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에 근거한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이해 및 표현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57062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2004. 2
2004
한국어
379.5 판사항(4)
371.9044 판사항(19)
충청북도
vii, 80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47-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에 근거한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이해 및 표현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에 근거한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이해 및 표현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그 효과를 이해언어 면에서와 표현언어 면에서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P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장애 어린이 3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장애 아동 1명, 정신지체아동 1명, 자폐아동 1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그림어휘력 검사, CARS, 언어이해·인지력 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표현 언어 검사(PLS)와 표현언어 체크리스트 등이었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로써 언어이해·인지력 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표현 언어 검사(PLS)와 표현 언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는데 모두 사전, 사후 1차, 사후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체적 언어교육의 주요 활동은 그림책 보고 읽기, 동시 듣고 말하기, 이야기 꾸미기, 노래 부르기, 미술활동, 역할놀이, 견학, 게임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적 언어지도 프로그램 적용 후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이해 인지력이 점차로 향상되었다. 총체적 언어지도 프로그램 적용 전,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이해 인지력 검사 결과 언어 연령이 36개월∼47개월이었으나 실시 이후 48개월∼59개월의 언어연령을 보여 12개월 정도의 언어연령의 향상을 보였다. 길이의 비교, 오른쪽, 왼쪽의 개념이해, 단수와 복수 개념이 형성되었다.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 사전 검사 시에 언어 연령이 36개월∼47개월이었는데 그 이후 과도기 점수를 보였다.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 성의 구별, 위·아래 개념, 과일, 채소, 건물의 개념과 수개념(1∼4)이 형성되었다. 자폐 아동의 경우 원점수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언어 연령은 별 차이가 없었다.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 안·밖의 개념과 위·아래, 올라가는 것과 내려가는 것의 개념이해가 확실해졌다.
둘째, 총체적 언어지도 프로그램 적용 후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이 점차로 향상되었다. 즉, 총체적 언어지도 프로그램 적용 전·후 검사에서 나타 난 결과는 대상아동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이해언어 지수의 향상은 약 4.4∼8.5%(이해언어 연령 6∼12개월) 정도로 나타났고, 표현언어 지수는 약 3.9∼6.7% (표현언어 연령 7∼10개월)의 향상을 보였다. 언어장애 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 이해언어의 향상도가 표현언어 향상도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자폐아동은 표현언어의 향상도가 이해언어 향상도 보다 높았고 표현언어 지수도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지체 아동에게 이해 언어와 표현 언어에서 모두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총체적 언어지도 프로그램 적용 후 발달장애 아동의 표현언어 능력이 점차로 향상되었다. 명사는 92.1∼100% 도달하였고, 형용사·부사는 53.1∼87.5%, 위치대명사는 50∼87.5%, 사회적 언어는 50∼100%, 동사는 73.5∼88.2% 목표 언어에 도달하였다. 명사의 습득이 비교적 용이하였고 사회적 언어, 동사, 형용사·부사, 위치대명사의 순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이해와 인지력의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장애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으나 이해 언어와 표현언어 면에서 모두 향상을 보였고 특히 표현 언어 면보다 이해 언어 면에서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자폐 아동의 경우 이해 언어 보다 특이하게 표현언어 면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품사별 표현어휘외 향상 정도를 살펴보면, 일상생활 속에서 익숙한 관용구인 사회적 언어와 명사의 향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치대명사의 향상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실제적이고 자연�Ю�언어활동의 다양한 통합프로그램을 포함한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조기 발견과 더불어 보다 다양한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인 지도가 중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a successful whole language program for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d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program on the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
This study focused a successful whole language program for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d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program on the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For this study,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who attending at the D elementary school in P city. All students have studied in special class. One of them w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e of them was mental retarded children. And one autistic children was selected.
They had exposed in whole language program for 4 month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8 activities (storybook reading, hearing poem, story-making, singing, art, role-playing, field study, game)which were designed to facilitate the language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of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pretest, first postest and second postest.
For the assessment of the study, The Language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y Test, vocabulary checklist and Preschool Language Scale(Zimmerman & Steiner, 1979)were used.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A and the subject B showed considerably significant progress in the area of language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y.
Second, All subjects had progressed in the area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Particularly, the subject A and B had more progressed in the area of receptive language than expressive language. Exceptionally the subject C had more progressed in the area of expressive language than receptive language.
Third, All subjects had progressed in the area of expressive language.
Particularly, Nouns and Social language had more progressed than oth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