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 末 政治 勢力과 百濟의 滅亡 = Political forces late Baekje and the fall of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0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in the trend of political power by focusing on diplomatic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This is a time when the fall of Baekje in the differentiation of p...

      This paper,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in the trend of political power by focusing on diplomatic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This is a time when the fall of Baekje in the differentiation of political power, not just look at the problem of viewing the Baekje that tim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e difference in the way one would pay attention to. Through this approach, the final destruction of Baekje 663 years, not 660 years has been estimated. Before the fall of Baekje political forces in the diplomatic recognition for Tang(唐) were showing their differences. Some of Baekje forces to overcome the crisis was to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ang. However, other forces thought that dispatched envoys toward Tang from 652 years to break and it was the cause relationship away. They were divided into two deferent forces. The forces of side claimed should be united with Goguryeo. The other forces claimed should be united with Wai(倭).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diplomatic recognition of Baekje attacks by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can not respond effectively made. However,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began shortly after the King Euija yield. The forces for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tried to reconstruct Baekje through united with Wai(倭) or Goguryeo. During this period, particularly in the north of Imjonseong and south of Juryuseong who seems to be built at the same time the wire in order to combat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However,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political forces were def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And Baekje in 663 years will bedestroyed after the battle in Baekga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백제의 멸망 원인과 이후 전개되는 부흥 운동에서의 정치 세력의 동향을 외교 인식의 차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백제 멸망당시 정치 세력의 분화를 백제 내부의 문제...

      본고는 백제의 멸망 원인과 이후 전개되는 부흥 운동에서의 정치 세력의 동향을 외교 인식의 차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백제 멸망당시 정치 세력의 분화를 백제 내부의 문제만이 아니라 당시 동북아시아의정세 변화과정에 대한 대응 방법의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백제는 660년이아니라 663년 최종적으로 멸망하였음을 추정하였다. 멸망 전 백제의 정치 세력은 당에 대한 외교 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부여융과 성충, 흥수 등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은 당과의 외교적 협상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652년 이후 당에 대한 사신 파견이 중단되면서 당과 관계가 소원해지고 있다고 생각한 세력들은 당이 아닌 왜・고구려와의 관계를 통해 나당연합군에 대항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다시 의직을 중심으로 고구려와의 연대를 통해 신라에 대한 공격에 중점을 두는 세력과 상영을 중심으로 하는 왜와의 연대를 통해 당군을 막는데 중점을 두는 세력으로 나뉘어 있었다. 백제 내부의 이러한 외교인식의 차이는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만들었으며, 결국 웅진성으로 도피하였던 의자왕이 잡히면서 백제는 멸망의 길을 가게 된다. 그러나 의자왕 항복 직후 일어난 백제 부흥군은 이후 왜 혹은 고구려와의 연대를 통해 백제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이 시기 백제 부흥군은 임존성과 주류성이라는 북부와 남부지역의 거점을 통해 북부에서는 주로 고구려와 남부에서는 왜와의 관계를 통해 남・북에서 전선을 구축함으로써 나당연합군에 대응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남부 전선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던 복신과 부여풍의 갈등과 이로 인한 부흥군 내부에서의 분열, 흑치상지 등 일부 세력이 당에 항복하면서 이루어진 이탈 등은 부흥군 자체의 운동력을 급격히 저하시켰다. 그러면서 부여풍과 왜의 연합군이 백강 전투에서 나당연합군에 패배하게 된다. 남-북 양쪽에서 전선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당연합군에 대항하고자 했던 부흥군의 기본적인 전략이 무너지면서 북쪽에 남아 있던 임존성 지역의 지수신을 비롯한 부흥군 세력도 결국 나당연합군에 패배하게 하면서 백제는 최종적인 멸망을 맞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Ⅲ)" 2004

      2 장미애, "의자왕대 정치세력의 변화와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85) : 225-258, 2012

      3 김주성, "의자왕대 정치 세력의 동향과 백제멸망" 19 : 1989

      4 남정호, "의자왕 후기 지배층의 분열과 백제의 멸망" 4 : 2010

      5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6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7 서정석, "백제의 성곽"

      8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부흥운동사연구" 2004

      9 양종국,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1 (1): 153-176, 2012

      10 김수태,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변동" 5 : 1992

      1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Ⅲ)" 2004

      2 장미애, "의자왕대 정치세력의 변화와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85) : 225-258, 2012

      3 김주성, "의자왕대 정치 세력의 동향과 백제멸망" 19 : 1989

      4 남정호, "의자왕 후기 지배층의 분열과 백제의 멸망" 4 : 2010

      5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6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7 서정석, "백제의 성곽"

      8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부흥운동사연구" 2004

      9 양종국,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1 (1): 153-176, 2012

      10 김수태,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변동" 5 : 1992

      11 노중국, "백제 부흥운동사"

      12 김병남, "백제 부흥 전쟁기 고사비성 전투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279-306, 2012

      13 이재석, "백제 부흥 운동과 야마토 정권" 57 : 2003

      14 노중국, "백제 멸망후 부흥군의 부흥전쟁연구, In 역사의 재조명" 1995

      15 심정보, "백강에 대한 연구현황과 문제점" 32 : 2002

      16 김호동, "당의 기미지배와 북방 유목민족의 대응" 137 : 1993

      17 김영관, "나당연합군의 침공과 백제의 멸망, In 백제문화사대계8" 백제문화사대계 2007

      18 "資治通鑑"

      19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 1992

      20 "舊唐書"

      21 金周成, "百濟 사비時代 政治史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0

      22 "日本書紀"

      23 森公章, "日本の時代史3 倭國から日本へ" 吉川弘文館 2002

      24 이호영,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25 "新唐書"

      26 염경이, "唐 高宗代 對外 政策의 性格과 意味 -唐使 派遣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75) : 32-53, 2011

      27 山尾幸久, "古代の日朝關係" 塙選書 1989

      28 "冊府元龜"

      29 "三國史記"

      30 정효운, "7세기대의 한일관계의 연구(하)" 7 : 1991

      31 鈴木靖民, "7세기 중엽 백제의 정변과 동아시아, In 백제사의 비교연구" 1992

      32 최현화, "7세기 중엽 당(唐)의 한반도(韓半島) 지배전략(支配戰略)" 한국역사연구회 61 (61): 147-173, 2006

      33 정동준, "7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1) : 119-14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