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오르지오 데 키리코에 있어서 고전주의 회화의 개념 연구 = Etude sur conception de peinture classique Chez Giorgio de Chiric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1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술사학과 , 1985

      • 발행연도

        198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3.20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108p.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8-91

      • 소장기관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지오르오 데 키리코의 그림에서 나타난 '고전주의'에 관한 연구이다.
      키리코의 '고전주의'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기원한다. 그것은 '제일 서열(la Premie´re ordre)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된다.
      키리코가 '고전주의'를 받아들인 의도는 그의 예술을 '제일서열'로 분류될 만한 예술로 만들려는 것이다. 그것은 모방이 아닌 과거 훌륭한 예술의 본질을 구성하는 내적 행위를 재창조함으로서, 고전주의에 도달하는 것이다.
      본문 첫째 장은 1919년 키리코가 그의 회화를 '고전주의'라고 부르게 되는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A절에서는 키리코의 회화적 이념이 입체파와 미래파의 이념과 대립해서 나타나는 반면, 그들의 회화가 도상적인 측면에서 서로 접근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키리코와 초현실주의자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들은 몽상적이고 은유적인 주제를 표현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자들의 화면은 꿈과 무의식의 기록으로써 여기는 반면, 키리코의 회화는 자기 발견의 도구로써 기억을 중시하기 때문에, 그들의 관계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고 있다.
      C절에서는 형이상학 화파의 키리코와의 관계에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키리코는 그 학파의 선구자인 동시에 참가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독자적인 길을 모색했음을 살펴보았다.
      D절에서는 키리코의 형이상학적인 그림이 고전풍의 회화로 넘어가는 동기에 관해 1918년과 1919년 사이의 키리코의 개인적인 상황과 의외의 새 사실을 갖게 된 경위를 통해 밝혀진다.
      본문 둘째장은 키리코의 '고전주의'의 의미와 사전에서 나타난 '고전주의' 의미를 비교해 보고, 1920년대 이탈리아 고전주의에 대한 「발로리 플라스티치」 공동 편집자들이 가지는 견해와 파시즘에 연합해 있던 예술가들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키리코의 '고전주의' 이론이 가지는 특성을 초기 형이상학적 회화와 후기 고전풍의 회화에 걸쳐 살펴보았다.
      그 특성으로서는 반자연주의, 직관-계시를 통한 의식적 예술창조, 단순화, 영원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살펴본 바, 그 결과로써 키리코의 '고전주의'는 키리코의 형이상학에서 이어지는 다른 이론이 아니다. 그것은 키리코 미학에 대한 같은 개념의 두가지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지오르오 데 키리코의 그림에서 나타난 '고전주의'에 관한 연구이다. 키리코의 '고전주의'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기원한다. 그것은 '제일 서열(la Premie´re ordre)로 나...

      본 논문은 지오르오 데 키리코의 그림에서 나타난 '고전주의'에 관한 연구이다.
      키리코의 '고전주의'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기원한다. 그것은 '제일 서열(la Premie´re ordre)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된다.
      키리코가 '고전주의'를 받아들인 의도는 그의 예술을 '제일서열'로 분류될 만한 예술로 만들려는 것이다. 그것은 모방이 아닌 과거 훌륭한 예술의 본질을 구성하는 내적 행위를 재창조함으로서, 고전주의에 도달하는 것이다.
      본문 첫째 장은 1919년 키리코가 그의 회화를 '고전주의'라고 부르게 되는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A절에서는 키리코의 회화적 이념이 입체파와 미래파의 이념과 대립해서 나타나는 반면, 그들의 회화가 도상적인 측면에서 서로 접근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키리코와 초현실주의자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들은 몽상적이고 은유적인 주제를 표현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자들의 화면은 꿈과 무의식의 기록으로써 여기는 반면, 키리코의 회화는 자기 발견의 도구로써 기억을 중시하기 때문에, 그들의 관계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고 있다.
      C절에서는 형이상학 화파의 키리코와의 관계에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키리코는 그 학파의 선구자인 동시에 참가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독자적인 길을 모색했음을 살펴보았다.
      D절에서는 키리코의 형이상학적인 그림이 고전풍의 회화로 넘어가는 동기에 관해 1918년과 1919년 사이의 키리코의 개인적인 상황과 의외의 새 사실을 갖게 된 경위를 통해 밝혀진다.
      본문 둘째장은 키리코의 '고전주의'의 의미와 사전에서 나타난 '고전주의' 의미를 비교해 보고, 1920년대 이탈리아 고전주의에 대한 「발로리 플라스티치」 공동 편집자들이 가지는 견해와 파시즘에 연합해 있던 예술가들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키리코의 '고전주의' 이론이 가지는 특성을 초기 형이상학적 회화와 후기 고전풍의 회화에 걸쳐 살펴보았다.
      그 특성으로서는 반자연주의, 직관-계시를 통한 의식적 예술창조, 단순화, 영원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살펴본 바, 그 결과로써 키리코의 '고전주의'는 키리코의 형이상학에서 이어지는 다른 이론이 아니다. 그것은 키리코 미학에 대한 같은 개념의 두가지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 ne′moire est une e′tude sur le classicisme chez Giorgio de chirico. Le terme 'classicisme' chez chirico qui date l'antique se de′fini de se classer la premiere order. chirico a accepte′ 'le classicisme' pour que son art digne d'e′tre classe′ au premier rang non par l'imitation formalle, mais en arrivant a` re′cre′er l'acte inte′rieur qui constitue l'essence me^me d'un art excellent passe′.
      Dans le premier chapitre, nous avons recherche′ le fonds ou′ chirico a appele′ sa peiniure 'classicisme' en 1919.
      A. Son ide′e de peinture s'oppose a` delles de Cubisme et Futurisme, en revanche, leurs peintures s'approachent du cote′ iconologie.
      B. Le point commun entre chirico et surre′alistes est a` repre′senter le the′me de re^verie et me′taphorique. Mais le canevas de surre′alistes est conside′re′ comme enregistrement des re^ves et inconsciences, par conter, la peinture de chirico accorde la ne′moire comme l'instrument de la de′couverte de soi-me^me. c'est pourquoi quily a la diffe′rence fondamentale entre aux. C. Ilya une difference entre l'e′cole me′taphysique et chirico.
      Bien que hirico soit son pre′curseur et participant, il a suivison propre chemin original.
      D. Le motif ou la peinture de chirico a passe′ du me′taphysique en le classicisme est re′ve′le′ par la situation personnelle pendant 1918-1919 et les circonstances de re′ve′lation.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avons compare′ le sens de 'classicisme' de chirico avec celui de dictionnaire, et recherche′ l'avis des collaborateurs de 「valori plastic」 sur le classicisme italique des anne′s 1920 et celui des artistes qui se sont unis contre le fascisme.
      Le caracte′ristique de the′orie 'classique' de chirico qui est apparai^t pendant la premie`re pe′rod peinture me′taphysique, et la deuxie`me pe′riode, peinture classique, sont classe′es de l'artinaturalisme, de la cre′ation artistique qui doit se faire consciemment par l'intuition-re′ve′lation, de la simlification, et de l'e′ternite′.
      Ces recherches nous ont conduites a` en arrivera` une conclusioon : 'le classicisme' de chirico n'estpas d'autre the′orie que sa me′taphysique. C'est les deux aspedts d'un me^me concept sur l'esthe′tique de chirico.
      번역하기

