이미지의 내용은 불안한 이미지가 안정적인 이미지로, 부정적인 것이 긍정적으로, 여성적인 것이 남성적인 것으로, 절망적인 것이 희망적인 것으로, 어두운 것이 밝은 것으로, 답답한 것이 시원한 것으로, 충동적인 것으로 인식차이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용사례에서는 월드컵이후에 빨간색을 활용한 사례들이 광고나 상품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 보여졌으며 활용되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큰 행사가 색채로 표현되어 이미지화 된다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색채의 이미지에 대해 변화를 줄 수 있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붉은색에 대한 인식도 월드컵이라는 행사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긍정적이며 밝고 희망적이고 시원하며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지니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번역하기

      색채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색채는 문화적 사회적인 배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색채는 또한 보여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색채로 인한 연상과 유추 공감각을 같이 ...

      색채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색채는 문화적 사회적인 배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색채는 또한 보여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색채로 인한 연상과 유추 공감각을 같이 느낄 수가 있으며 색채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으며 때로는 색채 언어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색채의 이미지라는 것은 반드시 고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변할 수도 있다는 가정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한국인의 색채의식과 빨간색의 의미에 대하여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고 월드컵을 통한 빨간색 색채이미지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에 따른 활용 사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서 실제로 색채 인식은 변화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으며 앞으로 어떤 계기가 있어 색채인식이 변하게 된다면 좀 더 많은 분야의 활용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그 색채 인식에 대한 관념이 새로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징화되어 때로는 언어화되어 사용되어지는 색채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사람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큰 행사가 색채로 표현되어 이미지화 된다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색채의 이미지에 대해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전개되었으며 한국인의 빨간색 색채 인식변화에 대하여 (월드컵을 전, 후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월드컵에 적극 동참하였던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002년 8월에서 9월까지 빨간색 인식변화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고 활용된 예를 찾아보았으며 빨간색에 대한 인식변화의 변화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년 뒤 같은 기간인 2003년8월에서 9월에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카이제곱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빨간색 관련 설문 중 빨간색의 선호도에서 선호하는 응답자는 선호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드컵 후 인식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빨간색의 인식변화가 있다는 응답자가 절반 이상으로 응답자의 빨간색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빨간색 이미지에 대한 설문의 응답은 2002년과 2003년 연도별 인식평가의 차이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빨간색의 이미지를 설문한 문항 중에서, 월드컵을 전후하여 인식차이가 발생한 이미지의 내용은 불안한 이미지가 안정적인 이미지로, 부정적인 것이 긍정적으로, 여성적인 것이 남성적인 것으로, 절망적인 것이 희망적인 것으로, 어두운 것이 밝은 것으로, 답답한 것이 시원한 것으로, 충동적인 것으로 인식차이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용사례에서는 월드컵이후에 빨간색을 활용한 사례들이 광고나 상품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 보여졌으며 활용되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큰 행사가 색채로 표현되어 이미지화 된다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색채의 이미지에 대해 변화를 줄 수 있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붉은색에 대한 인식도 월드컵이라는 행사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긍정적이며 밝고 희망적이고 시원하며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지니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or is heavily related to our lives and affected by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Color is felt with association and inferred synesthesia, besides being showed. It contains symbolic meanings and sometimes plays the role of color langage.
      This study was, nevertheless, carried on the theorem that color isn't fixed but can chang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perception of color can change, which was proved by the research on papers about color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meaning of red, surveys about change in the image of red through World-Cup, examples using red.
      If there is a change in perception of color from some event, we can find some usage of it and the concept of color should be redefined.
      This study is on color which is heavily related to common life, and sometimes expressed as a kind of words for characterization and symboliz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heorem that social event which gives special meaning to people can cause change of image for some color if it is expressed by a color. This is a research on change of perception of red for Koreans, which was analyzed with a surveys (changes between before World-Cup and after World-Cup). The survey was carried on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2, and the questions were answered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participated World-Cup actively. In order to check the variation of opinion, the same survey was carried on again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3.
      From the Chi-square analysis, it can be showe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in favor of red is more than half of total responses. It is also infered that there is a change in perception from the result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rs replied that their thoughts on red changed.
      It can be inferred from the analy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d between results in 2002 and 2003 because these two results show same level of perception.
      The transitions are from unstability to stability, from negative to positive, from feminine to masculine, from desperate to hopeful, from dark to bright, from stuffy to refreshing, from irrational to rational.
      Finally, examples show that red is directly used for advertisement and production after World-Cup.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perception of people for color can change if social big event which has strong impacts on the society is expressed and symbolized by that color. The perception of Koreans on red has changed through World-Cup, which has given the images of stability, positive attitude, brightness, hope, refresh, and masculine to Koreans.
      번역하기

      Color is heavily related to our lives and affected by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Color is felt with association and inferred synesthesia, besides being showed. It contains symbolic meanings and sometimes plays the role of color langage. This st...

      Color is heavily related to our lives and affected by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Color is felt with association and inferred synesthesia, besides being showed. It contains symbolic meanings and sometimes plays the role of color langage.
      This study was, nevertheless, carried on the theorem that color isn't fixed but can chang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perception of color can change, which was proved by the research on papers about color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meaning of red, surveys about change in the image of red through World-Cup, examples using red.
      If there is a change in perception of color from some event, we can find some usage of it and the concept of color should be redefined.
      This study is on color which is heavily related to common life, and sometimes expressed as a kind of words for characterization and symboliz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heorem that social event which gives special meaning to people can cause change of image for some color if it is expressed by a color. This is a research on change of perception of red for Koreans, which was analyzed with a surveys (changes between before World-Cup and after World-Cup). The survey was carried on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2, and the questions were answered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participated World-Cup actively. In order to check the variation of opinion, the same survey was carried on again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3.
      From the Chi-square analysis, it can be showe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in favor of red is more than half of total responses. It is also infered that there is a change in perception from the result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rs replied that their thoughts on red changed.
      It can be inferred from the analy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d between results in 2002 and 2003 because these two results show same level of perception.
      The transitions are from unstability to stability, from negative to positive, from feminine to masculine, from desperate to hopeful, from dark to bright, from stuffy to refreshing, from irrational to rational.
      Finally, examples show that red is directly used for advertisement and production after World-Cup.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perception of people for color can change if social big event which has strong impacts on the society is expressed and symbolized by that color. The perception of Koreans on red has changed through World-Cup, which has given the images of stability, positive attitude, brightness, hope, refresh, and masculine to Kore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ⅸ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ⅸ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3. 연구의 제한점 = 2
      • Ⅱ. 색채심리와 한국인의 색채의식 = 4
      • 1. 색채의 표현 = 4
      • 2. 색채심리의 특징 및 색채연상과 유추 = 6
      • 3. 한국인의 생활 속의 색채의식 = 12
      • Ⅲ. 빨간색의 색채인식과 색채 이미지 활용 = 25
      • 1. 빨간색의 색채 인식 = 25
      • 2. 생활 속의 색채이미지 활용 및 사례 = 30
      • Ⅳ. 빨간색의 색채인식 변화와 활용에 관한 연구 = 36
      • 1. 연구 방법 = 36
      • 2. 조사결과 및 논의 = 38
      • 3. 빨간색 색채인식 변화에 따른 활용 사례 = 68
      • Ⅴ. 결론 = 75
      • 참고문헌 = 77
      • 부록Ⅰ = 80
      • Abstract =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