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한글관에서 본조선유학사관의 모순 = The Error of Analysis on Korean Confucianism by Takahashi Toru and His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3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카하시 도루는 미개척의 조선의 사상과 언어에서부터 설화ㆍ속담ㆍ민요ㆍ사상·종교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분야를 연구한 한국학의 선구자였다. 그는 조선유학을 사대주의 혹은 당파주의...

      다카하시 도루는 미개척의 조선의 사상과 언어에서부터 설화ㆍ속담ㆍ민요ㆍ사상·종교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분야를 연구한 한국학의 선구자였다. 그는 조선유학을 사대주의 혹은 당파주의적 시선으로 봄으로써 후일 영남학파 대 기호학파, 혹은 주리파와 주기파, 동인과서인, 노론과 소론 등의 당파성과 이질성이 강조된 유교사의 시각으로 보게 하였다. 이질성이 강조되면 화합이 되지 않을 것이다. 모든 면에는 이질성과 동시에 동질성이 있는데 한국유학의 교학상장(敎學相長)의 면, 국란에 처해 거국적인 일치단결하는 동질성이 있었다는 점은 애써 외면하면서 조선유교사를 정리했다. 한국내에서의 조선유교사는 분열적 이질적인 전통을 강조하고 한국과 일본간의 유교사는 오랜 역사를 함께 공유하는 하나의동질적 유교문화권으로 보았다. 다카하시 도루는 중국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대모화사상을 벗어나서 일본중심이 되는 유교를통해 한일 두 나라가 정치적으로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문화적으로 병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동질성을 강조했다. 다카하시 도루는 한글을 경멸하고 무시하던 한국의 지식계급이 자기 자신들이 지닌 창고속의 보물을 방치하고 한문과 일본어로 지식계급의 용어 혹은 학문적 용어로 삼는 일을 자성하고있는 것을 주목하면서 일상생활 곳곳에서 한글이 활용되고 일본어와 동등한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경악했다. 한글의 발전이 중국으로부터의 문화적 자주성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과는 다른 한국의 자주적 문화를 상징하는 것임을 다카하시의 시각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그는 한글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이 되는 현실을 지켜보면서 소위 한국인의 고착성과 사대주의라는 관점이 무리한 논리였음을 인식했다. 이미 20세기에 들어와 한글의 발전과 보급이 전개되는 현실속에서 그가 가정했던 한국사상과 한국인에 대한 편견은 한계에 봉착했음을 다카하시 도루 스스로가 자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조선유학사관과 식민사관은 오늘날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kahashi Toru w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He built a landmark achievement on academic monument of KoreanConfucianism, Korean Buddhism and Folk culture and language based on a prominent Chinese character skills.His academic achievements have been...

      Takahashi Toru w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He built a landmark achievement on academic monument of KoreanConfucianism, Korean Buddhism and Folk culture and language based on a prominent Chinese character skills.His academic achievements have been made Governor-General``s office with the support of most, and hard to overcom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esean. Therefore, he must develop to the rationalization of the colonial logic for requiring the dominance of Joseon by Japanese Imperial rule. Those are the theory of Partisan, Conservatism and Toadyism in Korea. He pointed out that Korea is fixed by Chuzu learning and trapped in sycophancy and partisan. This was not conclusion through the full investigation, it is the some policy that can be concluded in advance. He emphasized disparate ways that Yeongnam(Kyungsang province) group and Kiho(Kyungki and Chungcheang province) group, Rationalism and Expericism, Southern Party and Western Party, Senior Party and Junior Party in Korea. He used to analysis from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each of Korean Confucianism. Even if this theory base on historical reality, but these idea lead to instigate division each other. His Emperial Confucianism emphasize the homogeneity between Korea and Japan. They insisted the universal value of two countries through Wang In and Lee Twoegye. This is a double standard that Koreans Confucianism devided two part, but Korea and Japan tied one country. Hi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lso was studied on premise of Partisan, Conservatism and Toadyism in Korea. But he did not predict that Korean people recognize nationalism against Japan as well as independence from China. He watch the rapid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Korean language, he realize the his error about his premise of Partisan, Conservatism and Toadyism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재, "퇴계 『자성록(自省錄)』의 일본에서의 판각(板刻)과 영향력" 민족문화연구소 (57) : 279-301, 2014

      2 권인호,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皇道儒學 ― 李滉, 高橋亨, 朴鍾鴻의 朱子性理學과 중앙집권·국가주의 비판" 대동철학회 (55) : 1-24, 2011

      3 高橋亨,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4 정명규, "일제의 조선어교육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배달말교육학회 2 : 1984

      5 박균섭,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한국일본근대학회 (28) : 7-26, 2010

      6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7 이형성,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일제 황국사관의 빛과 그림자" 예문서원 2001

      8 이희재, "다카하시 도루(高橋亨,1878-1967)의 황도유도(皇道儒道)의 고찰"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 2015

      9 강해수, "근대 일본의 이퇴계연구" 영남퇴계학연구원 (2) : 55-83, 2008

      10 박광현, "경성제제 ‘조선어학조선문학’강좌 연구 -다카하시 도루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1 : 2003

      1 이희재, "퇴계 『자성록(自省錄)』의 일본에서의 판각(板刻)과 영향력" 민족문화연구소 (57) : 279-301, 2014

      2 권인호,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皇道儒學 ― 李滉, 高橋亨, 朴鍾鴻의 朱子性理學과 중앙집권·국가주의 비판" 대동철학회 (55) : 1-24, 2011

      3 高橋亨,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4 정명규, "일제의 조선어교육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배달말교육학회 2 : 1984

      5 박균섭,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한국일본근대학회 (28) : 7-26, 2010

      6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7 이형성,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일제 황국사관의 빛과 그림자" 예문서원 2001

      8 이희재, "다카하시 도루(高橋亨,1878-1967)의 황도유도(皇道儒道)의 고찰"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 2015

      9 강해수, "근대 일본의 이퇴계연구" 영남퇴계학연구원 (2) : 55-83, 2008

      10 박광현, "경성제제 ‘조선어학조선문학’강좌 연구 -다카하시 도루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1 : 2003

      11 高橋亨, "韓語文典" 博文社 1909

      12 丁若鏞, "陶山私淑錄, 與猶堂全書 影印本"

      13 李退溪, "自省錄 影印本"

      14 高橋亨, "皇道儒道から皇道儒道へ" 1939

      15 朴華莉,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語常用政策" 한국일본학회 (58) : 133-146, 2004

      16 高橋亨, "朝鮮史特別講義" 朝鮮史學會 1927

      17 高橋亨, "朝鮮の物語集-附俚諺" 日韓書房 1910

      18 塚本勳, "日本語と朝鮮語 上卷" 國立國語硏究所 1997

      19 高橋亨, "儒林에 警告" (1) : 1921

      20 이상혁,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과 <언문철자법>(1912) -조선어 학습 방침과 규범 통제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6) : 141-16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 0.92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