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선택적 근로시간제 도입 전과 후의 조직성과를 실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사업체 패널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인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종속변수인 1인당 매출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787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7-146(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선택적 근로시간제 도입 전과 후의 조직성과를 실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사업체 패널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인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종속변수인 1인당 매출액...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선택적 근로시간제 도입 전과 후의 조직성과를 실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사업체 패널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인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종속변수인 1인당 매출액, 1인당 영업이익, 1인당 인건비, 1인당 부가가치 미치는 영향을 PSM과 DID 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변수 설정에서 기업 연령, 연령 제곱, 노조 유무, 1인당 복리후생비, 기업 규모(99인 이하, 100-299인 이하)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매칭 전 업력과 규모를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매칭 후 집단 간 각 변수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한 기업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제도 적용 시점부터 1년 이후까지 기업 성장성 지표인 1인당 부가가치(로그), 1인당 영업이익(로그), 1인당 인건비(로그), 1인당 매출액(로그)를 뚜렷하게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00인 이하 중소기업에서 모든 성과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선택적 근로시간 제의 적용을 시작으로 중소기업에서도 선택적 근로시간 제도의 완착을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중소기업의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Accordingly, using the business panel,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Accordingly, using the business panel,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optional working hour system, on the dependent variables, sales per person, operating profit per person, labor costs per person, and added value per person through PSM and DID models. In setting variables, company age, age squared, union presence, per-capita welfare expenses, and company size (less than 99 employees, 100-299 employe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mean differ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variables except for industry experience and size before matching, and the mean difference in each variable between groups after matching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companies that applied the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from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one year later, corporate growth indicators such as added value per capita (log), operating profit per capita (log), labor cost per capita (log), and per capita It was found to hav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sales (log). Third, all performanc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fewer than 300 employees. Start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it appears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ll also need policy support to fully implement the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presented.
CNN과 GRU 모델을 활용한 음주상태 판별시스템 설계 및 구현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익명화 알고리즘 제안
연안 정지 관측 시계열 데이터 결측치 보정에 관한 실증연구: 주문진 관측소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