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팔색조 분포 및 임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Pitta nympha) and the Forest Type on Inhabited Islands in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473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팔색조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생존 개체수에 대한 파악은 멸종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조사는 2014년과 2015년에 실시하였으며 팔색조가 도래하는 시기인 5월 하순부터 번식기인 8월 ...

      팔색조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생존 개체수에 대한 파악은 멸종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조사는 2014년과 2015년에 실시하였으며 팔색조가 도래하는 시기인 5월 하순부터 번식기인 8월 하순까지 월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유인도서 중 완도군, 고흥군, 여수시에 속하는 12개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임상도를 통해 현재의 번식지 상황을 살펴보았다. 팔색조는 9개 유인도서에서 41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오도에서 13개체가 관찰되어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중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거금도에서 10개체가 관찰되었다. 팔색조는 계곡 주변이나 상수원보호구역, 사찰 등 사람 접근이 어렵거나 제한되었고 산림 훼손이 덜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임상으로는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 그리고 침활혼효림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도서지역의 임상도를 살펴보았을 때 팔색조가 번식지로 선택한 지역은 4영급의 수목이 산림을 이루는 곳이었으며,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임상은 1970년대까지 성행하던 땔감용 그리고 목재용 벌채가 줄어들면서 기존에 작은 면적으로 남아있던 상록활엽수림과 식재된 곰솔림 그리고 맹아림 등의 숲이 30-40년이 지난현재 팔색조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숲의 규모나 구조로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how many Fairy Pittas survived globally since this species is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 at 12 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Wando-gun, Goheung-gun, Yeosu-si, loca...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how many Fairy Pittas survived globally since this species is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 at 12 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Wando-gun, Goheung-gun, Yeosu-si, located at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from 2014 to 2015. We visited these island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August during 2 years for more than twice a month. We searched for literatures and the map of forest type for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We confirmed 41 Fairy Pittas in 9 inhabited islan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individuals(13) inhabited was the Geumodo Island which belonged to Yeosu-si, followed by the Geogeumdo(10) Island that belonged to Goheung-gun. We observed these forest species around the valley, temple and protection area of source water where human approach was difficult and restricted and thus, forest damage was less. These birds were observe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of soft and hardwoo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map in several islands, the trees of 4 grade age-class were composed of forests of the breeding areas. Authors believe that deforestation for fuels and timbers flourishing in the 1970s declin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tayed within a small area. Also, the black pine forest( planted in the 1970s) and the sprout forest became a good forest condition for the Fairy Pitta’s breeding in terms of size and structure after 30-40 yea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