      Le ne′moire est une e′tude sur le classicisme chez Giorgio de chirico. Le terme 'classicisme' chez chirico qui date l'antique se de′fini de se classer la premiere order. chirico a accepte′ 'le classicisme' pour que son art digne d'e′tre clas...

      Le ne′moire est une e′tude sur le classicisme chez Giorgio de chirico. Le terme 'classicisme' chez chirico qui date l'antique se de′fini de se classer la premiere order. chirico a accepte′ 'le classicisme' pour que son art digne d'e′tre classe′ au premier rang non par l'imitation formalle, mais en arrivant a` re′cre′er l'acte inte′rieur qui constitue l'essence me^me d'un art excellent passe′.
      Dans le premier chapitre, nous avons recherche′ le fonds ou′ chirico a appele′ sa peiniure 'classicisme' en 1919.
      A. Son ide′e de peinture s'oppose a` delles de Cubisme et Futurisme, en revanche, leurs peintures s'approachent du cote′ iconologie.
      B. Le point commun entre chirico et surre′alistes est a` repre′senter le the′me de re^verie et me′taphorique. Mais le canevas de surre′alistes est conside′re′ comme enregistrement des re^ves et inconsciences, par conter, la peinture de chirico accorde la ne′moire comme l'instrument de la de′couverte de soi-me^me. c'est pourquoi quily a la diffe′rence fondamentale entre aux. C. Ilya une difference entre l'e′cole me′taphysique et chirico.
      Bien que hirico soit son pre′curseur et participant, il a suivison propre chemin original.
      D. Le motif ou la peinture de chirico a passe′ du me′taphysique en le classicisme est re′ve′le′ par la situation personnelle pendant 1918-1919 et les circonstances de re′ve′lation.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avons compare′ le sens de 'classicisme' de chirico avec celui de dictionnaire, et recherche′ l'avis des collaborateurs de 「valori plastic」 sur le classicisme italique des anne′s 1920 et celui des artistes qui se sont unis contre le fascisme.
      Le caracte′ristique de the′orie 'classique' de chirico qui est apparai^t pendant la premie`re pe′rod peinture me′taphysique, et la deuxie`me pe′riode, peinture classique, sont classe′es de l'artinaturalisme, de la cre′ation artistique qui doit se faire consciemment par l'intuition-re′ve′lation, de la simlification, et de l'e′ternite′.
      Ces recherches nous ont conduites a` en arrivera` une conclusioon : 'le classicisme' de chirico n'estpas d'autre the′orie que sa me′taphysique. C'est les deux aspedts d'un me^me concept sur l'esthe′tique de chiric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Ⅱ. 키리코의 '고전주의 ' 이론의 형성 배경 = 5
      • A. 현대주의와 키리코의 '고전주의 '의 관계 = 6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Ⅱ. 키리코의 '고전주의 ' 이론의 형성 배경 = 5
      • A. 현대주의와 키리코의 '고전주의 '의 관계 = 6
      • 1. 키리코와 입체파의 관계 = 7
      • 2. 키리코와 미래파와의 관계 = 14
      • B. 초현실주의자들과 지오르지오 데 키리코 = 20
      • C. 형이상학화파와의 관계 = 28
      • D. 형이상학적 회화에서 고전풍의 회화로 넘어가게 되는 동기 = 38
      • 1. 키리코의 전환을 불러일으킨 심리적 배경 = 39
      • 2. 뜻밖의 새로운 사실(re´ve´lation)을 가지게 되는 동기 = 44
      • Ⅲ. 키리코의 '고전주의' 이론 = 50
      • A. 키리코에 있어서 '고전주의'의 의미 = 51
      • B. 키리코의 '고전주의'의 특성 = 59
      • 1. 반자연주의 = 60
      • 2. 직관-계시(Intuition-re´ve´lation)을 통한 의식적 예술창조 = 64
      • 3. 단순화 = 72
      • 4. 영원성 = 78
      • Ⅳ. 결론 = 85
      • 참고문헌 = 88
      • 그림 = 94
      • RESUME = 1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