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2005,2014학년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according to Evaluation Contents Item of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in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5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05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생물과 교과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근거로 했...

      이 연구의 목적은 2005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생물과 교과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근거로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물 교과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는 타교과목에 비해 너무 세분화된 경향을 보였다. 출제 문항 분석 결과 생물과 분야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각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빈도도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내용 요소들 중 57%만이 출제문항과 연계되어 출제 내용의 편중성을 보였다. 이는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목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출제 경향 분석을 토대로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5 to 2014.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acc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5 to 2014.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were more divided than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atios of the contents covered in certification examination according to biology subject domains. Also the frequencies of issued the tests were showed 57% of evaluation contents items related to problems of th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not effective in aspect of balance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abou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in the basis of trend analysis in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표시과목 「생물」의 교사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이향미, "중등학교환경과 교사임용시험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4

      3 이정순, "중등임용고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대학원 2001

      4 김용진, "중등생물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516-529, 2010

      5 양혜정,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401-412, 2011

      6 박종윤, "중등교원 임용고사의 현황" 2002

      7 정영수, "중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63-82, 2002

      8 최영준, "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서 과학교육론의 출제 경향 분석" 2 (2): 99-112, 2006

      9 김교흥, "중등 생물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생물교사 임용고사와의 관련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142-157, 2004

      10 박선희, "중등 생물 교사 임용 시험의 과학 교육 관련 문항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246-256, 2006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표시과목 「생물」의 교사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이향미, "중등학교환경과 교사임용시험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4

      3 이정순, "중등임용고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대학원 2001

      4 김용진, "중등생물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516-529, 2010

      5 양혜정,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401-412, 2011

      6 박종윤, "중등교원 임용고사의 현황" 2002

      7 정영수, "중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63-82, 2002

      8 최영준, "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서 과학교육론의 출제 경향 분석" 2 (2): 99-112, 2006

      9 김교흥, "중등 생물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생물교사 임용고사와의 관련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142-157, 2004

      10 박선희, "중등 생물 교사 임용 시험의 과학 교육 관련 문항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246-256, 2006

      11 조진희, "임용시험 ‘문제유출’ 공방과 교원 구조조정" 3 : 226-239, 2001

      12 한효순, "외국의 교사 임용제도 운영실태 조사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과학교사 임용제도" 27 (27): 7-15, 2001

      13 손충기,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운영방법 개발을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251-271, 2004

      14 박승재, "과학 교직관과 과학 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13 (13): 377-388, 1993

      15 Yager, R., "Viewpoint : What we did not learn from the 60s about science curriculum reform" 29 (29): 905-910, 1992

      16 Holms Group Executive Board, "Tomorrows teachers: A report of the Holms Group" Holms Group 1986

      17 Odom, A. L., "Teacher practices and middle-school science achievements" 29 : 1329-1346, 2007

      18 NSTA(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19 Carnegie Forum on Education and Economy, "A nation prepared: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Carnegie Forum on education and economy, Task Force on Teaching as a Profession 1986

      20 장인라, "2009학년도 개정안 이전과 이후의 중등 화학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비교·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최병옥, "2009~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화학교과 내용학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202-1218, 2013

      22 이양락,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결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532-54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