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influences of child maltreatment on the child's attacking mi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65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들의 아동학대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아동학대의 배경 변인을 살펴보아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나타난 몇가지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학대는 신체적 학대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언어적 학대, 방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체적 학대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가족체계와 유교적 영향에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부모의 엄격한 체별이 훈육의 한 방법으로 행해져 학대 행위가 사회적으로 허용되어온 현실에서 아동 학대 및 방임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대 경험과 가정 환경적 특성에서 신체적·언어적 학대 및 방임 경험에 남자가 여자보다 더 학대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폭력적인 아동과 언어적 학대 행위를 관찰 학습하게 되고, 또 이를 모방함으로써 높은 공격성을 보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방임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불안전한 애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학대받은 아동들은 사회적·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인격체로 자라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사회성을 형성하게 된다.
      셋째, 가족의 분위기가 화목하지 않을수록, 부모의 형태에 새로운 가족 출현이나, 한 쪽 부(모)의 부재인 경우 아동의 공격성에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 방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들을 더 높은 공격 욕구를 유발하고, 높은 공격성을 가진 아동들은 학교에서의 급우관계나 사회에서의 대인관계에 있어서 부정적인 관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원만하지 못한 사회생활로 인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이 부모가 되어서 과거 자신의 학대받은 경험과 비슷한 학대 유형으로 자신의 자녀를 학대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생각할 때 아동학대의 예방과 대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좀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아동학대와 관련된 사회복지기관이나 신고 및 상담 센타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시킴으로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들의 아동학대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아동학대의 배경 변인을 살펴보아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들의 아동학대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아동학대의 배경 변인을 살펴보아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나타난 몇가지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학대는 신체적 학대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언어적 학대, 방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체적 학대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가족체계와 유교적 영향에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부모의 엄격한 체별이 훈육의 한 방법으로 행해져 학대 행위가 사회적으로 허용되어온 현실에서 아동 학대 및 방임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대 경험과 가정 환경적 특성에서 신체적·언어적 학대 및 방임 경험에 남자가 여자보다 더 학대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폭력적인 아동과 언어적 학대 행위를 관찰 학습하게 되고, 또 이를 모방함으로써 높은 공격성을 보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방임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불안전한 애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학대받은 아동들은 사회적·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인격체로 자라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사회성을 형성하게 된다.
      셋째, 가족의 분위기가 화목하지 않을수록, 부모의 형태에 새로운 가족 출현이나, 한 쪽 부(모)의 부재인 경우 아동의 공격성에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 방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들을 더 높은 공격 욕구를 유발하고, 높은 공격성을 가진 아동들은 학교에서의 급우관계나 사회에서의 대인관계에 있어서 부정적인 관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원만하지 못한 사회생활로 인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이 부모가 되어서 과거 자신의 학대받은 경험과 비슷한 학대 유형으로 자신의 자녀를 학대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생각할 때 아동학대의 예방과 대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좀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아동학대와 관련된 사회복지기관이나 신고 및 상담 센타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시킴으로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thesis I survey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 maltreatment and overall tendencies of attacking mind of children. The Children's attacking mind was stimulated and increased extremely much by the maltreatment experiences of physical-language and negl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treatment and attacking mind of children.
      The survey was carried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of 15 years old resid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have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nd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methods of ex post facto verification of Dunca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centage, average and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ltreatment that tile children had experienced extremely much was physical maltreatment and the next was language maltreatment and neglect.
      2. The the male children's attacking mind was higher than female children.
      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attacking mind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atmosphere of family. When the atmosphere of family was not good, we could understand that there were high degree of attacking mind.
      4. The child who had been received the physical maltreatment, language maltreatment and neglect had shown higher attacking mind than the children who didn't have experiences on that.
      Considering the results described at the above, the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maltreatment and neglect would have a attacking mind and so would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So the government and school and social welfare agencies must have much concern about child maltreatment and neglect. And also there must be much more studies on these subjects.
      번역하기

      In this thesis I survey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 maltreatment and overall tendencies of attacking mind of children. The Children's attacking mind was stimulated and increased extremely much by the maltreatment experiences of physical-langua...

      In this thesis I survey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 maltreatment and overall tendencies of attacking mind of children. The Children's attacking mind was stimulated and increased extremely much by the maltreatment experiences of physical-language and negl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treatment and attacking mind of children.
      The survey was carried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of 15 years old resid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have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nd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methods of ex post facto verification of Dunca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centage, average and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ltreatment that tile children had experienced extremely much was physical maltreatment and the next was language maltreatment and neglect.
      2. The the male children's attacking mind was higher than female children.
      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attacking mind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atmosphere of family. When the atmosphere of family was not good, we could understand that there were high degree of attacking mind.
      4. The child who had been received the physical maltreatment, language maltreatment and neglect had shown higher attacking mind than the children who didn't have experiences on that.
      Considering the results described at the above, the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maltreatment and neglect would have a attacking mind and so would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So the government and school and social welfare agencies must have much concern about child maltreatment and neglect. And also there must be much more studies on these sub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 목차 = ii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 3
      • 국문초록 = i
      • 목차 = ii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 3
      • 제2장 아동학대와 아동의 공격성에 관한 이론 = 4
      • 제1절 아동학대의 개념과 발생원인 = 4
      • 1. 아동학대의 개념 = 4
      • 2. 아동학대의 유형 = 7
      • 3. 아동학대의 발생원인 = 9
      • 제2절 아동학대와 아동의 공격성 = 14
      • 1. 아동 공격성의 개념 = 14
      • 2. 아동학대와 아동의 공격성 = 15
      • 제3장 조사연구의 설계와 조사 자료의 수집 = 18
      • 제1절 조사연구의 설계 = 18
      • 1. 분석틀의 작성 = 18
      • 2. 조사도구의 확정 = 18
      • 제2절 조사 자료의 수집 = 20
      • 제4장 조사 결과의 분석 = 21
      • 제1절 아동학대 = 21
      • 1. 조사 대상의 배경적 특성 = 21
      • 2. 아동학대의 실태 = 24
      • 제2절 아동 공격성 = 40
      • 1. 아동 공격성의 전반적 경향 = 40
      • 2. 배경적 변수와 아동공격성 = 43
      • 제3절 아동학대와 아동공격성 = 48
      • 1. 아동학대와 아동공격성의 관계 = 48
      • 2. 아동공격성에 대한 아동학대의 영향력 = 51
      • 제5장 결론 = 53
      • 참고문헌 = 55
      • Abstract = 57
      • 부록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