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虎患과 국가의 대책 = 「捉虎節目」의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1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에는 호랑이로 인한 가축과 인명 피해를 ‘虎患’이라 불렀으며, 호랑이를 잡는 것을 ‘捕虎’ 또는 ‘捉虎’라고 하였다. 호환은 민생의 안정을 보장하는 치안과 직결되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호랑이로 인한 가축과 인명 피해를 ‘虎患’이라 불렀으며, 호랑이를 잡는 것을 ‘捕虎’ 또는 ‘捉虎’라고 하였다. 호환은 민생의 안정을 보장하는 치안과 직결되기 때문에 국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捕虎條件」ㆍ「捉虎事目」ㆍ「捉虎節目」을 반포하였다. 이들은 ‘조건ㆍ사목ㆍ절목’이라는 명칭은 각기 다르지만, 그 내용은 호랑이를 잡기 위한 시행 세칙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반포된 「착호절목」을 분석하여 국가에서 중앙과 지방의 호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捉虎甲士와 捉虎將이 중앙에서의 착호를 담당하였으며, 지방에서의 捉虎人에 대해서는 병조에서 1472년에 아뢴 「포호조건」에 의해 시행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군제가 변화됨에 따라 훈련도감ㆍ금위영ㆍ어영청에서 중앙의 착호를 담당하였으며, 시급한 호환에 대처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에 「착호절목」을 거듭 반포하였다.
      새롭게 반포되는 「착호절목」은 이미 시행되고 있던 「착호절목」 중 時宜에 맞지 않은 조목을 개정하고 미진한 조목은 보완하여 마련되었다. 「착호절목」의 주요 개정 조목은 착호인에 대한 포상과 착호 방법으로 호환이 있는 곳에서 모든 백성들이 적극적으로 착호에 임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한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oseon Dynasty, casualties to men and cattle caused by tigers is called 'Hohwan (虎患; Tiger Disaster)' and to capture tigers is called 'Poho (捕虎;Capturing Tigers)' or 'Chakho (捉虎; Catching Tigers)'. Since the Tiger Disaster was directly ...

      In Joseon Dynasty, casualties to men and cattle caused by tigers is called 'Hohwan (虎患; Tiger Disaster)' and to capture tigers is called 'Poho (捕虎;Capturing Tigers)' or 'Chakho (捉虎; Catching Tigers)'. Since the Tiger Disaster was directly connected with public security which secures public welfare, the nation had promulgated ?Poho Jogeon(捕虎條件)?, ?Chakho Samok (捉虎事目)? and ?Chakho Jeolmok(捉虎節目)?, as a part of countermeasure against the problem. Those different names, 'Jogeon, Samok and Jeolmok', are basically the same as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to capture tigers.
      In this paper, I analyzed ?Chakho Jeolmok? promulgated in Joseon Dynasty and considered how the nation coped with central and local tiger disasters. In the early Joseon period, Chakho-gapsa (guardsmen) and Chakho-jang (leaders) took charge of capturing tigers in central area, and Chakho-in (捉虎人; men who caught tigers) of local area were operated under ?Poho Jogeon? stated by Byeong-jo (Military Affairs) in 1472.
      In the late Joseon period, under military system changed, Hullyeon-dogam (Military Training Agency), Geumwiyeong (Capital Garrison) and Eoyeong-cheong (Capital Guard Units) were in charge of capturing tigers, and ?Chakho Jeolmok? was repeatedly announced over central and local areas to cope with emergent disaster.
      The new version of ?Chakho Jeolmok? was released, in which some rules of existing ?Chakho Jeolmok? that did not applicable to the circumstances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revision was mainly carried out in articles such as a reward for Chakho-in and capturing methods, and this was to encourage the people to capture tig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조선전기의 「捕虎條件」
      • Ⅱ. 조선후기의 「捉虎節目」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조선전기의 「捕虎條件」
      • Ⅱ. 조선후기의 「捉虎節目」
      • 맺음말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東珍, "조선전기 포호정책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6

      2 金東珍, "조선전기 강무의 시행과 포호정책" 조선시대사학회 20 : 2007

      3 "조선왕조실록"

      4 심승구, "조선시대 사냥의 추이와 특성"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165-197, 2007

      5 "승정원일기"

      6 "비변사등록"

      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謄錄解題" 2002

      8 "萬幾要覽" 1982

      9 "經國大典" 1997

      10 "禁衛營都謄錄 (藏K2-3291, 1682년-1709년)"

      1 金東珍, "조선전기 포호정책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6

      2 金東珍, "조선전기 강무의 시행과 포호정책" 조선시대사학회 20 : 2007

      3 "조선왕조실록"

      4 심승구, "조선시대 사냥의 추이와 특성"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165-197, 2007

      5 "승정원일기"

      6 "비변사등록"

      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謄錄解題" 2002

      8 "萬幾要覽" 1982

      9 "經國大典" 1997

      10 "禁衛營都謄錄 (藏K2-3291, 1682년-1709년)"

      11 崔淵淑, "朝鮮時代 立案에 관한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2 徐台源, "朝鮮後期 營將制 硏究-鄕村支配와 관련하여-" 東國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7

      13 "於于集"

      14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備邊司謄錄事目?節目類解題"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