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인식과 평가 실태 = Perception and Use of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among Physical Therapist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54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뇌졸중 후 균형 문제는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보행 회복에 부정적이고 낙상(fall)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객관적인 균형 평가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인식과 평가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복지관 등에 근무하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고 있거나 치료한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51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8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에서 설문에 동의하지 않거나 중복 답변한 경우 그리고 답변이 없는 설문지 99부를 제외하고 382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 중 남자가 239명, 여자 143명으로 남자가 많았고, 30세 이하가 247명 64.7%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4년제 대학교 졸업이 202명으로 가장 많았다. 뇌졸중 환자를 치료한 경력이 5년 이하가 26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일 치료 건수는 10건에서 14건 치료한다가 278명 72.8%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근무처는 상급종합병원 64명, 종합병원 62명, 병원 246명 그리고 기타 10명이였고 지역은 서울이 247명, 경기도가 135명이였다.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자세 정렬(297명, 77.8%), 정적 안정성(318명, 83.3%), 동적 안정성(317명, 83%), 반응적 조절(211명, 55.4%), 기능적 과제 수행에서 균형(242명, 68.9%), 운동계(284명, 74.4%), 감각계(244명, 64%), 인지(214명, 56.1%)의 8가지 균형 요인 중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반면 반응적 조절(reactive control)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11가지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한발 서기 검사(287명, 75.2%)를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했으며 버그 균형 척도(267명, 70.2%)와 팔 뻗기 검사(265명, 68.5%)를 또한 많이 유용한 평가도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평가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4가지 질문에서 306명(80.2%)이 평가도구를 사용해 측정을 정량화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219명(57.4%)은 기존의 표준화된 평가도구들이 환자 치료에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168명(44.1%)만이 기존의 표준화된 평가도구들이 환자의 손상 정도를 충분히 정량화 할 수 있다고 했으며, 아울러 115명(30.3%)이 기존의 평가도구들이 균형의 모든 측면을 평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평가도구 평가 실태 조사에서 11가지 개별 평가도구 중 한발 서기 검사(254명, 66.6%)를 가장 많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팔 뻗기 검사(199명, 51.9%)와 버그 균형 척도(191명, 50.2%)를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BBA(Brunel balance assessment)는 12명(3.1%)만이 사용한다고 해 가장 낮은 평가 실태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 중 뇌줄중 환자 치료 경력은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교차분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는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평가 실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는 평가도구 평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물리치료사들의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 실태 조사를 통해 한 발 서기 검사를 가장 유용하게 생각하고 많이 평가 했으며 반면 BBA는 가장 낮은 인식과 평가 실태를 보였다.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 그리고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는 상관관계를 가졌고 평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과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 인식도였다. 그러나 물리치료사들이 왜 한 발 서기 검사를 가장 유용하게 생각하고 많이 평가하는지 BBA는 왜 가장 낮은 인식과 평가 실태를 보이는지에 대해 추후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들이 평가도구를 선택하는데 있어 어떤 요인들이 의사 결정(decision making)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뇌졸중 후 균형 문제는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보행 회복에 부정적이고 낙상(fall)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객관적인 균형 평가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

      뇌졸중 후 균형 문제는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보행 회복에 부정적이고 낙상(fall)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객관적인 균형 평가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인식과 평가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복지관 등에 근무하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고 있거나 치료한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51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8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에서 설문에 동의하지 않거나 중복 답변한 경우 그리고 답변이 없는 설문지 99부를 제외하고 382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 중 남자가 239명, 여자 143명으로 남자가 많았고, 30세 이하가 247명 64.7%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4년제 대학교 졸업이 202명으로 가장 많았다. 뇌졸중 환자를 치료한 경력이 5년 이하가 26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일 치료 건수는 10건에서 14건 치료한다가 278명 72.8%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근무처는 상급종합병원 64명, 종합병원 62명, 병원 246명 그리고 기타 10명이였고 지역은 서울이 247명, 경기도가 135명이였다.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자세 정렬(297명, 77.8%), 정적 안정성(318명, 83.3%), 동적 안정성(317명, 83%), 반응적 조절(211명, 55.4%), 기능적 과제 수행에서 균형(242명, 68.9%), 운동계(284명, 74.4%), 감각계(244명, 64%), 인지(214명, 56.1%)의 8가지 균형 요인 중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반면 반응적 조절(reactive control)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11가지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한발 서기 검사(287명, 75.2%)를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했으며 버그 균형 척도(267명, 70.2%)와 팔 뻗기 검사(265명, 68.5%)를 또한 많이 유용한 평가도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평가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4가지 질문에서 306명(80.2%)이 평가도구를 사용해 측정을 정량화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219명(57.4%)은 기존의 표준화된 평가도구들이 환자 치료에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168명(44.1%)만이 기존의 표준화된 평가도구들이 환자의 손상 정도를 충분히 정량화 할 수 있다고 했으며, 아울러 115명(30.3%)이 기존의 평가도구들이 균형의 모든 측면을 평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평가도구 평가 실태 조사에서 11가지 개별 평가도구 중 한발 서기 검사(254명, 66.6%)를 가장 많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팔 뻗기 검사(199명, 51.9%)와 버그 균형 척도(191명, 50.2%)를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BBA(Brunel balance assessment)는 12명(3.1%)만이 사용한다고 해 가장 낮은 평가 실태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 중 뇌줄중 환자 치료 경력은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교차분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는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평가 실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는 평가도구 평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물리치료사들의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 실태 조사를 통해 한 발 서기 검사를 가장 유용하게 생각하고 많이 평가 했으며 반면 BBA는 가장 낮은 인식과 평가 실태를 보였다.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 그리고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는 상관관계를 가졌고 평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과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 인식도였다. 그러나 물리치료사들이 왜 한 발 서기 검사를 가장 유용하게 생각하고 많이 평가하는지 BBA는 왜 가장 낮은 인식과 평가 실태를 보이는지에 대해 추후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들이 평가도구를 선택하는데 있어 어떤 요인들이 의사 결정(decision making)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감사의 글 ⅰ
      • 국문요약 ⅷ
      • I. 서론 1
      •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4
      • 감사의 글 ⅰ
      • 국문요약 ⅷ
      • I. 서론 1
      •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4
      • C. 연구의 가설 5
      • D. 용어의 정의 6
      • II. 문헌고찰 8
      • A. 균형의 정의와 영향 8
      • B. 균형 평가도구 10
      • C. 균형 평가에 대한 인식도 12
      • III. 연구방법 18
      • A. 연구 설계 18
      • B. 연구의 대상 및 절차 19
      • C. 연구 도구 21
      • D. 분석방법 23
      • IV. 연구결과 24
      •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B.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26
      • C.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28
      • D.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 30
      • E.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 시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 32
      • F.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과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 34
      • G.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에 따른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 38
      • H. 일반적인 특성, 균형 요인에 대한 인식,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도 그리고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 사이에 상관관계 40
      • I. 개별 평가도구 평가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 V. 논 의 44
      • VI. 결론 48
      • 참고문헌 49
      • Abstract 54
      • 부록. 뇌졸중 환자 균형 평가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인식과 평가 실태에 관한 설문지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