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 Teaching Reflection o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in Non Face-to-face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8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의 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의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의 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의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양수업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수업목표, 수업방법, 평가방법, 개선방향 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CQI 형태의 수업성찰 설문을 개발하고, A대학교에서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169개 과목을 담당한77명의 교수가 참여하였다. 교양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기초교육(의사소통, 기초 수학 및 과학), 교양교육, 소양교육으로 분류하고, 수업목표 달성도, 수업방법 적절성, 평가방법의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4점만점에 평균 2.5점에서 3.0점 사이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대면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된 사례를 살펴보면, 의사소통교육에서는 말하기보다 쓰기교육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외국어에 두려움을 갖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였다. 기초 수학 및 과학교육에서는 동영상을통한 이론 수업과 실시간 문제풀이 수업을 균형 있게 운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교양교육은 원격수업에 맞게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보완한 수업이 성공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체육이나 예술실기와 같은 소양교육은 실시간 수업을 통해실습과 개별지도 등이 이루어졌으나 교육적 한계가 있었다. 다음 학기 수업의 개선사항으로 동영상강의와 실시간 수업의 균형, 학습과제 및 학습량 조절,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교수에 대한 지원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ata regarding courses mak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o find areas which are in need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courses. All conclusions are grou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ata regarding courses mak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o find areas which are in need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courses. All conclusions are grounded on the teaching reflection data of instructors who taught general education courses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20. Seventy-seven instructors in charge of 169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urse reflection survey. The reflection dat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four areas: the basic communication education (BCE), the basic science and math education (BSM), the liberal arts education (LAE) and the cultivated education (CE).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eaching goals, the adequac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between 2.5 and 3.0 points on average on a 4 point scale, which is lower than in face-to-face classes. Good examples were found in some areas though. In BCE, online classes are beneficial in terms of writing more than speaking, as well as for beginners who are reticent to speak in a foreign language. In BSM, it is useful to learn theories through recorded video lectures and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through real-time online classes. LAE was successful in redesigning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 suit online classes and supplement interactions using the digital software. CE, including aesthetic and physical education, suffered certain teaching limitations through online classe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2nd semester were suggested, such as balancing recorded video lectur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considering proper learning tasks and assignment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dealing fairly with the evaluations given by the students, activating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extending the use of multiple digital SW in class.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support future teach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선행연구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2. 선행연구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선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의 방향성 탐색: 중간강의 평가 데이터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195-228, 2020

      2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3 서순식, "코로나19로 인한 캠퍼스 기반 오프라인 대학의 교수방법 변화" 한국교육개발원 (여름) : 69-74, 2020

      4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5 손지희, "코로나19 이후 한국교육시스템" 진보평론 (84) : 74-93, 2020

      6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7 송혁, "코로나19 사태와 대학의 대응 매뉴얼 및 구성원의역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8 : 64-73, 2020

      8 장제국, "코로나19 사태가 고등교육에 남긴 것"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8 : 6-9, 2020

      9 이덕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대학 학사운영 대책과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20

      10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 신선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의 방향성 탐색: 중간강의 평가 데이터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195-228, 2020

      2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3 서순식, "코로나19로 인한 캠퍼스 기반 오프라인 대학의 교수방법 변화" 한국교육개발원 (여름) : 69-74, 2020

      4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5 손지희, "코로나19 이후 한국교육시스템" 진보평론 (84) : 74-93, 2020

      6 이동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59-377, 2020

      7 송혁, "코로나19 사태와 대학의 대응 매뉴얼 및 구성원의역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8 : 64-73, 2020

      8 장제국, "코로나19 사태가 고등교육에 남긴 것"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8 : 6-9, 2020

      9 이덕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대학 학사운영 대책과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20

      10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1 배상훈, "코로나 19가 우리나라 대학에 미친 영향과 향후 과제" 2020

      12 윤옥한,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34, 2020

      13 신나미, "원격교육입문 : 기술복제시대 교육에 대한 이해" 서현사 2007

      14 강경란, "아주대 뉴노멀 교육 모델: untact를 넘어서 ontact 로"

      15 조보람,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CQI양식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15-125, 2020

      16 송영명, "수업개선보고서(CQI) 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0 (30): 277-301, 2020

      17 장지선,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쇤의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국도덕교육학회 30 (30): 91-108, 2018

      18 민혜리, "비대면 시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학의 교수-학습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가을) : 48-54, 2020

      19 임철일, "비대면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20 김용훈, "비대면 교육과 학생들의 대학 생활. 코로나19가 대학 교육에 던진 과제2" 2020

      21 교육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혁신 지원 방안"

      22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23 이시철,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3-1019, 2020

      24 강정찬,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과목 CQI 시스템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13-342, 2017

      25 금혜진,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57-63, 2016

      26 이혜정, "대학 이러닝 운영을 위한 개념체제: 구조와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교육연구소 11 (11): 297-326, 2010

      27 홍미영, "대학 원격수업 설문 분석을 통한 학습자 만족도와 불만족 요인 탐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419-1434, 2020

      28 교육부, "대학 수업운영 현황 자료(10.29)"

      29 방인자,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03-232, 2020

      30 이지은, "대학 교수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성찰"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127-146, 2013

      31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사무처, "대면 수업 시작 예정일 현황8"

      32 길양숙, "교수의 수업 포트폴리오 내용 분석 -교육철학과 수업성찰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219-241, 2013

      33 허영주, "교과목 CQI 작성 여부에 따른 교양교과목 강의평가 점수의 차이"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419-436, 2019

      34 Garris, C. P.,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sychology" APA 2020

      35 Black, P., "Inside the black box: Raising standards through classroom assessment" PDKI 80 (80): 139-144,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